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TTN(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1.1. 정의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은 신생아의 호흡기 질환 중 비교적 흔하고 경한 질환으로서, 출생 시 폐포 내에 있던 폐액의 제거와 흡수가 늦어져서 발생한다. 일시적인 빈호흡을 주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며, 대부분 1주 이내에 호전된다."
1.2. 병태생리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TTN(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생 시 폐포 및 폐간질 등의 폐조직 내 폐액의 흡수지연 때문에 일어나는 일과성 폐부종 때문에 발생한다. 신생아의 폐는 태아 시기에 혈장의 여과액에 의해 채워져 확장되어 있다가, 분만과정을 거치면서 이 폐액이 제거되고 공기로 대체되어 간다. 그런데 분만과정 중에 폐액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고 남게 되면 폐포와 폐간질에 액체가 차게 되어 폐부종이 발생하게 된다.
둘째, 중심 정맥압을 높게 만드는 조건이 폐액의 흉관(thoracic duct)이나 폐 림프계로의 배출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중심 정맥압이 높아지면 폐포와 폐간질로의 폐액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부종이 발생하게 된다.
셋째, 출생 전, 출생 중 정상적인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면 세기관지 주위의 림프관들과 기관지혈관 공간(bronchovascular space)에 폐액이 차게 되고, 이어서 세기관지 압박으로 세기관지 허탈 및 공기 저류가 나타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폐의 탄성이 감소하고, 고탄산혈증을 보상하기 위해 빈호흡이 나타나게 된다.
즉, 출생 시 폐포 및 폐간질의 폐액 흡수 지연, 중심 정맥압 상승에 의한 배출 지연, 세기관지 압박에 따른 허탈 및 공기 저류 등으로 인해 일과성 폐부종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고탄산혈증 보상 기전으로 빈호흡이 나타나는 것이 TTN의 병태생리라고 할 수 있다.
1.3. 위험요인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TTN(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의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숙아와 만삭에 가까운 후기 조산아에게서 주로 나타난다. 신생아의 호흡기 질환 중 비교적 흔한 경증 질환으로서, 주로 만삭아나 만삭에 거의 가까운 후기 조산아에게 많이 발생한다.""
둘째, 제왕절개 분만의 경우 폐액 배출이 지연될 수 있다. 정상 질식 분만 시 산모의 산도로부터 받는 흉곽에 대한 압박으로 폐액이 잘 배출되지만, 제왕절개 분만의 경우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아 폐액 배출이 지연될 수 있다.""
셋째, 진통의 지연은 폐액 흡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진통 시 분비되는 카테콜라민 등의 호르몬이 폐액 흡수를 촉진하지만, 진통의 지연으로 인해 이러한 호르몬 분비가 지연되면 폐액 흡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넷째, 거대아(당뇨병 산모의 아기)에서 발생 위험이 높다. 거대아의 경우 출생 시 체중이 크고 폐 발달이 지연되어 폐액 배출과 흡수가 원활하지 않아 TTN 발생 위험이 높다.""
다섯째, 남아에게서 발생 빈도가 더 높다. 성별에 따른 호르몬 차이로 인해 남아에서 TTN 발생 위험이 여아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섯째, 산모의 과도한 수액 보충과 진정제 사용도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산모의 과도한 수액 공급이나 진정제 사용은 태아의 폐액 배출과 흡수를 지연시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