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화장품 자연유화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화장품의 개념 및 분류
2.1. 화장품의 정의
2.2. 천연화장품의 정의
3. 일반 화장품의 유해성분 논란 및 유해성분물질
3.1. 화장품 유해성분 논란
3.2. 유해 논란 화장품 성분
4. 천연기능성화장품
4.1. 미백화장품
4.2. 보습화장품
4.3. 항노화 화장품
5. 천연화장품 제조법
5.1. 알코올이 포함된 스킨로션 제조법
5.2. 무알코올 스킨로션 제조법
5.3. 간단한 천연스킨로션 제조법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류가 화장품을 언제부터 사용했는지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없지만, 화장이 인류 역사 기록의 시작단계부터 기술되어 있는 것을 볼 때, 화장품의 역사는 그보다 훨씬 앞섰을 것으로 추측된다. 민간처방으로 돼지기름을 발라 동상을 예방하며 피부를 곱게 했다는 것과 미늘과 끌을 섞은 것을 얼굴에 붙이고 있으면 기미와 주근깨가 개선된다는 내용 등이 전해지는 것을 보면 고대의 화장품도 건강과 아름다움에 기본을 갖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과학과 산업이 발달하며 인간의 생활수준이 편리해지면서 또 한편으로는 환경오염과 새로운 질병들이 발병하였고 건강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며 웰빙 트렌드가 자리매김하게 된다. 화장품 기술과 산업 역시 이러한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높은 수준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2000년대 접어들며 건강과 뷰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또 한편으로 화장품 유해성분 논란이 발생하며 화학성분이 함유된 화장품에 대한 대중들의 우려가 높아지며 안전한 화장품, 천연성분화장품 시장이 확대되는 계기가 된다.
2. 화장품의 개념 및 분류
2.1. 화장품의 정의
화장품의 정의는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이다. 화장품은 머리카락과 두피를 포함한 전신 세정 제품부터 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등 피부와 모발에 바르는 제품,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미용에 사용하는 메이크업 제품, 네일 케어 제품, 모발의 구조 변형과 컬러 변형을 의도적으로 일으키는 퍼머넌트와 염색에 활용하는 웨이브 제품, 염모제, 헤어스타일링 제품 까지 전부 포함한다.
2.2. 천연화장품의 정의
천연화장품의 정의는 나라마다 다르게 정의되고 있으나, 공통적으로 천연에서 추출한 원료를 사용하고 화학적 합성 물질의 사용을 최소화한 화장품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화장품법 상에 "동식물 및 그 유래 원료 등을 함유한 화장품으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기준에 맞는 화장품"으로 정의하고 있다. 반면 유기농화장품은 "유기농 원료, 동식물 및 그 유래 원료 등을 함유한 화장품으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기준에 맞는 화장품"으로 구별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도 천연화장품을 "전부 또는 일부 천연 원료를 사용하고, 인체에 해가 되는 화학적 성분, 인공적으로 합성해 피부에 자극을 주는 성분들을 최대한 배제한 화장품", "식물성유 및 자연, 천연에서 추출한 재료를 사용하고 유해성분이나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자극이 적으며 피부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회복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화장품", "천연성분을 바탕으로 하고 천연 유래 성분을 함유하고 합성 성분을 최대한 줄인 화장품"으로 정의하고 있다.
3. 일반 화장품의 유해성분 논란 및 유해성분물질
3.1. 화장품 유해성분 논란
화장품 유해성분 논란은 2000년대 접어들며 건강과 뷰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두되었다. 화학성분이 함유된 화장품에 대한 대중들의 우려가 높아지면서 안전한 화장품, 천연성분화장품 시장이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화장품에 대한 성분 논란과 유해성 물질 이슈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성분과 리뷰 등을 꼼꼼히 확인하게 하였고, 안전한 화장품의 이용을 위한 기준으로 화장품 원료에 대한 법적 기준 등이 제시되었다. 특히 파라벤류, 페녹시에탄올,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디엠디엠히단토인 등 화학방부제와 합성계면활성제, 인공합성색소, 미네랄 오일, 인공합성향료 등의 유해성분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화학성분에 대한 우...
참고 자료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화장품법 [化粧品法]
창원사이버평생교육원 교안
구회연 외,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 거름, 2010.
최화정 외, 『화장품 상품기획 & 개발』, 광문각, 2022,
김영한 임희정, 『웰빙마케팅』, 다산북스, 2004.
손은수 김상우 강종석 이상필, 「천연물 유래 화장품 소재의 기술개발 동향 및 특허정보보고서, Applied Chemistry, Vol8, N2, pp.466-469, 2004
배연지, 「천연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의 상관관계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김하얀, 「하이테크화장품과 천연화장품의 인식 및 만족도 비교 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향장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박은주, 「20대~50대 여성의 DIY 천연화장품 인지도, 사용실태, 만족도, 안전성 및 부작용 인식 비교」,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뷰티예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김주영 이명진 최승진, 「로쎄앙 화장품 5개 제품 석면검출」, 매일경제, 2009.04.06.
정재윤, 「화장품에 의한 접촉피부염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방부제 성분에 대한 첩포검사 결과에 대한 고찰 」, 대한피부과학회, 2010, 109-114.
모정희, 「화장품 성품표시제에 따른 화장품 성분의 지식정도와 만족도」, 대한미용과학회지 6(2), 2010.pp.173-178.
정승현 외, 「화장품에 의한 접촉피부염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향료 관련 항원의 첩포검사에 관한연구 의화여자대학 단국대학교 의과전문대학 피부과학교실, 165-165
이동연, 「화장품전성분표시제와 천연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연구」,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김은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화장품 개발 동향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4(2), 2006, 3
KOTRA, 주요국 천연화장품 시장동향, Global Market Report 2015, 15-032
대한화장품협회 성분사전(https://kcia.or.kr/cid/main/)
스킨 로션 (향기로운 삶을 연출하는 허브&아로마 라이프, 2002. 6. 20., 조태동, 송진희)
(패션전문자료사전, 1997. 8. 25.,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
정보
토너 [Toner] (두산백과)
스킨제조법 (https://cafe.naver.com/nanoljn/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