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를 설명하고, 광고 사례를 들어 분석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행동주의 이론
2.1.1. 조작적 조건화
2.1.2.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
2.1.2.1. 정적 강화
2.1.2.2. 부적 강화
2.2. 행동주의 이론이 적용된 광고 사례
2.2.1. 정적 강화 사례
2.2.2. 부적 강화 사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심리학 이론 중 행동주의 이론은 행동이 어떠한 상황에서 발생하고 유지되는가를 연구하여 행동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따라서 인간 행동에 영향을 주는 외부적 요인을 중시하며, 행동 변화를 위한 강화와 조작적 조건화 등의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행동주의 이론은 소비자 심리학에서도 응용되고 있다.
2. 본론
2.1. 행동주의 이론
2.1.1. 조작적 조건화
스키너는 유기체에 의해 스스로 방출되는 반응에 관심을 두었다. 이러한 방출된 반응 또는 조작적 행동은 더욱 적극적, 능동적이고 의도적 성격을 가진다. 이러한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특정 행동 또는 반응의 확률이나 빈도를 증가시키는 강화의 개념이 매우 중요하다. 강화는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 또는 보상으로서 강화는 음식, 공기, 물 등 선천적인 욕구를 만족시키는 일차적 강화, 원래는 중성자극이었지만 일차적 강화 또는 다른 이차적 강화와 연합하면서 학습된 강화인 이차적 강화로 구분된다. 이차적 강화는 돈, 칭찬, 사회적 인정, 지위 등이 해당한다. 이러한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인간의 행동이 학습되는 과정은 우연하게 발생한 반응이 강화를 받으면서 나타나는 것이라고 본다.
2.1.2.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
2.1.2.1. 정적 강화
정적 강화는 행동이 발생한 뒤 특정한 자극을 제공하여 행동을 증가시키는 처치 기법이다. 가치 있는 특정한 것을 제공하여 바람직한 행동의 강도과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코카콜라는 광고에서 음료를 주로 쾌감과 즐거움을 유발하는 이미지와 연결하여 콜라를 마시면 이와 같은 보상감을 줄 수 있다는 행동임을 강조한다. 이는 코카콜라를 마시면 더위를 식히는 보상감을 주는 행...
참고 자료
최신정, 이계훈, 문광수, 오세진(2014). 정적강화와 부적강화가 고객 서비스 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김세송, 오세진(2015). 인간행동과 심리학. 학지사.
우석봉(2017). 광고효과의 심리학. 학지사.
김영두(2019). 소비자심리 및 행동의 이해. 박영사.
손영석, & 전호성. (1998). 담배의 위해성을 소구하는 경고문구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광고연구, (39), 53-71.
최재원, & 고욱. (2014). 게임 기획에서의 조작적 조건화 분석 가이드라인.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27(4), 21-30.
닥터지 Dr.G korea, [2020.5.11], 민감 고민을 위한 #닥터지 레드블레미쉬,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zieQ-IH4Rp4
KTV 국민방송 [2015. 11. 18] 정말 기발한 금연 공익광고!,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_8ZjoqoZoUg
소비자 심리학 교안 p.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