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폐아동음악치료세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폐아동 음악치료 세션
1.1. 치료실 환경구성 및 준비 자료
1.2. 활동별 목표와 과정
1.2.1. 인사노래를 통한 라포 형성
1.2.2. 타악기 연주로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
1.2.3. 노래와 악기연주로 주의 집중력 향상
1.2.4. 동물 울음소리 따라하기로 인지능력 향상
2. 선행연구 고찰
2.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2. 연구 목적 및 가설
2.3. 연구 방법
2.4. 연구 결과
2.5. 논의 및 제언
3. 자폐아동 상담 전략
3.1. 특수아의 영역별 장애 정의
3.2.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전략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폐아동 음악치료 세션
1.1. 치료실 환경구성 및 준비 자료
치료실의 환경구성은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먼저 치료사와 내담자가 활동하는 데 필요한 준비 자료를 치료사 옆에 배치한다. 키보드는 치료실 사이드 책상에 위치시켜 보조치료사가 연주할 수 있게 한다. 치료사와 내담자들은 지정된 의자에 앉아 세션을 진행하며, 내담자들은 치료사를 바라보며 둥글게 앉는다. 치료사와 내담자들의 거리는 50cm 이내로 내담자들의 자리를 지정한다.
준비자료로는 음악적 자료로 키보드, 기타, 터치 핸드벨, 탬버린 등이 있으며, 비음악적 자료로 책상, 의자, 노트북, 모니터, 스티커 등이 활용된다. 이처럼 치료실의 환경구성과 준비 자료 배치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1]
1.2. 활동별 목표와 과정
1.2.1. 인사노래를 통한 라포 형성
보조 선생님과 내담자들이 함께 교실로 들어오면, 치료사와 보조치료사는 내담자들 한 명 한 명의 이름을 말하며 미소를 짓고 '안녕'하고 인사한다. 내담자 각자의 이름이 붙어있는 지정된 책상에 착석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내담자 한 명 한 명의 눈을 바라보며 '당신은 누구십니까?'라고 말하며 내담자들의 집중과 참여를 이끌어낸다. 이후 각자 짝꿍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며, 인사를 하지 않거나 본인과 짝꿍을 제대로 소개하지 않은 내담자가 있다면 다시 노래를 시작하여 기회를 제공한다. 치료사와 보조치료사는 노래를 크게 부르며 내담자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내담자들과 라포를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증진시킨다. []
1.2.2. 타악기 연주로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
치료사는 내담자들에게 먼저 타악기 사진을 보여주며 악기 이름을 기억하고 인지시킨다. 그리고 내담자들에게 악기를 나누어 준 후 각자 어떻게 연주하고 싶은지 물어본다. 내담자들은 자신만의 방법으로 타악기를 연주하며 서로 모방한다. 특히 치료사가 타악기 연주 시 '그대로 멈춰라'라고 노래하면서 음악을 멈추는데, 이때 내담자들도 즉시 연주를 멈춰야 한다. 보조 치료사는 계속해서 연주하는 내담자를 도와 제때 멈출 수 있도록 돕는다. 치료사는 내담자 한 명 한 명의 이름을 넣어 노래를 부르며 타악기를 연주하게 하여, 개인과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낸다. 이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타악기 연주 활동을 진행하여 내담자들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을 향상시킨다. [1]
강한 리듬의 연주와 부드러운 연주, 빠르고 느린 연주 등 다양한 방식으로 타악기를 연주하며 내담자들의 사회적 참여와 경청, 모방 행동을 이끌어낸다. 또한 하나의 악기를 공유하여 연주하게 함으로써 내담자들 간의 협력과 상호작용을 증진시킨다. 이와 같이 음악 활동을 통해 내담자들의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1]
치료사는 내담자들이 타악기를 연주하며 자신의 연주를 모방하고 상호작용...
참고 자료
LaGasse, A. B. (2014). Effects of a music therapy group intervention on enhancing social skills in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music therapy, 51(3), 250-275.
황지애,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아동에 대한 인식 차이”, 진주교대, 2015
조성재, “장애인의 심리ㆍ사회적 적응을 위한 재활 상담 기법 및 중재방안”, 특수교육저널, 2007
정은, “특수아동 상담의 실천적 이해를 위한 방법론적 탐색”, 특수교육저널, 2004
김동길외, “특수아동상담”, 학지사, 2003
성현영, “음악치료활동을 통한 특수아동의 도덕성 발달 실증 연구”, 경성대,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