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습병동 현황
1.1. 병동 구조 및 특성
이 병동은 12개의 호실과 47개의 병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질환은 호흡기계와 폐의 건강문제를 가진 환자들이다. 이 병동은 중앙 환기 시스템을 사용하며, 소음 관리를 위해 전조등을 사용하고 있다. 조명은 적절한 밝기를 유지하고 있으며, 각 침대 위에 처치등이 설치되어 있다. 사생활 보호를 위해 각 침대마다 커튼이 설치되어 있다. 물품 관리를 위해 물품 인계 장부를 활용하고, 마약 물품은 이중 잠금장치로 보관하고 있다. 환자 안전을 위해 낙상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화재 및 지진 대비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1.2. 환자 현황
해당 병동은 주로 호흡기계, 폐의 건강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치료하고 있다. 병상 수는 총 47개로, 1인실 3개, 2인실 4개, 5인실 7개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재원 환자 수는 남자 14명, 여자 24명으로 총 38명이며, 병상 가동률은 82%이다. 주요 질환으로는 Failed back surgery syndrome(척추수술 후 통증증후군),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퇴행성 척추전방전위증), Stomach·Anal·Esophageal Cancer(위·항문·식도암) 등이 있다. 주로 CT, MRI, X-ray, CBC검사, Motor 검사 등의 검사가 이루어지며, 간호 문제로는 낙상, 수술부위의 감염위험성, 영양의 불균형 등이 나타난다.
1.3. 간호 전달체계
간호 전달체계는 다음과 같다.
병동에서 실시하고 있는 간호전달체계는 팀간호방법이다. 팀간호방법은 다양한 간호 인력이 팀을 구성하여 몇 명의 간호요원이 몇 명의 환자를 공동으로 간호하는 방법이다. 팀간호방법의 구성원은 팀리더, 면허간호사와 다양한 보조 인력으로 이루어진다. 각 팀은 팀리더를 중심으로 회의에서 간호계획을 세우고 실시한 간호를 평가한다. 병동은 4팀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1팀에 2명의 간호사가 배치되어 근무한다.
2. 병동 인력 구성
2.1. 간호사 인력 현황 및 경력별 분포
간호사 인력 현황 및 경력별 분포이다. 간호사는 총 44명이며, 15~20년차 간호사가 5명, 5~10년차 간호사가 17명, 3~5년차 간호사가 7명, 1~3년차 간호사가 8명, 1년 이내 경력의 간호사가 3명이다. 병동의 팀 간호방식으로 인해 신규 간호사와 경력 간호사가 함께 팀을 이루어 근무하고 있다. 하지만 신규 간호사의 부족한 역량으로 인해 경력 간호사의 업무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신규 간호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경력별 업무 재분담 등의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2. 간호인력 배치 현황
병동의 간호인력은 수간호사 1명, 간호사 27명, 간호조무사 1명으로 구성된다. 각 duty마다 4팀으로 나뉘어 근무하며, 각 팀은 2명의 간호사로 이루어져 있다. 병동은 다양한 보조 인력이 팀을 구성하여 환자를 공동으로 간호하는 팀간호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팀간호방법의 구성원은 팀리더, 면허간호사, 그리고 다양한 보조 인력으로 이루어진다. 각 팀은 팀리더를 중심으로 간호계획을 세우고 실시한 간호를 평가한다. 병동에서는 1팀에 2명의 간호사가 배치되어 근무하고 있다.
간호사의 경력별 분포를 살펴보면, 15~20년차 간호사가 5명, 5~10년차 간호사가 17명, 3~5년차 간호사가 7명, 1~3년차 간호사가 8명, 1년 이내 신규 간호사가 3명이다. 이와 같이 경력별 간호사가 골고루 배치되어 있어 업무 수행과 문제 해결 능력이 우수할 것으로 보인다.
병동의 간호인력 배치 현황을 살펴보면, 평일 데이 근무 시 HN 1명, 책임간호사 1명, 팀 간호사 8명으로 총 10명이 근무하며, 평일 이브닝 근무 시 책임간호사 1명, 팀 간호사 8명으로 총 9명이 근무한다. 평일 나이트 근무 시에는 팀 간호사 8명이 근무한다. 토·일요일 데이 근무 시 책임간호사 1명, 팀 간호사 8명으로 총 9명이 근무하며, 토·일요일 이브닝 근무 시에는 책임간호사 1명, 팀 간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