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전문간호사 제도의 발전과 현황
1.1. 전문간호사 제도의 도입과 역사
우리나라의 전문간호사 제도는 1973년 의료법에 '분야별 간호사'라는 명칭으로 처음 도입되었다. 당시 마취, 보건, 정신보건 영역에서 분야별 간호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1990년대 들어 의사 부족, 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기대 증가 등에 따라 전문간호사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3차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상급간호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간호사의 직제와 역할이 등장하였다.
보건의료분야의 전문화 추세, 간호의 전문적 성장에 대한 요구, 세계적인 간호전문화 추세, 비용효과적이고 전문적인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 등 의료환경의 변화와 국가 보건의료자원의 효율적 배분, 의료비 절감 기대, 전공의 부족현상 해결, 실무 표준화와 질적 수준 유지 및 관리를 통한 소비자 보호 정책에 따라 의료기관이 자체적으로 상급실무를 수행하는 간호사 제도를 운영하면서 정책 및 제도 마련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00년 의료법 개정을 통해 '분야별 간호사'의 명칭이 '전문간호사'로 변경되었고, 2003년 '전문간호사과정 등에 관한 고시'가 제정되면서 10개 분야의 전문간호사 자격이 명시되어 본격적으로 전문간호사 제도가 시작되었다. 이후 2006년에 '전문간호사 자격 인정 등에 대한 규칙'이 제정되면서 우리나라의 전문간호사 제도가 법적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전문간호사는 가정, 감염관리, 노인, 마취, 산업, 보건, 아동, 응급, 임상, 정신, 종양, 중환자, 호스피스 등 13개 분야로 확대되었다.
1.2. 전문간호사의 정의와 역할
전문간호사(Advanced Practice Nurse, APN)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해당분야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의료기관 및 지역사회 내에서 간호대상자(개인, 가족, 지역사회)에게 상급수준의 전문적 간호를 수행하는 자이다.
전문간호사의 핵심역량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간호사는 자신의 전문분야에서 간호실무와 관련 학문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기술을 기초로 대상자에게 상급간호실무(advanced practice nursing)을 제공한다. 둘째, 환자, 가족, 일반간호사, 간호학생 및 타 보건의료인력 등 대상자에게 교육을 실시하고 보수교육 또는 실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며 수행한다. 셋째, 연구결과를 실무현장에 적용하고, 실무 중 간호문제를 발견하여 연구문제로 제시하며 연구를 직접 수행하거나 참여한다. 넷째,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의 질과 상급간호실무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변화촉진자, 역할 모델 및 옹호자로서 활동하는 임상적 지도력을 발휘한다. 다섯째, 대상자를 위한 간호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환자, 가족, 일반간호사, 타 보건의료인력을 대상으로 상급지식과 기술, 판단력을 이용하여 자문하거나 협동적 관계를 형성하고 조정 활동을 한다. 이처럼 전문간호사는 자신의 전문분야에서 상급수준의 간호실무를 제공하고, 교육, 연구, 지도력, 자문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궁극적으로 대상자의 건강증진과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1.3. 전문간호사 배출 현황
전문간호사 배출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전문간호사 양성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교육기관의 석사과정이며, 입학조건은 10년 이내에 해당분야의 기관에서 3년 이상 실무경력이 있는 간호사이다. 전문간호사 교육기관의 평가는 보건복지부장관이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 위탁하여 심사하고 있다. 2021년 9월 기준, 전문간호사 자격시험을 통하여 보건복지부 인증 전문간호사로 배출된 숫자는 총 1만 6,462명에 달한다. 이 중 가정 6,602명, 감염관리 488명, 노인 2,519명, 마취 640명, 보건 2,052명, 산업 183명, 아동 130명, 임상 345명, 응급 352명, 정신 642명, 종양 1054명, 중환자 793명, 호스피스 662명이 배출되었다. 현재 전국 90개의 교육기관에서 전문간호사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약 400명 정도의 간호사들이 전문간호사 교육과정을 마치고 자격시험을 통해서 전문간호사로 인증 받고 있다.
1.4. 전문간호사 제도의 주요 분야
전문간호사 제도의 주요 분야는 가정, 감염관리, 노인, 마취, 산업, 보건, 아동, 응급, 임상, 정신, 종양, 중환자, 호스피스 등 총 13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문간호사 제도의 주요 분야는 의료 환경의 변화와 국가 보건의료자원의 효율적 배분, 의료비 절감 기대, 전공의 부족현상에 대한 해결책, 실무 표준화와 질적 수준의 유지 및 관리를 통한 의료기관의 소비자 보호 정책에 따라 발전해왔다.
특히 가정전문간호사와 같이 지역사회 중심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와 노인, 중환자, 응급 등 특정 대상자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분야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전문간호사 분야들은 의료계와 간호계의 요구에 따라 점진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전문간호사의 역할과 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