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 변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 변비
1.1. 정의
1.2. 원인
1.3. 증상
1.4. 진단/검사
1.5. 합병증
1.6. 간호
2. 간호진단
2.1. 부동과 관련된 변비
2.2. 체액과다와 관련된 부종
2.3. 노화로 인한 허약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2.4.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2.5. 보행장애
2.6. 자가간호 결핍
2.7. 외로움 위험성
2.8. 여가활동 부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 변비
1.1. 정의
노인 변비란 정상적으로 생활하던 노인이 다양한 이유로 인해 배변 기능이 저하되어 대변을 볼 때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말한다. 노화로 인한 신체 기능의 저하와 만성 질환, 약물 복용, 활동량 감소 등이 노인 변비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로 인해 노인들은 불편감을 느끼며 장기적으로는 건강상의 문제를 겪을 수 있다.
1.2. 원인
노화에 따른 생리적 변화가 노인 변비의 주된 원인이다. 노인들은 장관 지방 조직 감소와 장관 근육 위축으로 인해 장 운동이 감소한다. 또한 신경계 기능 저하로 대장 연동 운동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장 통과 시간이 지연되어 변비가 발생하게 된다.
노인들의 식이 섭취량 감소와 식사 습관의 변화도 변비의 원인이 된다. 섬유질 섭취 부족, 수분 섭취 감소, 규칙적인 배변 습관 부재 등이 변비를 유발한다. 이와 더불어 약물, 질환, 신체 활동 저하 등의 요인들도 변비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노인들이 자주 복용하는 변비를 유발할 수 있는 약물로는 마약성 진통제, 항우울제, 항파킨슨제 등이 있다. 그 외에도 당뇨병, 파킨슨병,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의 만성 질환들이 변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인들의 신체 활동 저하와 부동 상태도 변비의 원인이 된다. 장 운동을 자극하는 신체 활동이 저하되면 변비가 유발될 수 있다.
1.3. 증상
노인의 경우 변비 증상으로 배변 시 과도한 힘이 들어가며, 변이 단단하게 배출된다. 또한 배변 후에도 변이 남아있다는 느낌이 드는 경우가 많다. 이와 함께 복부 팽만감, 복통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만성 변비는 식욕부진이나 소화불량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우울증으로 이어지기도 하여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1.4. 진단/검사
노인 변비 환자의 진단 및 검사는 주관적 자료 수집과 객관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우선 환자와의 면담을 통해 변비의 발생 시기, 배변 양상, 관련 증상 등의 주관적 자료를 확인한다. 이어서 환자의 활력징후 측정, 신체검진, 혈액검사, 영상검사 등을 통해 변비의 원인이 되는 기저질환을 진단한다.
Bristol stool scale을 활용하여 변 형태를 확인하고, 배설량과 섭취량의 불균형을 파악한다. 또한 복부 팽만, 통증, 장음 등을 평가하여 변비 정도를 사정한다.
필요에 따라 대장 내시경, CT 대장 조영술, 바륨 관장 검사 등을 실시하여 변비의 기질적 원인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배변 시간 측정, 항문 압력 검사, 항문내압 검사 등을 통해 기능적 변비 여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은 다각도의 진단 과정을 통해 노인 변비 환자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수립할 수 있다.
1.5. 합병증
노인 변비 환자의 경우 장기간 지속되는 변비로 인해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낙상 위험성이 증가한다. 변비로 인해 만성적인 배뇨장애와 허약감이 나타나면서 보행이 불편해지고 낙상의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고령의 노인은 골다공증 등의 동반 질환으로 인해 낙상 시 골절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둘째, 피부 손상의 위험이 높아진다. 변비로 인한 장기적인 부동은 욕창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변실금으로 인한 피부 자극과...
참고 자료
고일선, 김현경, 박주영, 백훈정, 신윤희, 이지아(2014), 간호과정 비판적 사고와 임상추론의 적용, 서울 : 정담 미디어
박은영, 송미령, 류은정, 고영, 오현진, 부선주(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이윤정, 김윤수, 김혜원, 장희경(2017), 간호대학생을 위한 임상적 추론, 서울 : 계축문화사
성인 간호학 . 현문사
성인 간호학 . 수문사
포널스's 포켓시리즈 간호진단 . 포널스 출판사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 JMK
양선희 외 공저(2013), 기본간호학 1, 현문사
성인간호학 상, 하(2018).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1, 2(2017). 수문사. 손경애 외
학술자료: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변비 간호지식과 간호활동에 관한 연구』(2011.12). 김지은 외. 인하대학교. 노인간호학회지 제13권 제3호. (172~183page)
학술자료: 『변비 약물 치료의 지침』(2015). 신정은. 홍경섭 외. 대한내과학회지 제 88권 제1호. (22~26page)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constipation]
https://www.health.kr/
https://www.continence.org.au/bristol-stool-chart
네이버 지식백과
https://blog.naver.com/ppi4346/221035891605 - 이미지 참고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7010402564
서울대학교 병원 건강칼럼 – 변비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음식과 생활 습관을 알려주세요.
학술논문 :『신체활동 정도 및 식이 섭취에 따른 대장 통과 시간의 비교』(2010). 송봉길. 스포츠과학리뷰 제 4권 제 2호 (13~24page)
서울아산병원, “고혈압”,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322, 2023.08.17.
서울아산병원, “골다공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11, 2023.08.17.
서울아산병원, “치매”,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5, 2023.08.17.
서울대학교병원, “고지혈증”,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58, 2023.08.17.
서울아산병원, “변비”,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00, 2023.08.17.
약학정보원, 2023.08.17.
최영희 외. 제5판 노인과 건강, 현문사, 2015
일곱째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일곱째판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김정애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수문사. 2013
정신간호학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