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화제작에대해알고싶은모든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화 장르와 관습
1.1. 영화 장르의 개념
1.1.1. 장르의 개념
1.1.2. 장르의 종류
1.2. 장르별 관습의 특징
1.2.1. 멜로드라마
1.2.2. 공포
1.2.3. 액션
1.2.4. 코미디
1.2.5. 스릴러
2. 영화 제작과 장르
2.1. 장르의 특징
2.2. 기존 장르의 관습
2.3. 장르의 문화적 할인율
2.4. 국내 비디오 산업의 이점
2.5. 국내 비디오 산업의 손실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화 장르와 관습
1.1. 영화 장르의 개념
1.1.1. 장르의 개념
'장르'란 범주(category)나 유형(type)이라는 뜻의 불어로, 영화 분석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 영화에서 장르는 플롯(plot: 한 이야기에서 사건들이 일정히 배열되는 방식), 캐릭터, 주제, 스타일과 같은 구조적인 구성 요소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영화를 분류한 것을 말하며, 상업적인 성공을 기반으로 발생하였다. 흥행을 염두에 두어 어느 정도 상업성이 검증된 장르의 관습이나 아이콘, 내러티브 구조와 같은 속성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장르는 고정되지 않고 시대의 흐름과 사회 변화, 관객의 취향에 따라 재생산 된다. 이에 따라 장르영화는 문화적 지표로 볼 수 있다. 추상적인 분류 개념이 아닌 사회, 문화적인 개념에서 장르는 중요성을 가진다.
1.1.2. 장르의 종류
동일한 장르 영화들은 특정한 틀 안에서 비슷한 요소들이 반복되며, 하나의 영화에서 두 가지 이상의 장르가 혼합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장르는 멜로드라마, 공포, 액션, 코미디, 스릴러, 느와르, 전쟁, 액션, 서부, 뮤지컬, 갱스터, 공상과학, 판타지 등 다양한 유형이 있는데, 이 중 한국을 위주로 멜로드라마, 공포, 액션, 코미디, 스릴러 장르에 한정하여 조사하였다. 멜로드라마는 음악(melos)과 드라마(drama)가 합쳐진 단어로, 감정을 강조하는 영화이며 꾸준히 사랑 받고 있는 장르이다. 현재에는 단순한 남녀 간의 문제뿐만 아니라 개방적인 성문화를 표현하거나 코미디 장르와 결합하여 재미를 추구하기도 한다. 공포 장르는 관객에게 두려움이나 역겨움, 무서움을 유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최근에는 시대를 풍자하는 성형수술이나 학교 폭력, 개인 인터넷 방송과 같은 내용의 공포 영화들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액션은 육체적인 싸움이나 투쟁, 추격과 같은 격렬한 장면으로 흥분을 일으킬 수 있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장르이다. 코미디는 대사나 행동, 상황으로 관객에게 웃음을 주는 장르이며, 감동, 로맨틱, 액션, 블랙 코미디 등 모든 장르와 연결된다고도 볼 수 있다. 스릴러는 긴박감이나 서스펜스가 다수 들어있는 영화의 총칭으로, 인간의 숨겨진 본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내어 그 가치가 높아진다.
1.2. 장르별 관습의 특징
1.2.1.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는 음악(melos)과 드라마(drama)가 합쳐진 단어로, 감정을 강조하는 영화이며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장르이다. 일반적으로는 남녀 사이의 애정을 다루는 영화를 말하며 광범위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현재에는 단순한 남녀 간의 문제뿐만 아니라 개방적인 성문화를 표현하거나 코미디 장르와 결합하여 재미를 추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를 오히려 역행하여 고전적인 멜로의 흐름을 이어나가는 작품도 존재한다.
멜로드라마의 관습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형적이고 불변의 속성을 가진 양극화된 인물 설정으로, 그 인물 간에 감정적 대립을 이룬다. 인물은 주로 평면적이고 전형적인 캐릭터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행위는 심리적 원인이나 캐릭터의 특성보다는 개인의 욕망이나 사회적 위치에 따라 좌우된다. 갈등은 주로 가족이나 세대 간의 문제부터 남녀 사이의 사랑과 삼각관계에서 생기는 장애, 사회적 계급 차이, 부모의 권력에서 오는 분쟁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갈등을 약자의 입장에서 극복하느냐에 따라 결말이 정해진다.
