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고위험 임산모
1.1. 임신성 고혈압
1.1.1. 임신성 고혈압 상태 분류
임신성 고혈압 상태 분류는 다음과 같다.
임신성 고혈압은 단백뇨 없이 과거에 혈압이 정상인 부인이 임신 20주 이후에 고혈압이 발생하는 상태이다. 자간전증은 임신 20주 이후나 산욕초기에 과거에 정상인 부인이 단백뇨와 고혈압이 발생하는 상태이다. 자간증은 자간전증 부인에게 경련과 혼수가 발생하는 상태이다. 또한 현재 고혈압을 앓는 부인이 자간전증이나 자간증이 발생하는 경우를 superimposed preeclampsia or eclampsia라고 한다.
한편, 임신전이나 20주전에 발생한 고혈압으로 비임신성인 경우를 concurrent hypertention & pregnancy(CHP), Chronic Hypertension(만성 고혈압)이라고 한다. CHP의 경우 수축기 혈압이 3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15mmHg 이상 상승한다.
PIH의 경우 혈압이 140/90mmHg 이상이거나 개인의 기본혈압에 비해 상승한 경우를 말한다. PIH는 분만 후 10일 내에 소실된다.
1.1.2. 간호
임신성 고혈압 산모의 간호는 다음과 같다"
간호사는 우선 활력징후와 태아 심음을 측정하여 관찰한다. 특히 혈압 측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 외에 출산력, 분만 예정일, 최종 월경일을 사정한다.
또한 PIH의 위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급격한 혈압 상승(160/110mmHg 이상), 급작스러운 체중 증가(주당 2kg 이상), 전신부종, 단백뇨 증가, 가슴 통증, 과반사, 심한 두통, 시각장애, 소변량 감소(100cc/4hr 이하), 심한 오심과 구토 등이 해당된다. 요 부종의 정도도 사정하여 기록한다.
간호사는 단백뇨 검사도 실시한다. 약산성 소변에 황산 살리실산 시약을 넣어 단백뇨 정도를 판단한다. 검사 결과에 따라 +1~+4까지 등급을 매긴다.
혈압이 높은 경우(110mmHg 이상) 간호사는 수액 내 Hydralazine을 투여하여 혈압을 관리한다. 이때 5분마다 3회 혈압을 재측정하고, 여전히 조절이 되지 않으면 10mg을 추가로 투여한다.
중증 PIH 산모의 경우 Foley 도뇨관을 삽입하여 1시간당 소변량을 측정하여 관찰한다. 소변량이 30cc/hr 이하이면 중증으로 판단한다.
경증 PIH 산모는 병동에서, 중증 PIH 산모는 분만실에서 간호한다. 분만실로 이송 시에는 MgSO4를 함께 투여하여 경련 예방 및 자궁 이완을 도모한다.
MgSO4 투여 시 부작용 증상(갑작스러운 저혈압, 소변량 감소, 호흡 저하 등)을 관찰하고, 필요 시 칼슘 제제로 해독한다.
분만 후에도 24시간 정도 관찰하다가 병동으로 이동한다.
1.2. HELLP Syndrome
1.2.1. 소개
HELLP Syndrome은 임신성 고혈압의 한 유형으로, 임신부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HELLP Syndrome은 "hemolysis(H), elevated liver enzyme(EL), low platelet(LP)"의 약자로, 용혈(hemolysis), 간효소 증가, 혈소판 감소 등의 특징을 나타낸다. 이는 임신성 고혈압의 약 20%에서 발생하며, 임신 27주 이하에서는 10%, 27-37주 사이에는 70%, 37주 이상에서는 20%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ELLP Syndrome의 발생은 임신 중 자궁 내 혈관수축(segmental vasospasm)으로 인한 혈관 내피 세포 기능 저하와 손상으로 시작되며, 이는 혈소판 응집, 혈관 내 응고 활성화, 섬유소 침전 등을 유발하여 결과적으로 혈액순환 장애와 용혈성 빈혈 등의 증상을 초래한다. 이러한 HELLP Syndrome은 산모와 태아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2. 병태생리
HELLP 증후군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HELLP 증후군의 병태생리는 순차적 혈관연축(segmental vasospasm)으로 시작된다. 혈관연축은 혈관내피세포 기능저하와 손상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혈소판 응집과 고갈이 발생한다. 이어서 혈관내 응고화 활성화와 fibrin 침전이 진행되면 혈액순환 장애와 빈혈이 야기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RBC 용혈, fibrin 침전, 빠른 속도로 RBC가 파괴되는 양상(microangiopathic, hemolytic anemia)이 나타난다. 또한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이 발생하는데, 이는 혈관내피에 혈소판이 부착되어 고갈되기 때문이다. 신장기능 장애(renal compromise)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