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행동주심리학은 ()통해 마음을 측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행동주의 이론
1.1. 이론적 배경 및 행동주의 이론의 역사
1.1.1. 행동주의이론의 철학적 배경
1.1.2. 행동주의이론의 역사
1.2. 행동주의 이론의 특징
1.2.1. 특징
1.2.2. 인간관
1.3. 주요개념
1.3.1. 고전적 조건 형성이론
1.3.2. 조작적 조건 형성이론
1.3.3. 변별자극
1.3.4. 강화
1.3.5. 처벌
1.3.6. 소거
1.3.7. 강화물의 유형
1.3.8. 강화계획
1.4. 행동주의이론의 의의 및 비판
1.5. 사회적인지이론
1.5.1. 사회적인지이론의 특징
1.5.2. 주요개념
2. 심리학의 5대 관점
2.1. 신경생물학적 관점
2.2. 행동적 관점
2.3. 인지적 관점
2.4. 정신분석적 관점
2.5. 현상학적 관점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행동주의 이론
1.1. 이론적 배경 및 행동주의 이론의 역사
1.1.1. 행동주의이론의 철학적 배경
행동주의이론의 철학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플라톤은 지식이 유전되고 타고 나는 것이라는 생득론을 주장하였다. 지식은 인간의 마음을 구성하는 요소이며, 마음이 가진 내용을 반영하여 지식을 얻는다고 보았다. 플라톤은 감각적 정보가 방해가 되며 신뢰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식은 감각적인 경험으로부터 유전되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감각적인 정보는 모든 지식의 근본이라고 주장한 경험주의자이다. 이러한 감각적인 정보를 이성을 활용하여 발견하고, 감각적 경험을 통해 새로운 이데아를 유발한다고 하였다.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마음이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믿었다.
데카르트(1596-1650)는 철저한 의심을 가지고 모든 철학적 물음에 접근한 철학자이다. 내가 의심을 한다는 단 하나의 사실을 제외하고는 모든 것을 의심한다고 하였다. 내가 나의 생각을 의심할 때 내가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이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는 합리주의 철학의 대표적인 명제이다. 데카르트는 마음과 신체가 분리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신체는 예상 가능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기계라고 보았다. 이는 자극과 반응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로크(1632-1704)는 경험주의자로서 생득적인 관점에 반대하였다. 마음이 이데아로 구성되어 있고 생각은 경험으로부터 나온다고 주장하였다. 인간은 백지상태로 태어나 경험을 통해 채워진다고 보았다. 이차적 속성은 심리적 경험으로 객관적 요구로 접근할 수 없으며, 과학적 연구의 탐색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보았다.
다윈(1809-1882)은 생물학적 진화론을 주장한 학자로서 인간은 생물학적 유전과 경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1.1.2. 행동주의이론의 역사
행동주의이론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심리학의 아버지 분트(1832-1920)는 심리학 최초의 학파인 구성주의심리학의 창시자이다. 생리학, 심리학자, 철학자로서 사고가 언어, 신화, 습관 의해 영향을 받음을 인정하면서 민족의 혼을 탐구하려는 시도인 민족심리학 연구를 진행하였다. 티치너(1867-1927)는 구조주의 학파의 창시자로서 인간의 의식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면서 사고의 요소를 찾고자 하였다. 이때, 의식주의와 구조주의자들이 선택하 방법이 내성법이였다. 학습이 의식을 연구하는 데 방해가 된다고 보았다. 제임스(1842-1910)는 기능주의 학파의 창시자로서 의학과 철학을 전공하였다. 그는 다윈의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 의식의 유용성과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행동을 강조하였다. 심리학을 경험과학으로 정리하려고 하면서 응용심리학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내성법에 대한 반대와 의식은 고립된 현상이 아닌 의식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주장하면서 나타난 행동주의 심리학의 창시자는 왓슨(1878-1958)이다.
1.2. 행동주의 이론의 특징
1.2.1. 특징
행동주의 이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행동주의 이론은 관찰 가능한 대상자의 외적인 행동 패턴을 연구하며, 개별적 기질과 인지구조가 아닌 지속적인 경험이나 훈련을 통해 일어나 행동의 변화에 주목한다. 행동주의 이론의 가정은 유기체의 모든 행동은 학습된 결과이므로 결과가 문제 행동이라면 새로운 학습을 통해 변화 가능하다고 본다.
행동주의이론에서 성격이란 각 개인이 지니고 있는 행동유형들의 집합으로 한 개인의 행동과 그에 따르는 강화 사이의 관계라고 보았다. 자극-반응이라는 학습원칙은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각자의 유전적 배경과 독특한 환경적 조건이 개인 특유의 행동유형을 형성하므로 모든 사람들의 행동발달 유형은 모두 다르다.
강화된 행동은 습관이 되고 이 습관이 성격의 일부이다.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본성이 결정된다는 기계론적인 환경결정론을 따른다. 인간은 내적인 동기와 욕구나 창조적 힘이 아닌 유전적 요인과 환경에 따라 조건지어 지며 인간행동은 내적 충동보다 외적 자극에 의해 동기화된다. 즉, 강화의 빈도에 따라 강도가 결정된다. 인간행동의 영향을 주는 중요한 근원은 환경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이 없다. 성격은 이러한 환경적 자극에 반응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결과물로 볼 수 있다. 인간은 보상과 처벌에 따라 유지되는 기계적 존재로 보기 때문에 인간행동의 변화가능성을 인정하면서 관찰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두고 과학적 연구를 통해 인간본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1.2.2. 인간관
인간관은 행동주의 이론에서 인간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나타내는데, 행동주의 이론에서의 인간관은 기계론적이고 결정론적이다. 행동주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동식물과 같은 하나의 유기체로, 환경에 대한 작용과 반작용을 강조한다. 또한 인간의 행동이 자연현상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법칙성을 지니고 있다고 가정한다.
즉, 행동주의 이론은 인간의 행동이 여러 가지 변인들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러한 변인들과 행동을 지배하는 법칙을 밝혀낼 수 있다면 인간의 행동을 예언하고 수정할 수 있다고 본다. 인간은 내적인 동기와 욕구나 창조적 힘이 아닌 유전적 요인과 환경에 따라 조건지어진 기계적 존재이며, 보상과 처벌에 의해 유지되는 존재로 ...
참고 자료
권석만(2017). 성격심리학(인간 이해를 위한). 서울:학지사.
권중돈(202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론과 실천-. 서울:학지사.
김문수, 박소현 공역(2015). 학습과 행동 7판. 서울: 학지사.
김수정,장수미,오창순(2023).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학지사.
김춘경(2018). 성격심리학 의이해. 서울:학지사.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2018). 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학지사.
노안영(2018).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학지사.
노안영, 강영신(2003). 성격심리학. 서울:학지사.
신종호, 이선영(2016). 학습심리학-인간의 사고, 정서, 행동의 이해-. 서울:학지사.
이근홍(20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공동체.
이신영 역(2017). 스키너의 행동심리학. 서울:성인기획.
이영만, 유병관 공역(1991). 심리학과 인간이해: 프로이드-스키너-로저스. 서울:중앙적성출판사.
이영미(201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학지사.
이인정, 최해경(201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학지사.
장성화, 「심리학 개론」, 동문사, 2020.
정미경 외 1명, 「심리학개론」, 양서원, 2017.
김현택, 「현대 심리학 이해」, 학지사, 2006.
이희영 외 4 (2022). 인간 심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pp86-106.
현성용 외 16 (2018). 현대 심리학 입문. 학지사. pp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