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사례 선정 이유
응급실에 입원하는 환자의 대부분은 60세 이상 노인인 경우가 많은데, 노인 대상자 대부분은 요통을 가장 많이 호소하였다. 나이가 많은 대상자일수록 뼈가 붙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생활하는데 많은 불편함을 얻게 된다. 그래서 관련된 질환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간호방법에 대하여 탐구하기 위해 이번 사례로 선정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2.1. 병태생리
뇌는 혈류 공급 손실에 매우 민감하다. 근육과 같은 신체조직과 달리 뇌는 산소와 포도당이 없는 경우 혐기성 대사를 할 수 없다. 뇌는 뇌 대사를 보존하기 위해 다른 덜 중요한 기관의 희생으로 관류된다. 저산소증은 뇌 허혈을 야기할 수 있고 단기간의 허혈은 일시적 신경학적 결손이나 일과성 허혈 발작을 야기한다. 뇌혈류가 복구되지 않으면 뇌조직은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이나 수분내에 경색을 맞게 된다. 경색의 범위는 폐색된 동맥의 위치와 크기 및 그것이 공급하는 부위에서의 측부 순환의 적절성에 의존한다.
뇌 조직 세포에 저산소증이 생기면 젖산이 생산되어 산독증이되고, 뇌혈류의 자동조절기능이 장애를 일으키므로 혈관이 확장되어 뇌충혈이 발생된다. 뇌혈류 중단이 30초이상 지속되면 세포의 Na-K pump기전이 정지되고, 뇌조직의 포도당이 급격히 감소되어 Na+과 수분이 세포내로 유입되어 세포내 부종이 발생한다. 이러한 병태생리적 과정을 통해 뇌경색이 발생하게 된다.
2.2. 정의
뇌는 혈류 공급 손실에 매우 민감하다. 근육과 같은 신체조직과 달리 뇌는 산소와 포도당이 없는 경우 혐기성 대사를 할 수 없다. 뇌는 뇌 대사를 보존하기 위해 다른 덜 중요한 기관의 희생으로 관류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조직이나 세포의 일부가 죽는 것)가 시작된다. 뇌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라고 한다. 반면 뇌혈류 감소에 의해 뇌기능에 이상이 생겼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충분한 뇌혈류가 다시 공급되어 뇌조직의 괴사 없이 뇌기능이 회복되었을 때를 일과성 허혈성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이라고 부른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경색과 일과성 허혈성 발작을 모두 통틀어서 일컫는 용어이다.
2.3. 원인
허혈성 뇌졸중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죽상경화증(동맥경화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뇌혈류가 차단되는 경우이다"". 그 외에 심장부정맥, 심부전 및 심근경색의 후유증 등으로 인하여 심장에서 혈전(심장이나 혈관 내에서 혈액이 응고된 상태)이 생성되고, 이 혈전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다가 뇌혈관을 막아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드물게는 모야모야병, 호모시스테인혈증 등 극히 드물게 발생하는 질병에 의해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2.4. 종류
허혈성 뇌졸중은 발생하는 기전에 따라 대혈관 질환에 의한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in large vessel disease), 색전증에 의한 뇌경색 또는 심인성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in cardiogenic embolism), 소혈관 질환(small vessel disease) 또는 열공 뇌경색(lacunar infarction), 그리고 기타 드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뇌경색으로 분류된다""
혈전성 뇌경색은 죽상 동맥 경화로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경우로, 나이가 많고 고혈압이나 당뇨병, 동맥 경화에 따른 심장병이 있는 경우가 많다""
색전성 뇌경색은 죽상 동맥 경화가 있는 동맥의 혈전에서 떨어져 나온 작은 조각(색전)이 뇌동맥을 따라 흘러가다 걸려 동맥을 막아 발생한다""
혈류 역학적 뇌경색은 죽상 경화로 동맥이 전체적으로 좁아지거나 막히거나, 또는 저혈압, 심한 출혈 등으로 전체적인 뇌의 혈액 순환이 줄어들어 주변의 혈관에 피가 모자라게 되어 발생한다""
열공성 뇌경색(소경색, 라쿤)은 중뇌동맥, 기저동맥 등 큰 동맥으로부터 가지쳐 나가는 작은 동맥이 손상되어 막혀 1.5cm 이하의 작은 경색이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일과성 허혈발작(TIA)은 일시적으로 뇌의 일부분에 혈액공급이 줄어들거나 중단되어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24시간 이내에 저절로 사라지는 경우를 말한다""
2.5. 진단 및 검사
뇌경색의 진단 및 검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진을 통해 환자의 증상 및 병의 경과, 과거력(고혈압, 당뇨, 심장병, 고지혈증, 흡연력, 음주력 등), 가족력 등을 자세히 파악한다. 경험 있는 의사라면 문진만으로도 뇌경색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경학적 검사를 실시한다. 신경과 의사가 시진, 촉진, 타진을 비롯하여 청진기, 망치, 바늘, 소리굽쇠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환자를 진찰함으로써 대략적인 뇌경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일반 검사로는 환자의 혈액 검사, 당뇨 여부, 심장/신장 기능 검사 등이 이루어진다.""
특수 검사로는 최신 의료 기술을 활용한다. 뇌전산화 단층촬영(CT)은 급성기 뇌경색과 뇌출혈을 구별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으로, 초기 치료를 결정하기 위해 가장 먼저 시행된다. 뇌경색은 저음영으로 나타나고 뇌출혈은 고음영으로 나타난다.""
자기공명영상(MRI)은 CT보다 영상력이 훨씬 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