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퇴직 인사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퇴직의 개념과 유형
1.1. 퇴직의 개념
1.2. 퇴직의 유형
1.2.1. 사직
1.2.2. 합의퇴직
2. 퇴직관리의 중요성
3. 퇴직 관련 이슈
3.1. 조기퇴직의 문제
3.2. 퇴직제도의 문제점
4. 퇴직 관련 개선방안
4.1. 정년연장과 직무급 체계 마련
4.2. 고령자 고용 지원 및 교육 정책
4.3. 기업과 근로자의 자발적 대응
5. 리더십 이론의 발달과정
5.1. 리더십 이론의 변천
5.2. 리더십 이론의 적용 사례
6. 주식시장의 개요
6.1. 주식시장의 개념
6.2. 코스닥시장과 코넥스시장의 차이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퇴직의 개념과 유형
1.1. 퇴직의 개념
퇴직의 개념은 근로자의 일방적인 의사표시에 의해 근로 관계를 해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퇴직은 근로자가 사직의 의사를 표시하여 근로관계를 종료시키는 합의퇴직과 근로자가 일방적으로 사용자의 동의 없이 근로관계를 해지하는 사직으로 나뉜다. 합의퇴직은 근로자가 사직의 의사표시를 하고 사용자가 이를 수락하거나,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합의해약을 종용하여 근로자가 이를 승낙하는 경우를 말한다. 반면 사직은 근로자가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해지하는 것으로, 근로계약이 기간제인 경우 부득이한 사유가 없이는 근로관계를 해지할 수 없다. 이처럼 퇴직은 근로자의 의사에 따라 구분되며, 근로관계의 종료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1.2. 퇴직의 유형
1.2.1. 사직
사직은 근로자의 자발적인 의지와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해 이루어지는 퇴직을 의미한다. 사직은 근로계약의 기간에 따라 정해진 기간이 없는 근로계약의 경우와 정해진 기간이 있는 근로계약으로 나뉜다.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은 근로계약의 경우 근로자는 어떠한 손해배상책임도 부담하지 않고 언제든지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하지만 기간의 정해짐이 있는 근로계약의 경우,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것이 아니면 근로관계를 해지할 수 없다. 그리고 사직의 사유가 당사자의 과실로 인한 것일 때에는 상대방에 대해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
1.2.2. 합의퇴직
합의퇴직은 근로자가 근로관계를 종료시키고자 사직의 의사표시를 하여 사용자가 이를 수락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합의해약을 종료하여 근로자가 그 해약을 승낙하는 경우를 말한다. 합의퇴직에는 의원면직, 권고사직, 조건부 해고, 일괄사직서 제출 요구, 명예퇴직 등이 포함된다.
먼저, 의원면직은 근로자가 사용자에 대해 사직서를 제출하고 사용자가 이를 승낙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근로자의 자발적인 의사에 의한 퇴직이라고 볼 수 있다.
권고사직은 사용자가 먼저 근로자에 대해 합의 퇴직 의사표시를 한 후 근로자가 이를 승낙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사용자가 주도적으로 퇴직을 권고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건부 해고는 사용자가 일정 기간을 정하고 이때까지 근로자가 사직서를 제출하면 의원면직 처리를 하지만, 이를 제출하지 않으면 그 기간이 지나면 해고한다는 의사표시를 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퇴직에 대한 강제성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일괄사직서 제출 요구는 사용자가 근로자에게서 퇴직의사가 있다고 인정할 수 없기 때문에 합의에 의한 근로관계 종료가 아닌 해고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명예퇴직은 20년 이상 근속한 근로자가 정년퇴직일 전 1년 이상 10년 이내에 자진하여 퇴직하는 것을 말한다. 명예퇴직은 정기적 명예퇴직과 비정기적 명예퇴직으로 나뉘는데, 정기적 명예퇴직은 취업규칙 등에 규정되어 있고 정기적으로 신청을 받는 반면, 비정기적 명예퇴직은 기업의 경영악화로 정리해고를 시행하고자 할 때 해고 회피 노력으로 시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명예퇴직은 정년퇴직의 변형 형태 중 하나로서 임의퇴직과 강제퇴직의 중간적 형태라고 볼 수 있다.
2. 퇴직관리의 중요성
조직에서 조직원의 퇴직은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며 적정 수준의 퇴직은 인적자원 관리에 순환적 기능을 하며 유연성을 부여해 조직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유능한 조직원의 퇴직 후 적절한 인적자원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조직에는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퇴직관리는 인사관리에 있어 채용만큼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조직운영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퇴직관리의 중요성을 살펴보면 첫째, 유능한 인력의 퇴직으...
참고 자료
G. A. yukl, Leadership in Organization, 2nd ed., (Prentice-HAll, 1989), p.4.
김희명, 리더십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p.13.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포커스 2021-04호, 코로나19 국면의 개인투자자
이지뉴스, “중장년층 조기퇴직 불안 심각”, 오윤경
http://www.bokj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75
삼성경제연구소, “퇴직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