둘째, 멜로드라마는 우연성과 운명적인 성격을 가진다. 인물의 만남과 엇갈림, 사건의 전개에 있어 우연성과 운명성이 빈번하게 사용되며, 뚜렷한 인과관계보다는 우연의 일치나 오해,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인해 비동기적인 사건을 통해 인물의 심리가 반전되고, 이것이 결말로 이어진다.
셋째, 멜로드라마에는 감정의 과잉이 나타난다. 사회적 불평등이나 사회 이념을 개인적인 연애와 가족 이야기 속에서 다루기 때문에 해결할 수 없는 갈등을 강렬한 감정으로 처리한다. 사회적 문제를 개인화하는 과정, 인물 간 갈등과 이를 해결하는 과정 등에서 감정의 과잉이 발생한다.
이처럼 멜로드라마는 감정적이고 비극적인 요소들을 다루며, 우연과 운명에 의해 진행되는 인물 간의 갈등을 통해 관객의 감정을 자극한다.
1.2.2. 공포
공포 장르는 관객에게 두려움이나 역겨움, 무서움을 유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다양한 장르에 속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실재하지 않는 세계를 다룰 경우에는 판타지의 하위 장르에 속하나, 그 환상 중에서도 아주 끔찍한 환상을 다루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과학적인 실체이며 실현가능한 이야기라면 공상과학의 하위 장르로 분류되는데, 이 때는 개인의 내면 또는 집단의 무의식을 중점으로 다룬다.
공포 장르의 관습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배 질서와 제도의 희생자이자 위협적 존재로서의 여성 귀신이 등장한다. 이는 《여고괴...
참고 자료
민경원, 《영화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김순정, <영화의 재미요인 연구 : 코미디 장르를 중심으로>, 2013,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양지, <한국 공포영화 관습의 반복과 변화 : 1960-80년대와 1990년대 비교분석>, 2000,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은희, <한국 텔레비전과 영화의 타이틀 연구 : 장르별 시각요소와 표현방법을 중심으로>, 2008,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정현, <한국 멜로드라마 영화의 장르적 관습과 변주>, 2007,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현정, <변형과 반복의 구조로서 멜로드라마 영화, 영화의 장르연구>, 2013,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희진, <배우 ‘김혜수’의 극중 캐릭터 이미지별 미용요소 분석: 영화 장르를 중심으로>, 2010, 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소윤, <한국 공포 영화 장르 관습의 혼합과 변화>, 2005,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은용, <한국 액션영화 장르연구 : 1990년대 액션영화의 서사 관습과 사회 문화적 함의>, 2001,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빛나, <스릴러 영화의 내러티브를 통한 한국인의 현실인식 고찰 : 2000년대 한국 스릴러 영화를 중심으로>, 2011,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리선, <[2018 영화산업결산②] 고예산 영화 흥행성적 '우울'...'스크린 독과점'은 여전>, 인터뷰365, 2019.02.18.,http://www.interview365.com/news/articleView.html?idxno=84989.,(2019/11/26-접속날짜).
최광희, <천만 관객의 비밀>, 책비, 2016.9.30., p.196
차용승, <국내 개봉 미국영화의 흥행성과와 문화적 할인 효과 – 장르를 중심으로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12.31., pp.45-48.
김정연, 이재희. (2018). 비디오 플랫폼이 한국 TV 산업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9(3), 325-335.
한국 크리에이티브콘텐츠진흥원. (2020). 국내 콘텐츠 산업에 미치는 OTT 비디오 서비스의 영향 분석. [URL]에서 확인.
박성호. (2021년 2월 12일). 한국 영화관, 1월 박스오피스 침체. 한국헤럴드. [URL]에서 확인.
최예린, 김동호. (2019). OTT 서비스가 방송 산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에서의 넷플릭스 사례를 중심으로. 컨텐츠학회논문지, 15(4), 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