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세계화와 언어의 변화
1.1. 세계화로 인한 언어 소멸과 획일화
세계화의 흐름이 가속화하면서 소수 민족의 언어가 사라지고 영어를 중심으로 언어 사용이 획일화되는 추세다. 미국의 '사멸위기언어연구소'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에서 7천여 개의 언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2주에 하나 꼴로 사라지고 있다고 한다. 현재 세계 인구의 80% 이상은 83가지 주요 언어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으며 소수 민족의 언어 3500가지는 0.2%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사용자가 10명 미만인 언어도 500가지가 넘는다고 한다.
월드 워치에 따르면 현재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등 상위 15개 언어가 세계 인구의 절반가량에 의해 제1언어로 사용되고 있어 언어의 동질화가 심각한 상황이다. 유엔환경계획(UNEP)의 보고서에 의하면 전 세계 5000~7000개의 언어 가운데 2500개 이상의 언어가 1500명도 채 되지 않는 사용자를 갖고 있어 언어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한다. 특히 소수 민족 사회의 경우 청년층이 주류 문화에 편입하기 위해 영어를 쓰고 토착어는 고령자들만이 사용하기 때문에 100년 이내에 지구상의 언어 중 90%에 달하는 그 밖의 언어들은 21세기가 끝나기 전에 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사멸위기언어연구소에 따르면 동시베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남아메리카 중부 등 다섯 지역이 '언어 사멸 위험지역'으로 규정되었다.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언어가 남아있는 곳은 남태평양 일대와 중부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으로 파악되고 있다. 예를 들어 파푸아 뉴기니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832개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고, 인도네시아 약 731개, 나이지리아 515개, 인도 398개, 멕시코 295개, 카메룬 286개, 오스트레일리아 268개, 브라질 234개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언어 대부분이 조만간 사라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소수 민족의 언어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 주요 원인은 세계화와 그로 인한 영어의 영향력 확대이다. 영어는 점차 세계화되고 있어 모국어 사용자가 3억 2천2백만 명인 반면 제2언어 사용자는 3억 5천만 명으로 오히려 더 많은 상황이다. 일부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16억 인구가 어떠한 형태로든 영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추정할 정도로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을 비롯한 많은 비영어권 국가에 사는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혹은 반강제적으로 주류 언어인 영어를 구사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듯 세계화로 인한 언어의 획일화는 인류가 수천 년 동안 이루어온 문화적 다양성을 파괴한다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언어는 그 민족의 생활 관습, 사고, 정서가 축적된 인류 문화의 보고이므로 언어가 사라지면 이러한 문화적 다양성과 지식도 함께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언어의 획일화는 생태계의 다양성 파괴와 같이 인류 문화의 종말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1.2. 영어의 세계화와 확산
영어의 세계화와 확산은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과거에 비해 현대에 더욱 가속화된 세계화로 인해 영어는 국제 사회에서 공용어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다. 특히 영어가 외교, 경제, 과학, 기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요 언어로 사용되면서 영어 능력이 개인과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영어 사용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3억 2천2백만 명 정도이지만, 제2외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3억 5천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심지어 일부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약 16억 명이 어떠한 형태로든 영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중국의 표준어인 만다린어 사용자 수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많은 수준이다.
영어의 세계화는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다. 영어권 국가들이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강대국의 위치를 차지하면서 영어의 국제적 영향력이 커졌고, 세계화와 인터넷의 발달로 영어가 다양한 분야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게 되었다. 즉, 정치,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 영어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영어가 국제 언어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실제로 오늘날 세계 주요 학술 잡지는 대부분 영어로 발행되며, 인터넷에서도 대부분의 콘텐츠가 영어로 작성되어 있다. 또한 취업 시장에서도 영어 능력이 중요한 자격 요건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처럼 영어는 단순한 의사소통의 수단을 넘어 개인과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영어의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