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 비만유병률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간호진단
1.1. 지역사회 건강문제의 열거
1.2. 지역사회 건강문제의 우선순위 결정
2. 간호계획
2.1. 간호진단
2.2. 간호목표설정
2.3. 간호수행계획
3. 간호수행
3.1. 남성 비만질환자 대상 운동프로그램
3.2. 성인 대상 자전거 프로그램
3.3. 걷기 프로그램
3.4. 비만 예방교육
4. 간호평가
4.1. 사업 수행 결과 평가
4.2. 사업 목표 달성 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진단
1.1. 지역사회 건강문제의 열거
고혈압은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고혈압 유병률 증가로 OO시의 경우 노인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고혈압에 취약한 지역이다. 당뇨병은 지식부족으로 인한 부적절한 혈당관리로 OO시 당뇨병 의사진단 경험률이 2014년(13.0%)부터 2016년(9.9%)까지 감소했지만 다시 2017년(11.0%)에 증가하였다. 자살은 우울과 관련된 자살 위험성이 있으며, 설문에서 자살예방이 흡연예방 및 금연 다음으로 높게 나타나 OO시의 자살률이 10만명당 32.1명, 연간 자살자가 54명('16)으로 사회적 문제가 심각하다. 치매는 부적절한 치매관리로 인한 치매 유병률 증가로 2017년 치매유병률은 11.62%, 치매진단·감별검사 건수가 672명이다. 출생아수 감소는 자녀 양육비 증가와 관련되어 'OO시의 출생아수가 1,208명, 합계출산율이 1.42로 초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비만은 신체활동 실천율 감소와 관련되어 OO시의 비만율이 2014년(23.5%)부터 2017년(28.1%)까지 증가하였다. 암은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인 건강관리로 OO시의 사망원인 1위가 암이며, 그 중 폐암(75명), 간암(62명), 결장·직장·항문암(45명), 위암(44명), 췌장암(34명) 순으로 나타난다. 관절염은 초고령화와 관련되어 2014년(27.2%)보다 감소했으나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음주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와 관련된 간 기능 장애 위험성이 있으며, 최근 1년 동안 한 달에 1회 이상 술을 마신 사람의 분율이 56.6%로 2014년(55.6%)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소폭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고 있다. 정신건강은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과다로 평소 일상생활 중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느낀다" 또는 "많이 느낀다"는 사람의 분율이 25.4%로 2013년(21.9%)에 비해 나빠졌으나 소폭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고 있다.
1.2. 지역사회 건강문제의 우선순위 결정
건강문제의 크기는 제주시 제주지역의 비만유병률이 38.0%로 높은 편이며, 2018년 33.1% 대비 4.9% 증가한 수준이다. 또한 전국 평균 비만유병률인 35.2% 대비 2.8% 높은 수준이다. 특히 남성의 비만유병률이 50.2%로 매우 높은 편이고, 여성도 26.0%로 전국 평균 25%보다 높다. 연령별로는 40-49세와 30-39세에서 비만유병률이 가장 높다.
건강문제의 심각도는 비만이 다른 질병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심각한 편이다. 비만이 대장암, 유방암 등 각종 암 발생위험을 높이고, 심장질환과 뇌졸중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한 비만은 우울감과 스트레스 증가 등 정신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의 추정효과는 긍정적인 편이다. 제주지역의 경우 주관적 비만인지율과 체중조절 시도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편이어서, 적절한 중재 프로그램이 제공된다면 비만유병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른 지역의 비만 관리 사례에서도 일정 수준의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제주시 제주지역의 높은 비만유병률은 심각한 건강문제로 판단되며, 효과적인 중재를 통해 개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비만 관리 및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가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2. 간호계획
2.1. 간호진단
높은 비만유병률은 2019년 비만유병률이 38.0%로 전국 평균 35.2%에 비해 2.8% 높고, 2018년(33.1%)에 비해 4.9%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제주시 제주지역의 남성 비만유병률은 50.2%로 전국 41.8%에 비해 7.4% 높고, 여성 비만유병률도 26.0%로 전국 25%에 비해 1% 높다. 또한, 주관적 비만인지율도 40.9%로 전국 40%에 비해 높고, 체중조절 시도율도 66.6%로 전국 60.4%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
참고 자료
2019 지역사회 건강통계 제주시 제주.
2019 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문옥륜,강재헌,이상이,정백근,이신재,윤태호,황경화,김남순. "한국인의 비만도에 따른 비만관련질환의 유병률 증가." 예방의학회지 34.4 (2001): 309-315.
남수정, 박종호. “비만정도에 따른 우울 및 스트레스-정상체중, 비만, 고도비만 집단의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21.6 (2012): 1199-1210.
보건복지부, ‘국제암연구소(IARC), 비만으로 인한 위험 암종 발표’, 2016-08-29.
머니투데이, ‘흡연보다 더 나쁜 것이 비만…심장질환 사망 원인 1위’, 이소현 기자, 2021-04-16.
동아닷컴, 뉴시스, ‘비만으로 사회경제적 손실 年11.4조...1인당 의료비 27만8천원 지출’, 2018-12-10.
[보건복지부 보도참고자료] 생생 속, 소소한 실천으로 비만관리 하세요! (배포일 2018-10-08).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9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우수사례집.
박봉섭. (2009). 비만 중년여성을 위한 보건소 걷기운동사업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1), 343-350.
www. facebook.com/Ygkhaenam
김병성. "자전거 이용의 건강증진 효과분석." 국립의과학지식센터, (2010)
자전거 행복나눔 홈페이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비만예방운동(의자편) 및 비만토끼의 지방간 이야기 동영상, 체육건강과, 2020-11-04.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비반예방을 위한 3가지 바른 습관, 체육건강과, 2020-05-15.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학생 건강 증진 및 비만율 절반 줄이기 길라잡이, 체육건강과, 2016-03-08.
지역사회보건간호학(2019), 김춘미 외 . 수문사
대구광역시 북구보건소 홈페이지 http://www.buk.daegu.kr/health/index.do
대구광역시 북구청 홈페이지 http://www.buk.daegu.kr
통계청 http://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