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간호사의 역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정신보건의료 환경 변화
1.2. 정신건강과 간호의 중요성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2.1. 성인기의 발달과업과 위기
3. 정신장애의 증상과 분류
3.1. 조현병의 DSM-5 진단기준
3.2. 불안장애의 치료방법
4. 정신생물학적 측면에서의 정신건강
4.1. 도파민 경로와 정신질환
4.2. 공황장애의 증상과 간호
5. 정신간호사의 역할과 교육
5.1. 정신간호사의 전문성
5.2. 정신간호사의 교육과정
6. 인격장애의 유형과 특성
6.1. A형, B형, C형 인격장애
6.2. B형 인격장애 유형 및 특성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정신보건의료 환경 변화
최근 보건의료환경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인구구조가 변화하고 있으며 질병의 구조 및 이에 따른 의료수요도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질병치료중심 의료서비스 요구보다 비건전한 생활습관을 배제하고 건전한 생활습관의 변화로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 발견, 치료하며 건강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는 건강관리 체계로 전환되고 있다.
공황장애 환자들은 흔히 내과를 먼저 방문하게 되며 심근경색증이나 히스테리성 증상으로 오인받는 경우도 흔하다. 환자들은 평소에도 그런 현상이 생길까 불안하고 긴장되며, 혼자 멀리 나가는 것이 두려워지기도 하고, 큰 병에 걸린 것 같아 여기저기 검사하러 다니고, 응급실을 찾는 경우도 자주 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이런 고통을 자신만이 겪고 있다고 생각하며 대단히 희귀한 병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100명 중 1.5-3명에서 발생한다고 하니 상당히 흔한 질환이다. 심장내과 환자의 상당수는 공황장애 환자라 한다.
이처럼 현대 사회에서 정신보건의료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정신간호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정신간호사는 정신과 기관에서 환자의 건강회복·증진·재활을 위해 일반적인 간호를 담당하며, 대상자의 생물·심리·사회·영적 차원을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의 간호를 제공한다. 또한 치료적 환경을 제공하여 대상자가 건강을 회복할 뿐만 아니라 대상자가 더 나은 건강을 유지·증진하도록 돕는다. 이처럼 정신간호사의 역할과 중요성은 점차 증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정신건강과 간호의 중요성
현대 사회에서 정신건강은 인간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과거에는 정신건강 문제가 개인의 비극으로 여겨졌지만, 오늘날에는 정신건강 문제가 개인, 가족, 지역사회, 국가 차원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자살률이 OECD 국가 중 1위를 기록하는 등 정신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정신건강과 관련된 전문적인 간호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정신간호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정신간호사는 정신질환자의 증상 관리, 재활, 지역사회 복귀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교육과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정신건강 문제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참여한다.
특히 정신간호사는 정신질환자와 가족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정신간호사는 정신질환자의 회복과 재활을 돕고, 지역사회 내에서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등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한다.
따라서 정신건강과 간호의 중요성은 단순히 개인의 차원을 넘어 사회 전반의 건강과 안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 서비스 제공은 개인과 지역사회의 정신건강 증진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2.1. 성인기의 발달과업과 위기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에서 성인기에 해당하는 단계는 친밀성 대 고립감(Intimacy vs. Isolation) 단계와 생산성 대 침체감(Generativity vs. Stagnation) 단계이다.
친밀성 대 고립감 단계는 청년기에 해당하며, 이 시기에 개인은 타인과의 관계 형성 및 유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혼자만의 시간을 지나치게 중요시하거나 의미 있는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 형성에 실패할 경우 고립감을 경험하게 된다. 반면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유지할 수 있는 개인은 친밀감을 얻게 된다.
생산성 대 침체감 단계는 중년기에 해당하며, 이 시기에 개인은 다음 세대를 위해 자신의 역량과 가치를 전달하고자 하는 생산성의 욕구와 자신의 욕구 충족에만 몰두하게 되는 침체감 사이에서 갈등을 경험한다. 다음 세대를 위한 자신의 능력과 가치를 전수하는 등의 생산적인 활동에 힘쓸 수 있는 ...
참고 자료
도복늠 외. (2016). 최신정신건강 간호학 개론. 정담미디어.
도복늠 외. (2016). 최신정신건강간호학 각론(4판). 정담미디어.
http://www.ajunews.com/view/20160527153438738
http://childyouth.blutouch.net/sub04/02_view.asp?idx=122&page=2&bbs_code=6&key=0&word=&etc=
김희정, 정신과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과 대처, 을지의과대 임상간호대학원, 2006.
이성진, 박성수(1999). 교육심리학. 서울: 방송대출판부.
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이훈구(역)(1983). 성격심리학. 서울: 법문사.
조대봉(역)(1992). 인간의 동기와 성격. 서울: 교육과학사.
장휘숙, 『전생애 발달심리학 인간발달』,박영사, 2000
권석만 저(2005),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아윈사라손바바라사라손 공저, 김은정외 역(2001), 이상심리학, 학지사
최순남,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한신대출판부,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