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질향상 활동의 개요
1.1. 질향상 활동의 정의
질향상 활동이란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노력하는 일체의 활동을 말한다. 즉, QA(Quality Assurance) 또는 QI(Quality Improvement)라고 하며,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의료의 질을 개선해 나가는 과정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을 추구하기 위한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1.2. 질향상 활동 과정
질향상 활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설정 단계이다. 질향상의 목표는 조직의 최고책임자의 몫이다. 따라서 QI의 목표 제시는 하향식(Top down)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고책임자의 목표 제시가 곧 일방적 지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목표 제시는 반드시 목표를 설정하는 민주적 절차와 목표에 대한 조직구성원 대다수의 동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이 참여하는 워크숍, 회의, 세미나, 강의 등을 통해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QI활동의 목표는 병원의 비전과 경영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마다 새롭게 정해질 수 있다.
둘째, 팀구성 및 팀 목표설정 단계이다. 1)팀구성은 팀리더, 컨설턴트, 팀구성원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열정과 성의를 가진 구성원으로 구성해야 한다. 2) 팀 목표설정은 실제 개선할 과제의 구체적인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셋째, 주제선정 단계이다. 팀 구성원 모두가 알고 있는 정보를 동원하여 문제를 정의해 본다.
넷째, 문제분석 단계이다. 이 문제에 누가 관여가 되어 있으며, 누가 영향을 받는지(who), 어디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where), 언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지(when), 왜 문제가 발생하는지(why), 문제가 발생하면 무슨 일이 생기는지(what)를 분석한다.
다섯째, 조사와 현황파악 단계이다. 문제 개선의 초점이 되는 핵심지표를 결정하고 지표를 정의하며, 지표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고 자료수집계획을 세워 자료수집을 진행한다.
여섯째, 조사결과 분석 단계이다. 수집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분석하여 문제의 성격이나 주요 원인에 대한 결론을 확인한다.
일곱째, 표준과 목표설정 단계이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질적 수준인 표준을 정하고 표준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한다.
여덟째, 질향상 개선 계획 수립 단계이다. QI활동의 실제적인 최적 개선안을 도출하여 개선 계획을 수립한다.
아홉째, 개선방안 실행 단계이다.
열째, 결과 평가 단계이다. 실행된 개선방안의 결과가 긍정적으로 평가되면 표준화하고 확산하며, 유지 관리하는 단계이다. 개선방안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2. 낙상 예방을 위한 질향상 활동
2.1. 낙상의 문제점 및 배경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대표적인 안전사고 중 하나로, 의도하지 않은 사고에 의한 사망요인 중 주요한 원인을 차지한다. 낙상과 관련된 적신호 사건이 1996년 2건, 2000년 25건, 2005년 47건, 2010년 56건에서 2014년 91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어 낙상이 환자 안전에 많은 위협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낙상은 타박상, 골절, 뇌출혈을 동반하거나 낙상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까지 이르는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 특히, 정형외과 환자의 입원비율이 높은 병동의 경우 안전사고 중 대부분이 낙상사고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낙상에 대한 인식 증진과 예방활동을 통해 환자의 낙상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2.2. 낙상 예방을 위한 활동 목표
낙상 예방을 위한 활동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사고 중 낙상 사고율을 40%로 감소시키고자 한다. 의료기관에서 많이 발생하는 안전사고 중 하나인 낙상은 타박상, 골절, 뇌출혈 등의 심각한 신체적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낙상 사고율을 40%까지 낮추어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낙상 고위험군 예방 간호 수행률을 높이고자 한다. 2022년 2분기 기준 낙상 기준 환자 31건 중 낙상 고위험군이 16건(51%)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낙상 고위험군에 대한 예방 간호를 충실히 수행하여 낙상 예방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셋째, 보호자 없이 이동하다가 발생하는 낙상사고율을 50%로 감소시키고자 한다. 낙상사고 31건 중 23건(74%)이 보호자 없이 화장실로 이동하다가 발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