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환자안전과 질향상 원리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안전과 간호 질 향상에 대한 개요
1.1. 안전과 간호 질 향상의 필요성 및 중요성
1.2. 안전과 간호 질 향상의 개념
1.3. 안전과 간호 질 향상의 종류
1.4. 안전과 간호 질 향상 분석도구
1.5. 안전과 간호 질 향상 개선방안 및 안전 증진 전략
1.6. 실습부서에서의 안전과 간호 질 향상 체계
2. 실습 중 발생한 안전 문제 및 간호 질 향상 필요 사례
2.1. 사례 제시
2.2. 사례에 대한 원인분석
2.3. 사례에 대한 개선방안 도출
3. 안전과 간호 질 향상 활동에 대한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안전과 간호 질 향상에 대한 개요
1.1. 안전과 간호 질 향상의 필요성 및 중요성
환자안전(patient safety)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계기가 된 것은 1999년에 미국의학협회(lnstitute of Medicine)에서 발표한 보고서(To Err is Human)라고 할 수 있다. 이 보고서에서, 미국에서 의료 오류로 인해 병원에서 사망하는 사람이 매년 44,000명에서 98,000명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하면서 의료오류의 심각성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게 되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2019년 세계보건총회(World Health Assembly)에서 환자안전을 보건의료의 핵심 선결문제로 삼고 모든 회원국들에게 환자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촉구하였다. 이에 부응하여 세계보건기구는 글로벌 캠페인으로 매년 9월 17일을 환자안전의 날로 제정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안전과 더불어 간호 질 향상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 또한 강조되어야 한다. 간호사는 보건의료 인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환자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간호 서비스의 질은 환자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전한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병원의 여러 분야에 모두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2. 안전과 간호 질 향상의 개념
환자안전은 의료로 인한 우발적 혹은 예방 가능한 손상이 없는 것을 말한다. 세계보건기구(WHO, 2009)에서는 환자안전을 '보건의료와 관련된 불필요한 위해의 위험을 수용 가능한 최소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질향상은 치료과정의 결과를 감시하는 자료를 사용하여 건강증진방법을 도모하고, 계속적으로 치료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질향상은 안전성의 중요한 측면으로 안전성위 발생원인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간호를 수행하고 의료체계가 발전될 수 있도록 한다."
1.3. 안전과 간호 질 향상의 종류
안전과 간호 질 향상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최상의 실무를 따르기: 확인된 환자안전 중재를 배포하고 훈련한다(예: 손씻기, 시술 전 타임아웃, 의약품 조정). 또한 중복성, 기능 강제, 바코딩, 표준화된 오더세트, 프로토콜과 같은 안전전략을 구현한다""
의약품 안전을 목표로 하기: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과 조제의 개발을 지지하는 등 의약품 안전을 위하여 노력한다""
임상 시스템을 재설계하기: 의료시스템과 프로세스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시스템을 창출할 때 인적 요소를 고려한 안전-설계 개념을 구현한다""
연구를 지원하기: 효과적인 환자안전 중재를 확인하고 정련하기 위한 연구를 확대한다. 또한 국가의 보건의료 연구기금 시스템이 의무적으로 환자안전 구성요소를 포함하도록 한다""
1.4. 안전과 간호 질 향상 분석도구
안전과 간호 질 향상 분석도구는 의료기관의 체계적인 질관리를 위해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방...
참고 자료
남문희 등. (2023). 환자안전과 간호의 질향상, 수문사
이병숙, 강성례, 김현경, 신지원, 안혜경, 이은주. (2019. 02). 간호관리학. 학지사메디컬
한국간호연구학회지. 김지미 외. (2022). ‘안전과 질 향상’ 간호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개발.
박정하. (2020).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간호서비스의 질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6(3), 181-191.
박아영, 김계하. (2016). 간호대학생을 위한 질 향상과 안전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28(5), 559-571.
김희진. "환자안전 전담인력의 환자안전관리의 어려움 및 역량강화 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서울
한국이러닝인재개발원. 023_질 향상과 환자안전
국토연구원. 스위스 치즈 모델. https://www.krihs.re.kr/publica/bbsView.es?num=1039&serlno=1
국토연구원. 하인리히 법칙.
https://www.krihs.re.kr/publica/bbsView.es?num=184&serlno=1
대한간호협회. 환자안전사고 예방활동. 늘푸른 요양병원
https://www.koreanurse.or.kr/mailing_data/2023/20230803_03.pdf
뉴스더보이스헬스케어.2024-05-17. “병원입원 후 발생한 욕창...환자에게 어떤 결과 초래?.http://www.newsthevoice.com
제3판 간호관리학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