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승업의 삶과 예술세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남종화법의 조선 유입과 영향
2.1. 중국 남종화법의 형성
2.2. 조선으로의 남종화법 유입 및 전개
3. 조선 후기 화가와 남종화법
3.1. 정선과 남종화법
3.2. 장승업과 남종화법
4. 오원 장승업과 그를 있게 한 스승 김병문
4.1. 장승업은 누구인가
4.2. 장승업을 있게 한 스승 김병문
4.3. 영화 '취화선'에 담긴 스승과 제자의 교육적 의미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 개인의 위대한 삶을 글이나 영상으로 그려낸다는 것은 일종의 희망 없는 기대를 알고 막막한 바다에 뛰어드는 것과 같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미 어릴 때부터 딱딱한 위인전이나 주제의식에 사로잡힌 교과서에서 들어온 진저리나는 그들을 시험문제가 아닌 자신의 돈과 시간을 들여 봐야한다는 일은 그리 내키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만큼 이미 몇 백년 전에 죽었을 이를 다시 불러내어 감독과 시나리오 작가가 그 자신이 되어 그가 그린 예술적 혼과 사회적 아픔의 뒤엉킨 모습이나, 개인적으로 감춰진 열정과 고독과 절망을 맛본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2. 남종화법의 조선 유입과 영향
2.1. 중국 남종화법의 형성
중국 산수화는 남과 북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를 일명 남북(분)종론, 상남폄북론이라고 한다. 남북종론은 명대 문인화의 상품화가 진행되면서 직업 화가들에 의한 모방으로 문인들이 신분 구별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면서 시작되었다. 동기창을 중심으로 한 세력은 신분 구분을 통해 위상을 높이고자 했고, 이에 따라 화풍보다는 출신 신분이나 교양을 중요시 여겨, 문인 출신 화가를 남으로, 화원 출신 화가를 북으로 나누었다.
남종화와 북종화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남종화는 주로 문인들의 여가를 위해 그려졌으나 북종화는 순수예술보다는 특정 목적을 위해 직업 화가나 화원에 의해 그려졌다. 또한 남종화는 주로 수묵담채화로 주관적이며 소박하고 담백한 반면, 북종화는 다양한 색채로 화려하고 사치스러웠다.
이처럼 남북종론은 동기창을 중심으로 주장되었는데, 이는 문인들의 신분 구별에 대한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를 통해 화풍보다는 출신 신분과 교양을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문인 출신 화가와 화원 출신 화가를 구분하는 계기가 되었다.
2.2. 조선으로의 남종화법 유입 및 전개
남종화는 고려 전기에 이미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이르러 회화가 다양해졌고, 고려 시대의 회화 전통을 이어받으면서도 남종화와 같은 중국 화풍을 선별적으로 수용하고 발전시켜 나갔다"" 남종화가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본격적으로 유행한 시기는 조선 후기로 짐작된다. 조선 후기는 새로운 경향의 회화를 발전시킨 시대로서 남종화풍의 영향을 받아 크게 발달하였다""
명과의 의리관계를 고수하며 명을 멸망시킨 청에 대한 북벌론, 조선중화주의를 비롯한 적대적인 관계 때문에 주목받지 못했던 남종화법이 영조 때에 와서 뒤늦게 주목을 받고 성행하게 된다. 《당시화보(唐詩畵譜)》, 《고씨화보(顧氏畵譜)》, 《십죽재화보(十竹齋畵譜)》, 《개자원화전(芥子園畵展)》 등의 화보가 들어오면서 남종화풍이 조선에 적극 수용된다. 사행원들의 영향도 상당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청과의 관계 개선으로 그동안 명나라의 폐쇄적인 화풍에 젖어있던 조선 화단 내에 큰 변화가 생기게 된 것이다. 새로운 것을 추구하던 당시의 사회 분위기와 결합해 남종화가 크게 번성하게 된 것이다. 또한 숙종 이전에는 문인화가라는 개념이 없었던 탓에 남종화의 수용이 미미했으나, 이후 문인화가라는 자의식을 가진 화가들이 등장하면서 남종화가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결국 남종화는 조선 문인 화가들의 탈속정신과 창작이념을 토대로 형성되고 발전된 산수화의 양식적 계보로 자리 잡게 된다. 이는 남종화의 수용이 한국 회화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3. 조선 후기 화가와 남종화법
3.1. 정선과 남종화법
정선은 신인문주의에 관심을 가진 많은 이들과 함께 남종화법을 습득하고 화풍을 도모했다. 그러나 남종화계에 그 토대를 두었지만, 자신만의 화법으로 승화시켜 정선 자신만의 양식으로 발전시켰다....
참고 자료
금재용, <오원 장승업 작품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송애리, <오원 장승업의 작품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송지환, <오원 장승업 회화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안휘준, 《한국회화의 이해》, 시공사, 2000.
안휘준, <한국남종산수화의 변천>, 《한국회화의 전통》, 문예출판사, 1997.
안휘준, <관아재고의 회화사적의의>, 《한국회화사연구》, 시공사, 2000.
유홍준, 《화인열전1》, 역사비평사, 2004.
이금자, <조선시대 남종화의 유입과 발전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이은숙, <겸재 정선 진경산수화의 표현기법과 예술성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이태호, 《조선후기 그림의 기와 세》, 학고재, 2005.
이희원,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정선순, <겸재 진경산수화가 현대 산수화에 미친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정선아, <오원 장승업의 작품세계 연구>, 서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정윤태, <겸재 정선의 금강산도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임권택이 임권택을 말하다 1 / 정성일 대담 / 김수기 펴냄 / 현실문화연구 / 2003.06.25
- 임권택이 임권택을 말하다 2 / 정성일 대담 / 김수기 펴냄 / 현실문화연구 / 2003.08.14
- 문화 인물 자료관 / 2000년 12월의 문화인물 : 장승업
- <취화선> 촬영 100일 동행기 / 정성일(영화 평론가) / 제 4장 ‘최민식 vs 장승업’ / 2001.12.14
- ‘한국/영화’의 미학적 ‘특정성’에 대한 단상 - 임권택 감독의 <취화선>을 중심으로 - / 심광현 / 한국동서양철학회 ․ 동서철학연구 / 2003
교수님이 10장으로 하라고 하셔서 인터넷도 좀 긁어 모았지만 교육관련 부분은 거의 제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