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사회간호학과 케이스스터디의 필요성
지역사회간호학과 케이스스터디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내 다양한 대상자와 환경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지역사회 내 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간호중재를 수립하기 위해서이다. 셋째, 지역사회 간호실천을 위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지역사회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역사회간호학과 케이스스터디는 지역사회의 건강과 안녕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1.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지역사회간호학과 케이스스터디를 통해 특정 사업장의 근로자들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근로자들의 건강관리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업장 내 근로자들의 건강관련 문제 중 고혈압과 소음성 난청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간호 실천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2. 건강사정
2.1. 사업장 개요
00(주)는 1995년에 설립된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급속가공제품 제조업 사업장이다. 사업장 소재지는 00시 00읍이며, 주요 생산품은 프레스 가공품이다. 보건관리는 보건관리대행으로 운영되고 있다.
2.2. 근로자 특성
사업장 전체 근로자 수는 13명이며, 성별 분포는 남성 11명(85%), 여성 2명(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국인 근로자는 3명(23%)으로 남성 2명, 여성 1명이 포함되어 있다. 장년 근로자(50세 이상)는 6명(46%)이며, 평균 연령은 45세이다.
2.3. 업무 특성
교대근무를 실시하고 있으며, 근로자들은 1일 8시간, 주당 평균 40시간 근무한다. 프레스성형, 도금, 검사, 출하 등의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유해요인으로 소음과 반복동작 등이 있다. 소음수준은 85.4~87.7dB(A)로 측정되었고, 근골격계 부담작업이 있다. 출
과 부상자 1건이 발생하였다. 건강진단 결과 소음성 난청 주의 7건, 일반질병 유소견자 12건 등이 확인되었다. 작업환경측정, 근골격계유해요인조사, 일반건강진단, 특수건강진단, 건강진단 사후관리 등의 보건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1]
2.4. 작업공정
주요 작업공정은 다음과 같다. 원자재인 철판코일을 프레스로 압착하여 성형하는 공정에서 소음이 발생한다. 이후 도금 공정은 외주로 진행되며, 검사와 출하 공정이 진행된다. 출하 공정에서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한 근골격계 부담이 있다. 소음 측정 결과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 85dB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고 있으며, 근골격계 부담작업은 포장작업 공정에서 확인되었다.
2.5. 산업재해 및 건강진단 결과
사업장에서는 매년 근로자들에 대한 산업재해와 건강진단 결과를 관리하고 있다. 2021년 산업재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2020년에는 근로자 1명이 손가락 협착 사고를 겪었다.
건강진단 결과를 살펴보면, 2021년에는 근로자 7명이 직업병 요관찰자로 진단되었고, 5명이 일반질병 요관찰자로 분류되었다. 또한 6명의 근로자가 일반질병 유소견자로 판정받았다. 구체적으로는 소음성 난청 주의 7명, 간장질환 주의 2명, 당뇨질환 주의 1명, 고혈압 주의 2명, 고지혈증 1명, 당뇨질환 2명이었다.
2020년과 2019년에도 유사한 양상의 건강진단 결과가 확인되었다. 근로자들의 건강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유소견자에 대한 사후관리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러한 건강진단 결과를 토대로 근로자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보건관리 프로그램을 수립할 필요가 있겠다.
2.6. 보건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