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 QI"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관리학 실습 QI 주제 선정의 배경
1.2. QI 활동의 목적 및 필요성
2. QI 활동 계획
2.1. QI 주제 선정
2.2. 팀 구성
2.3. 현황 파악
2.4. 문제 분석 및 원인 규명
2.5. 목표 설정
3. QI 활동 수행
3.1. 설문조사 및 인터뷰
3.2. 교육 및 안내문 제작
3.3. 활동 모니터링
4. QI 활동 평가
4.1. 활동 전후 결과 비교
4.2. 활동 성과 분석
5. 개선 방안 및 제언
5.1. QI 활동의 한계 및 개선점
5.2. 지속적인 관리 방안
5.3. 향후 QI 활동에 대한 제안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관리학 실습 QI 주제 선정의 배경
최근 전 세계적으로 보건의료전문가들과 정부기관들이 환자진료의 질과 안전을 향상시키려는 시도에서 투약오류에 대해 열띤 토론을 해오고 있다. 투약오류는 입원기간의 연장, 자원의 낭비와 함께 환자의 손상이나 사망 등에 따른 막대한 추가 비용을 발생시킨다. 투약은 간호 업무의 중요한 부분이며 가장 수행 빈도가 높고, 간호활동시간의 40%가 소요되는 업무이다. 투약오류의 76%는 예방이 가능한 오류이며 예방을 통해 불필요한 의료비용을 줄일 수 있고, 무엇보다 환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병동에서는 신규간호사의 계속적인 유입으로 인한 잠재적인 투약 오류 발생 가능성을 고려하여 이의 예방을 통해 실제 위해사건을 줄이고자 개선활동을 실시하고자 한다.
1.2. QI 활동의 목적 및 필요성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의료 관련 문제점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QI(Quality Improvement) 활동이 필요하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보건의료 전문가들과 정부 기관들이 환자 진료의 질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투약오류에 대한 관심이 높다. 투약오류는 입원 기간의 연장, 의료자원의 낭비와 함께 환자의 손상이나 사망 등에 따른 막대한 추가 비용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간호사의 투약 업무는 간호 활동의 중요한 부분이며, 가장 빈번하게 수행되는 업무로 전체 간호 활동 시간의 40%를 차지한다. 따라서 투약오류에 대한 개선활동을 통해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고 불필요한 의료비용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병동에서는 신규 간호사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인한 잠재적인 투약오류 발생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고자 하는 QI 활동이 필요하다.
2. QI 활동 계획
2.1. QI 주제 선정
병동에서는 신규간호사의 계속적인 유입으로 인한 잠재적인 투약 오류 발생 가능성을 고려하여 이의 예방을 통해 실제 위해사건을 줄이고자 개선활동을 실시하고자 한다. 투약오류에 관한 개선활동과 교육지침 마련 후 신규간호사의 투약오류 발생률이 10%이하로 감소하는 것이 목표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보건의료전문가들과 정부기관들이 환자진료의 질과 안전을 향상시키려는 시도에서 투약오류에 대해 열띤 토론을 해오고 있다. 투약오류는 입원기간의 연장, 자원의 낭비와 함께 환자의 손상이나 사망 등에 따른 막대한 추가 비용을 발생시킨다. 투약은 간호 업무의 중요한 부분이며 가장 수행 빈도가 높고, 간호활동시간의 40%가 소요되는 업무이다. 투약오류의 76%는 예방이 가능한 오류이며 예방을 통해 불필요한 의료비용을 줄일 수 있고, 무엇보다 환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2.2. 팀 구성
본 QI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팀장으로는 박## 책임간호사가 선정되었으며, 71병동 신규간호사들이 팀원으로 참여하였다. 팀장과 팀원은 보고서 작성, 설문지 제작, 환자 설문 실시, 안내문 제작 및 부착 등의 역할을 분담하여 QI 활동을 진행하였다.
2.3. 현황 파악
OO병동은 총 18병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58명의 환자를 수용한다. 하루 평균 재원환자 수는 53명이며, 입퇴원 환자도 있다. 각 duty당 간호사 수는 DAY 4명, EVENING 3명, NIGHT 3명으로 구성된다.
OO병동은 주로 60대 이상의 진폐증 환자들이 입원해 있으며, 대부분 75세 이상...
참고 자료
중소병원 간호사의 의료관련 감염관리를 위한 표준주의 지식, 인지도, 안전 환경과 수행도
심미경,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0, No. 11 pp. 425-435, 2019
김명수, 2015, 투약오류보고장애요인과 투약오류보고의도의 관계에서 수간호사의 안전 관련 변혁적 리더십의 매개, 완충효과, 부경대학교, 674-677p
김민정, 2014, 간호사가 인식한 조직의 특성과 투약오류보고장애요인간의 정준상관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3p
송명희 (2012) 투약 오류 건에 대한 근본원인분석 시행, 세브란스병원 적정진료관리실, 1p
이순영 (2012) 간호사의 투약오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 충북대학교, 1-2p
http://www.at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314
https://www.kgnews.co.kr/mobile/article.html?no=738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