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모비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모비딕 소개
1.1. 작가 허먼 멜빌
1.2. 작품의 배경과 주제
1.3. 모비딕의 역사적 의미
2. 소설 속 주요 인물
2.1. 에이헵 선장
2.2. 이스마엘
2.3. 퀴퀘그
2.4. 스타벅
3. 모비딕의 상징적 의미
3.1. 자연과 인간의 대결
3.2. 인간의 교만과 한계
3.3. 삶의 의미에 대한 추구
4. 허먼 멜빌의 문학적 특징
4.1. 장르의 혼합
4.2. 상징과 알레고리의 활용
4.3. 심오한 주제의식
4.4.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문체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모비딕 소개
1.1. 작가 허먼 멜빌
허먼 멜빌(Herman Melville, 1819~1891)은 19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작가이다. 1819년 8월 1일 뉴욕에서 부유한 무역상 집안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조부 토머스 멜빌은 미국 남북전쟁에 참전했던 보스턴 티 파티의 일원으로 정계와 재계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허먼 멜빌은 13세 때 아버지가 정신질환으로 사망하면서 가정이 파산하여 어려운 생활을 했다. 이후 허먼 멜빌은 학업을 중단하고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20세 때 상선에 올라 영국 리버풀을 다녀온 경험을 계기로 멜빌은 바다에 대한 관심과 방랑벽이 생겼다. 이후 22세 때 포경선에 탑승하여 4년간 남태평양을 누비며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그는 마르키즈제도의 식인종 타이피족에게 사로잡히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들은 멜빌의 작품 소재가 되었고, 초기 작품들은 주로 항해 경험을 다루었다.
1846년 멜빌은 선상 생활이 너무 고되어 포경선에서 탈주하여 남태평양의 마르키즈제도에서 살았던 경험을 담은 《타이피족》을 발표하며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오무》, 《레드번》, 《하얀 재킷》 등의 소설을 출간하며 인정받기 시작했다. 1847년에는 매사추세츠주 대법관의 딸 엘리자베스 쇼와 결혼했고, 피츠필드에 농장을 사서 정착했다. 이때 그는 너대니얼 호손과 교류하게 되었다.
1951년 멜빌의 대표작 《모비딕》이 간행되었다. 이 작품은 포경선 피쿼드호와 선장 에이헵에 대한 서사적 이야기로, 에이헵의 강박적인 백경 모비딕 추격이 선원들의 파멸을 초래한다는 내용이다. 《모비딕》은 당시 3천 부밖에 팔리지 않았고 비평가들로부터도 주목받지 못했지만, 너대니얼 호손에게는 인정받았다. 이후 멜빌은 《피에르》, 《이즈라엘 포터》 등의 작품을 썼으나 대부분 실패작이었다.
멜빌은 생전에는 너대니얼 호손 외에 아무도 그를 인정해 주지 않는 작가였다. 만년에 거의 잊힌 작가로 살다가 1891년 9월 28일 뉴욕에서 생을 마감했다. 하지만 30여 년이 지나서야 그의 작품이 재평가되기 시작했고, 오늘날 미국 문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
1.2. 작품의 배경과 주제
작품의 배경과 주제는 다음과 같다.
19세기 중반 미국사회는 산업혁명과 서부 개척, 남북전쟁 등을 통해 급격한 변화를 겪던 시기였다.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와 도시화가 진전되었지만, 이에 따른 사회문제도 대두되었다. 정치적으로는 노예제를 둘러싼 남북 간 대립이 심화되어 결국 남북전쟁으로 이어졌다. 사회적으로는 개인주의와 자유주의가 확산되는 한편, 초월주의와 낭만주의 문학이 발전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허먼 멜빌은 작품 <모비딕>을 통해 당대 미국 사회의 모순과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조명하였다.
<모비딕>은 에이해브 선장의 백경고래 모비딕에 대한 광적인 집착과 복수심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를 통해 멜빌은 당시 미국 사회의 물질주의와 팽창주의를 비유적으로 비판하고자 했다. 에이해브의 광기어린 추격은 미국의 제국주의적 팽창과 과도한 욕망을 상징하며, 결국 선원 대부분이 목숨을 잃는 비극적 결말은 그러한 시도가 초래할 수 있는 부작용을 보여준다.
또한 작품 속 다양한 등장인물들은 인간의 보편적인 본성과 가치, 그리고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스마엘은 삶의 의미를 찾아 떠나는 구도자이자 관찰자로서, 에이해브와 대조되는 모습을 보인다. 퀴퀘그는 문화와 인종의 차이를 초월한 인간 보편의 가치를 상징하며, 스타벅은 이성과 도덕성을 대변한다. 이처럼 작품 속 인물들을 통해 멜빌은 인간의 욕망, 교만, 한계 등 근원적인 문제들을 탐구하고 있다.
결국 <모비딕>은 19세기 중반 급변하는 미국 사회의 모순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동시에 인간 실존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멜빌은 상징과 알레고...
참고 자료
허먼 멜빌 지음, 강수정 옮김, 『모비딕』, 열린책들, 2013.
김영민, 이왕주 저, 『소설 속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1997.
허먼 멜빌 지음, 강수정 옮김, 『허먼 멜빌』, 현대문학, 2015.
이종인 저, 『살면서 마주한 고전』, 책찌, 2015.
안진훈, 김혜진 저, 『고전은 내 친구』, 21세기 북스, 2014.
모비딕,작가정신,2011(허먼 멜빌,김석희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