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후변화에 초점을 맞춘 아동권리와 환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기후변화와 농축산 분야의 영향
1.2.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농업
2. 기후변화가 농축산물 생산에 미치는 영향
2.1. 기후변화의 현황
2.2. 농축산물 생산에 미치는 영향
3. 스마트팜을 활용한 미래 농업의 기후변화 대응방안
3.1. 스마트팜 기술의 현황
3.2. 미래 농업에 대한 대응 방안
4. 새로운 사회적 위험의 등장
4.1. 노동시장의 변화
4.2. 가족 형태와 구조 변화
4.3. 환경 및 생태위험
4.4. 복지국가의 변화
5. 새로운 사회적 위험의 특성
5.1. 사회적 위험의 분배 양상 변화
5.2. 정부 대응의 특성
6. 유럽 복지모델의 사례와 시사점
6.1. 유럽 복지모델의 유형
6.2. 복지와 성장의 조화 사례
7. 사회복지와 나눔의 관계
7.1. 나눔의 개념과 유형
7.2. 사회복지 실현을 위한 나눔의 역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기후변화와 농축산 분야의 영향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농축산 분야의 생산성 및 경제적 영향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 평균 온도가 1.09도 상승하면서 북극과 그린란드의 얼음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다. 또한 폭염, 폭우, 가뭄 등의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농작물 생산량 감소, 가축 폐사 등 농축산업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다.
전 세계 곡물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곡물, 설탕, 유지류 등의 가격이 전년 대비 각각 23.2%, 37.9%, 51.4%나 상승했다. 이는 결국 우리나라의 식품 및 사료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강우 불규칙성으로 작물 수확이 제때에 이루어지지 못해 큰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잠비아의 경우 기후변화로 인해 주요 식량작물인 옥수수 재배에 차질이 생겨 인구의 13%가 심각한 식량 부족 상황에 놓여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작물의 재배지가 계속해서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사과, 무, 배추 등 고랭지 작물의 생산량이 감소하는 반면 한라봉, 포도, 무화과 등의 재배지가 북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수산물의 주산지가 바뀌면서 농가 수입 감소와 함께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로 벼 수량과 품질이 악화되고 병해충도 유행하면서 농업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다.
이처럼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농축산업에 엄청난 타격을 주고 있다. 따라서 차세대 농업 기술인 스마트팜을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농업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농업은 농업 분야에서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농장을 지능화한 것이다. 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해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 일조량, 습도, 이산화탄소, 토양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여 최적의 환경을 조성한다. 스마트폰으로 원격 제어가 가능해 농장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팜 기술을 통해 농산물 생산량을 늘리고 농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으로 최적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스마트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자체적인 개발 시스템을 적용해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스마트팜 기술을 활용하면 기후변화에 다양하게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작스러운 기상 악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여 농장 환경을 관리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팜 서비스를 통해 농장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최적의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토양의 탄소를 격리하는 탄소농업 기술도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할 것이다. 물 부족 문제에도 스마트팜 기술을 활용하여 환경과 연동된 관수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더불어 사물인터넷 센서를 이용해 토양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필요한 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팜 기술은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 생산성 저하와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 기업 차원에서 스마트팜 기술 개발과 보급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2. 기후변화가 농축산물 생산에 미치는 영향
2.1. 기후변화의 현황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현황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지구의 온도는 최근 200년 간 1.09도 상승했으며, 온도 상승에 따라 극지방 얼음의 해빙 속도와 해수면 상승 속도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UN IPCC 6차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그린란드의 평균 빙상 유실 속도가 1992~1999년 기간 대비 약 6배 상승했고, 해수면 상승 속도도 1901~1971년 기간 대비 세 배 가까이 증가한 상황이다. 1979년 9월 690만km²였던 북극의 얼음이 2021년 9월에는 472만km²로 크게 감소했는데, 이는 우리나라 국토 면적의 약 21.8배에 해당할 정도로 광활한 영토이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해수면 상승은 물론 홍수, 가뭄, 폭염 등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 자료에 따르면 2021년 7월 기준 전 세계 육지와 해양의 표면 온도는 20세기 평균인 15.8°C보다 0.9°C 높은 16.7°C를 기록했는데, 이는 1880년 이래 최고 수준이다.
이에 따라 기후 변화로 인해 연중 시기에 관계없이 산불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대기 중 수증기 증발로 인한 폭우와 홍수 발생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2020년에는 세계적으로 416건의 자연재해가 발생하여 약 300조 원 이상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2.2. 농축산물 생산에 미치는 영향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농축산물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후변화의 현황을 살펴보면, 지구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북극의 얼음이 녹고 해수면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상기후로 인한 폭염, 가뭄, 호우 등의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농축산물 생산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첫째,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은 작물 수확량 감소와 품질 저하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세계 곡물 생산량이 크게 줄면서 국제 곡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이에 따른 애그플레이션 현상으로 국내 식료품과 사료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둘째, 기후변화로 인해 농작물 재배지가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과거에는 제주도와 같은 남부 지역에서만 생산되었던 한라봉, 무화과 등의 작...
참고 자료
기후변화: 인간이 지구 온난화에 책임이 있다는 증거는?, BBC, 2021.10.26.
[이슈 In] '11억 인구' 최빈국들의 고통…기후변화 피해도 가장 크다, 김문성, 연합뉴스, 2022.04.13.
기후변화로 몸살 앓는 지구…우주에서 보니, 전자신문, 2022.04.12.
"韓 기후변화 완화기술 특허, 日의 3분의 1 수준…지원 확대해야", 매일경제, 2022.03.17.
[특집] 기후변화가 농산물에 끼치는 영향, 김명현, 참여연대, 2020.10
“기후변화로 10년 안에 옥수수 생산 14% 줄고, 밀 17% 증가”, 이근영, 한겨레, 2021.11.02.
스마트팜(지능형 농장),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4055
[이슈분석 200호] 스마트 팜 최근 동향과 시사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1.10.15.
폭염·폭우에 몸
김시홍「유럽사회모델과 유럽연합의 사회적 차원」.
권리의 눈으로 본 나눔의 예술 1강, https://www.youtube.com/watch?v=n4kQzHkXHI8
권리의 눈으로 본 나눔의 예술 6강, https://www.youtube.com/watch?v=bJc5ZFMOOPU
두산백과, 사회복지,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6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