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혈액암 간호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소아암 간호중재
1.1. 소아암의 증상과 징후
1.2. 치료 부작용의 관리
1.3. 골수이식 중의 간호중재
1.4. 치료절차를 위한 준비
1.5. 통증관리
1.6. 건강증진
1.7. 가족교육
1.8. 치료의 중단
1.9. 논문 간호중재
1.10. 소아암환자에 '모발' 기부
1.11. 소아암 환아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2.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암 환자의 영양 상태와 피로
2.1. 연구의 목적
2.2. 연구방법
2.3. 연구결과
3. 구강 냉요법과 항암화학요법
3.1.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에 미치는 효과
3.2. 족욕요법과 항암화학요법
4. 부인암 환자에 대한 간호중재
4.1. 신체사정 및 관리
4.2. 정서적 지지
4.3. 성과 관련된 중재
4.4. 가족지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소아암 간호중재
1.1. 소아암의 증상과 징후
소아암의 증상과 징후는 다음과 같다.
소아암은 종종 발견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상한 증상이 계속되는 것에 대해 경계하여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통증은 소아암의 초기 또는 후기 증상으로 통증의 발현, 특징, 부위, 정도, 완화 요소 등의 병력을 세밀하게 청취할 필요가 있다. 종양 부위의 통증, 종창, 압통은 고형 종양의 초기 증상이며 덩어리는 고형 종양 아동에게서 발견되는 전형적인 것이므로 복부에 덩어리가 발견된다면 윌름 종양이나 신경모세포종과 같은 악성종양인지 검사해야 한다.
세밀한 피부검사로 저혈소판 증상을 알아차릴 수 있으며 반상출혈과 점상출혈은 아동의 사지와 허리띠처럼 조이는 피부에서 가장 흔히 발견된다. 악성종양이 골수를 침범한 경우 창백해지면서 무기력, 체중감소, 전신적인 권태감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골수에서 정상적인 세포가 암세포로 대체되면서 생기는 빈혈에 기인하므로 빈혈의 증상을 잘 평가해야 한다. 림프선의 부종은 소아암 환자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또 다른 증상이다. 1주일 이상의 발열, 최근의 체중감소, 흉부 X-선의 이상이 있는 아동에게 림프절이 커지고 단단해졌다면 심각한 것이므로 더 많은 평가를 해야 한다. 열은 아동기에 자주 나타나는 증상으로 암을 포함하여 수많은 질환으로 유발된다.
1.2. 치료 부작용의 관리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소아암 환아는 다양한 치료 부작용을 경험하게 된다. 우선, 감염 발열의 경우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소아암 환아의 경우 감염에 취약하기 때문에 간호사는 발열 아동의 경우 감염 징후를 잘 관찰하고 주사바늘 천자 부위, 점막 궤양 등 잠재적 감염 위험 요인을 면밀히 평가해야 한다. 또한 감염에 대한 염증 반응이 적절하지 않아 감염의 일반적인 증상이 없더라도 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체온 측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광범위 항생제 정맥주사를 시작하고, 폐포자충 폐렴 예방을 위해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등의 약제를 일상적으로 투여한다. 또한 혈구 감소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colony-stimulating factor를 지지요법으로 사용한다. 퇴원 후에도 감염 예방을 위해 면역력이 낮은 시기에는 복잡한 장소 출입을 자제하고 가족들의 손 위생을 강조해야 한다.
다음으로 출혈의 경우 내부적으로 코피, 잇몸 출혈이 흔하게 나타난다. 이에 간호사는 부모에게 코피 대처법과 적절한 압박 방법을 교육해야 하며, 다량 수혈을 받는 경우 혈소판 수치 모니터링과 혈소판 공여자의 혈액형 교차 검사가 필요하다. 혈소판 수가 매우 낮은 경우 외상 및 출혈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자전거, 축구 등 위험한 활동은 제한해야 한다.
빈혈의 경우 암세포가 골수를 대체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화학요법으로 인한 골수억제로도 유발될 수 있다. 이에 헤모글로빈 수치를 목표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농축 적혈구 수혈이 필요하다. 그러나 빈혈 환아는 놀라운 적응력을 가지고 있어 활동 조절이 최선의 접근법이다.
