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조현병 정의
조현병은 2011년에 정신분열증이라는 병명이 바뀐 용어로서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기능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조현병은 인종, 종족집단, 성별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대개는 청소년기 또는 초기 성인기에 시작하여 평생 지속될 수 있다. 조현병은 비교적 흔한 병으로 백 명 중 한 명이 걸리는 병으로 알려져 있다.
2. 조현병 발생원인
2.1. 유전적 원인
조현병 환자 형제의 조현병 평생 유병률은 10% 정도이며 한쪽 부모가 조현병인 경우 그 자녀의 발병률은 5~6% 정도이다. 그리고 한쪽 쌍생아에게 조현병이 발병했을 때 나머지 쌍생아에게 발생할 확률인 일치도는 일란성인 경우 이란성인 경우보다 4배 높다는 보고가 있다. 조현병을 가진 친모로부터 출생한 자녀를 건강한 가족이 입양한 경우와 조현병이 없는 친모로부터 출생한 자녀를 건강한 가족이 입양한 경우를 비교한 연구에서 조현병 친모로부터 출생한 자녀의 발병률은 일반 인구에서보다 훨씬 높다.""
2.2. 생물학적 원인
생물학적 원인은 조현병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사람의 뇌에 존재하는 다양한 신경전달물질들 간의 문제가 발생하면 조현병으로 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세로토닌의 불균형이 대표적인 생물학적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신경전달물질들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면 사람의 사고, 감정, 행동에 영향을 주게 되어 조현병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즉, 신경전달물질 간의 불균형으로 인해 "머릿속이 엉키는" 문제가 발생하여 정신증상이 유발되는 것이다.
또한 두부 손상, 뇌척수액이 차있는 뇌실의 팽창, 전두엽 기능 저하, 측두엽 기능 이상, 좌반구 기능 이상 등과 같은 대뇌구조의 이상도 조현병 발병의 생물학적 원인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뇌의 구조적, 기능적 문제들로 인해 사고, 지각, 감정 등의 정신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여 조현병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요약하면, 조현병은 근본적으로 생물학적 질병이며, 뇌의 신경전달물질 불균형과 구조 및 기능적 이상이 주요한 생물학적 발병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2.3. 사회적 원인
사회적 원인은 조현병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조현병의 발병은 사회경제적 하위계층에서 더 높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즉 열악한 주거환경, 부적절한 영양, 산전관리 부재, 스트레스 사건을 다룰 수 있는 자원 부족, 절망감 등이 조현병 발병과 관련된다"". 반면 조현병 증상의 특징 때문에 직업유지가 쉽지 않아 사회경제적 하위계층으로 가게 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아동기 성적 학대피해 경험, 빈민가나 우범지대 거주 등 불우한 사회환경, 이질적 문화권에서의 성장, 심리적 외상이나 사회적 좌절 경험 등도 조현병의 발병위험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3. 조현병 주요증상
3.1. 사고의 장애
사고의 장애는 조현병 환자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이다. 조현병 환자들은 사고과정에서 다양한 장애를 보이는데, 이는 망상, 와해된 사고, 지리멸렬한 언어 등으로 나타난다.
첫째, 망상은 조현병 환자의 대표적인 사고의 장애이다. 망상이란 사고에 장애가 생긴 것으로, 그 사람의 교육적,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더라도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이라고 확신하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피해망상, 과대망상, 관계망상, 조종망상, 신체망상, 색정망상, 질투망상, 허무망상 등이 있다. 피해망상은 누군가 자신을 해치려 한다고 믿는 것이고, 과대망상은 자신의 가치나 재능, 지식, 권력 등이 과대한 것으로 믿는 것이다. 관계망상은 주변의 일이 자기 자신과 관련되며, 누군가가 자신의 말을 하고 있다고 믿는 것이며, 조종망상은 타인이나 외부 세력이 자신의 사고, 감정, 충동, 행동 등을 조종한다고 믿는 것이다. 신체망상은 자신의 신체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변한다고 믿는 것이고, 색정망상은 누군가가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고 믿는 것이며, 질투망상은 자신의 성적 파트너가 성적으로 부정하다고 믿는 것이다. 허무망상은 자신이나 자신의 일부, 타인 또는 세상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는 것이다. 이러한 망상은 환자 자신에게 매우 실재한 것으로 여겨져 현실과 구분하기 어려우며, 이것이 환자의 행동이나 대인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
둘째, 조현병 환자들은 와해된 언어와 행동을 보이는데, 이를 와해된 사고로 볼 수 있다. 환자들은 자신의 말이나 언어가 지리멸렬하고 모순되며 비논리적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연상의 이완으로 인해 말의 내용이 한 주제에서 관련 없는 다른 주제로 옮겨가거나, 말 비빔(분열언어)으로 듣는 이에게 의미가 없는 말들을 뒤죽박죽으로 말하기도 한다. 신어 조작증은 타인에게는 무의미하지만 환자 자신에게만 의미 있는 단어를 새로 만들어내거나 다른 의미가 있는 단어를 특이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구체적 사고, 음연상, 우회증, 사고 이탈 등의 증상을 보인다. 이처럼 조현병 환자들의 와해된 언어와 행동은 사고과정의 근본적인 장애를 반영하는 것이다. ""
3.2. 지각의 장애
지각의 장애란 환각, 착각과 같이 외부의 자극이 없는데도 마치 실제로 있는 것처럼 지각하는 증상을 말한다. 조현병 환자들은 감각기관을 통해 잘못된 지각을 경험하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환청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