본문내용
1. 체외막산소화장치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1.1. ECMO의 정의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는 심장과 폐의 기능을 보조할 목적으로 수일부터 2주간 심폐 우회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경부 또는 대퇴부의 혈관을 도관으로 사용한다. 심폐 부전 환자들이 자체 치유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심폐보조를 해주는 것이 ECMO의 주된 목적이다.
1.2. ECMO의 구성
1.2.1. Membrane Oxygenator
Membrane Oxygenator는 체외막산소화장치(ECMO) 회로 중에서 폐의 가스교환 기능을 대행해주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혈액과 산소의 가스 교환을 통해 혈액의 산소포화도를 높이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Membrane Oxygenator는 반투과성 막을 통해 혈액과 산소를 접촉시켜 효과적인 가스교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 막을 통해 정맥혈에서 이산화탄소가 제거되고 동맥혈로 산소가 공급되어 체내 환경이 개선된다. 이처럼 Membrane Oxygenator는 ECMO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폐 기능을 보완하여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2.2. Pump
Pump는 심장의 역할을 대신해 혈액을 순환시키는 ECMO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Pump는 체외순환로에서 배액된 혈액을 받아 산화기를 거쳐 다시 환자의 체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심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체외순환을 제공하여 생명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ECMO에 사용되는 펌프는 주로 원심펌프(centrifugal pump)와 롤러펌프(roller pump)가 활용된다. 원심펌프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혈액을 빨아들이고 배출하는 방식으로, 회전 날개의 속도를 조절하여 혈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롤러펌프는 튜브를 압박하여 혈액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튜브의 경화 등으로 인한 혈전 생성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장점이 있다.
펌프 속도는 산소화 및 가스교환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펌프 속도가 높으면 더 많은 혈액이 순환되어 산소화가 잘 이루어지지만, 과도한 속도는 혈액 용혈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펌프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조절해야 한다.
펌프 관리 시 주요 고려사항으로는 펌프의 회전 속도, 혈류량, 압력 모니터링, 혈액 용혈 여부 확인 등이 있다. 또한 펌프와 연결된 튜브의 온전성 및 연결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혈액 유출이나 공기 유입을 방지해야 한다. 이와 같은 펌프 관리를 통해 ECMO 전체 시스템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ECMO의 Pump는 심장 기능을 대신하여 혈액을 순환시키는 핵심 구성요소로, 적절한 펌프 속도 유지와 지속적인 모니터링, 관리가 필수적이다.
1.2.3. 회로(Circuits)
체외막산소화장치 ECMO의 회로(Circuits)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조절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ECMO 회로는 혈액을 배액하여 산소화 기능을 수행하고, 다시 환자에게 산소화된 혈액을 공급한다.
ECMO 회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회로 내에서 적절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폐의 기능을 대신하기 때문에 회로 내에서 가스교환이 이뤄지며, 이를 통해 환자의 혈액 산소포화도와 이산화탄소 배출을 유지할 수 있다. 둘째, 회로 내 혈액 흐름이 원활하게 이뤄져야 한다. 회로의 구조와 길이, 직경 등이 적절해야 혈액이 원활히 순환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