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당뇨병을진단받은 환자에게 간호진단을 내릴 때 제공할 수 있는 간호목표, 구체적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과정
1.1. 간호과정의 정의 및 단계
1.2. 간호사정
1.3. 간호진단
1.4. 간호계획
1.5. 간호수행
1.6. 간호평가
1.7. 간호과정의 장점과 필요 역량
2. 당뇨병
2.1. 당뇨병의 정의
2.2. 당뇨병의 유형과 원인
2.3. 당뇨병의 증상
2.4. 당뇨병의 진단
2.5. 당뇨병의 치료
2.6. 당뇨병의 식이요법
2.7.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및 한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과정
1.1. 간호과정의 정의 및 단계
간호과정이란 "과학적인 방법으로 체계이론적 요소와 간호의 예술적 요소를 결합한 것"으로 정의된다. 간호과정은 간호활동을 진행하는 기반이 되는 것으로 간호의 목적수행을 위한 간호상의 문제해결 접근방법이다. 간호과정은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의 5단계로 이루어진다.
간호사정은 간호과정의 첫 단계로 대상자의 건강/상황에 대해 적절한 자료들을 포괄적으로 수집, 검증, 조직, 기록하는 과정이다. 간호사정의 목적은 대상자의 총체적인 상황과 어떻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건강문제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에 초점을 둔다.
간호진단은 간호과정의 두 번째 단계로 대상자의 구체적인 요구나 문제에 대한 인간 반응에 관해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진단추론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과 내린 결론을 형식에 맞게 진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간호계획은 간호과정의 세 번째 단계로 대상자의 기대결과와 목표를 규명하고 기대결과를 성취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제공할 적절한 간호중재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우선순위 설정으로 시작하여 목표 수립, 기대하는 결과 확인 그리고 구체적 간호중재를 결정한다.
간호수행은 간호과정의 네 번째 단계로 간호계획이 실행으로 옮겨지는 단계이다. 간호 수행은 간호제공을 위한 우선순위 확인, 간호 제공, 각 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을 모니터링과 기록, 해당 정보를 관련 의료진과 의사소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간호평가는 간호과정의 다섯 번째 단계로 간호단계에서 설정한 기대하는 결과를 성취하였는지 평가하는 단계이다. 목표달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간호과정의 모든 단계를 검토하게 된다.
1.2. 간호사정
간호사정은 간호과정의 첫 단계로 대상자의 건강/상황에 대해 적절한 자료들을 포괄적으로 수집, 검증, 조직, 기록하는 과정이다. 간호사정의 목적은 대상자의 총체적인 상황과 어떻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를 제공하기 위함이고 간호사정은 건강문제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에 초점을 둔다.
간호사정 단계에서는 대상자의 객관적 자료와 주관적 자료를 수집한다. 객관적 자료는 활력징후, 검사결과, 신체검진 등을 통해 관찰된 자료이며, 주관적 자료는 대상자가 표현하는 증상, 불편감, 염려사항 등이다. 간호사는 이러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수집하여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건강요구를 파악한다.
또한 간호사정 시 대상자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대상자의 가치관, 문화, 생활양식 등을 파악하여 대상자 중심의 간호중재를 계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가 선호하는 치료방법이나 대안적 요법에 대해 묻고 이를 간호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이처럼 간호사정은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요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계획 수립의 기초가 되므로, 체계적이고 정확한 간호사정이 매우 중요하다.
1.3.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간호과정의 두 번째 단계로, 대상자의 구체적인 요구나 문제에 대한 인간 반응에 관해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간호진단은 진단추론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과 내린 결론을 진단진술 형식으로 기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간호진단은 간호사가 간호사정 단계에서 수집한 객관적, 주관적 자료를 분석하여 도출한다. 이때 간호사는 질병, 손상, 생리적 반응, 심리사회적 반응, 영적 반응 등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관련된 인간 반응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간호 요구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간호진단 진술문으로 표현하게 된다.
간호진단을 도출할 때는 NANDA-I 분류체계를 활용하여 문제, 원인, 관련요인을 체계적으로 기술한다. 이때 문제는 대상자의 건강문제나 건강증진 요구를, 원인은 문제의 원인을, 관...
참고 자료
김성태.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1권. EDU FIRST. 241~273P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1323~1363P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서울 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질병관리본부 건강정보. 인슐린 의존 당뇨병성 케톤산증. 2012-09-25
http://health.cdc.go.kr/health/mobileweb/content/group_view.jsp?CID=78901226D9
서울 아산병원. [의료 정보]. 당뇨병성 케톤산증 (Diabetic ketoacidosis)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613
서울 아산병원. [의료 정보].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Diabetic polyneuropathy)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274&tabIndex=0
송경애 외, 2020, 최신 기본간호학 Ⅰ, 수문사
황옥남 외, 2019,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황옥남 외, 2019,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이동숙, 외 편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널스출판사, 2016
김조자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2014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18
김경미 외 공저, 『알기 쉬운 감염관리』, 정담미디어, 2018
이한기 외 공저, 『최신 병리학』, 수문사, 2014
양선희 외 공저, 『최신 병리학, 현문사, 2018
서울아산병원, 『당뇨발이란 무엇인가』,
http://www.amc.seoul.kr/asan/healthstory/medicalcolumn/medicalColumnDetail.do?medicalColumnId=33967
서울아산병원, 『당뇨병』,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96&tabIndex=0
서울아산병원, 『당뇨병식』,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ealtherapy/mealTherapyDetail.do?mtId=46
한림대학교의료원,『당뇨병성 말초혈관 질환』, https://www.hallym.or.kr/ptp120.asp?Health_No=323
네이버 지식백과, 『고압산소요법』,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865&cid=51007&categoryId=51007&anchorTarget=TABLE_OF_CONTENT9#TABLE_OF_CONTENT9
네이버 지식백과, 『당뇨병』,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35&mobile&cid=51007&categoryId=5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