오심 및 구토는 화학요법 투여 후 발생하는 흔한 부작용으로, 5-HT3 수용체 길항제와 dexamethasone 등의 항구토제를 적절히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구토 예방을 위해 화학요법 전부터 항구토제 투여를 시작하고 치료 후 24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사용한다.
점막 궤양의 경우 구내염이 대표적이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자극적이지 않고 수분이 많은 유동식 공급, 부드러운 구강 청결용품 사용, 구강 세척제 사용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아동이 유동식을 거부하는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신경학적 부작용으로 변비, 족하수, 턱의 통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또한 출혈성 방광염, 탈모증, 스테로이드 부작용 등 다양한 부작용에 대한 간호 계획 수립이 중요하다.
종합하면, 소아암 환아의 치료 부작용 관리를 위해서는 감염, 출혈, 빈혈, 오심/구토, 점막 궤양, 신경학적 부작용 등 다양한 증상에 대한 면밀한 사정과 함께 각 증상에 맞는 적절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 골수이식 중의 간호중재
골수이식 중인 아동은 정맥 접근 장치의 삽입, 집중적인 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 엄격한 감염 사전 예방과 같은 수많은 치료과정을 겪어야 한다. 골수이식 후 그리고 새로운 골수가 적절히 과립성 백혈구를 대체하기 시작하는 동안 환자들은 극도로 감염에 취약하며 감염은 치명적일 수 있다.
동종 이식에서 가장 흔한 합병증은 급성 이식대숙주병으로 피부, 위장관, 간에 발생한다. 현재는 mycophenolate mofetil, methotrexate 또는 sirolimus와 함께 calcineu-rin 억제제 같은 약물을 사용하여 이식대숙주병을 예방하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 치료로는 스테로이드나 다른 면역 억제제의 사용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는 이미 감염에 취약한 환자에게 감염 위험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모든 혈액 제제는 부가적인 항원의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사선 조사를 해야 한다. 골수이식 중인 환자에서 피부 손상과 상처 치유 지연은 종종 일어난다. 약한 부위에 대한 압박을 최소화하는 예방적 조치는 압박을 완화시키는 침대나 매트리스의 사용 및 활동을 자주 하는 것이다. 피부 손상이 발생하였을 때 치유를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항문 주위에 좌욕을 자주 하고 수성콜로이드 드레싱이나 밀폐 연고와 같은 피부 장벽보호제를 사용한다.
가족들은 성공적인 이식과 치명적인 합병증을 걱정한다. 불행히도, 이식 후 이식부위에 질환이 재발할 수 있다. 간호사는 일어날 수 있는 많은 위험에 대해 세심한 간호를 하고 지지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일 이러한 과정이 성공적이지 못한다면 치명적인 질환을 가진 아동에게 필요한 간호를 요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가족에게 필요한 간호는 치명...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학Ⅰ,Ⅱ(수문사) 2021 8월 개정판, 성미혜, P361~ P.416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구내염, 활성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에 미치는 효과 신나연, 강윤희 2019.04, 한국간호과학회 대한간호학회지(JKAN)제49권 제 2호, 149-160(12page)
족욕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수면장애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 김현아, 임경희 2021.10, 성인간호학회지 제 33권 제 5호, 472 - 483(12page)
디스트레스 간호중재가 부인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면역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012, 박정숙, 오윤정, 성인간호학회지 Vol.24, No.3, 219~231 (Page13)
아동간호학 수문사 각론
한수연, 황지혜, 김초희, 장혜영, 방경숙(2017), 소아암 환자의 형제자매 중재에 관한 연구논문의 체계적 문헌고찰.Child Health Nursing Research,23(3),394-404.
최자윤, 유일영(2002), 소아암 환자의 초기 진단단계의 간호중재 프로토콜 개발,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8(1),44-54.
연합뉴스/소아암환자에 ‘모발’기부...“한올 한올 희망을 보내요”/2022.02.12./ https://www.yna.co.kr/view/AKR20220211048800505
소아암그룹/소아암 환아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