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학개론 질문 5가지만 가르쳐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학개론 1강에서 5강 중 본인이 생각하기에 가장 인상적인 장면이나 주제 선정
1.1. 내용 요약
1.2. 인상적인 이유
1.3. 자신의 생각에 미친 영향
2. 아래 영상 시청
2.1. 영상 내용 요약
2.2. "사회복지는 나눔이고, 나눔은 인권이다"의 의미 서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학개론 1강에서 5강 중 본인이 생각하기에 가장 인상적인 장면이나 주제 선정
1.1. 내용 요약
참치통조림에 손을 베어 피가 난 학생 문제부터 사회복지학개론 강의가 시작된다. 이 문제에 대해 학생들은 참치통조림 회사의 잘못, 안전관리 실패로 인한 국가책임 등 구조적 문제를 지적한다.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개인의 능력보다는 사회제도와 관행이 장애인을 만든다는 점도 인상적이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편견과 고정관념, 그리고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사회복지는 단순한 시혜가 아니라 시민의 권리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민 스스로의 변화와 연대, 그리고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요구된다. 사회복지정책의 배경에 깔린 이념과 권력의 역학관계, 그리고 이를 통해 구현되는 실질적 민주주의의 모습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사회복지는 단순한 물질적 지원을 넘어서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와 시민 간 상호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하며, 평등과 연대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 사회복지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1.2. 인상적인 이유
참치통조림에 손을 베었다는 것은 본인의 책임이 아닌 참치통조림을 잘못 만든 회사의 잘못이며 더 나아가 참치통조림을 만들 수 있게 안전 규정을 철저히 세우지 못한 국가의 잘못이라는 장면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평소에도 무슨 문제가 생기면 나에게서 책임을 찾거나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했었는데 문제가 생기지 않게 애초에 국가에서 철저한 규제를 통해 보호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생각은 해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회 구조는 늘 옳지 않으며, 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어서 인상 깊었다. 사회 통념에서 벗어나 늘 의심해야 하고 질문해야...
참고 자료
사회복지학개론. 유범상, 김종해, 여유진 지음. 출판문화원. 2019
사회복지학 개론(유범상 외, 방송대출판문화원, 2019)
이상이 일상이 되도록 상상하라: 민달팽이의 인권분투기(유범상, 마북, 2023)
유범상, 김종해, 여유진(2019). 사회복지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장인협, 이혜경, 오정수(2013). 사회복지학 : [개정판 3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기타오카 다카요시(2012). 복지강국 스웨덴, 경쟁력의 비밀. 위즈덤하우스.
노암 촘스키(1999).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