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발달장애인 해피투게더 세부계획안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발달장애인 해피투게더 세부계획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발달장애인 해피투게더 세부계획안
1.1. 프로그램 개요
1.1.1. 프로그램 주제
1.1.2. 사업기획 취지
1.1.3. 기획안 작성을 위한 준비 과정
1.1.4. 사업 성과목표 및 필요성
1.1.5. 이론적 배경
1.1.6. 사업기간
1.1.7. 서비스 대상 특성
1.1.8. 사업주요내용
1.2. 프로그램 분석
1.2.1.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달성 평가
1.2.2. 프로그램 과정 평가
1.2.2.1. 프로그램의 긍정적 측면
1.2.2.2. 프로그램의 부정적 측면
1.3. 대안
1.3.1. 문제에 따른 대안
1.3.2. 수정, 보완 프로그램
1.3.3. 프로그램 간트차트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발달장애인 해피투게더 세부계획안
1.1. 프로그램 개요
1.1.1. 프로그램 주제

발달장애인들의 서비스 직종으로의 고용가능성 확대와 고용인식 전환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이다. 실제 지역사회에서 운영 중인 사업장을 중심으로 한 현장훈련과 관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발달장애인들의 직무기술 습득과 직업능력 향상, 사업체와의 유대관계 강화, 서비스직종으로의 고용 유도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들의 직업훈련에서 습득한 직무기술을 현장에서 일반화하는 능력 향상과 고객 응대 및 직무분업화 등으로 인해 취업 기회가 적은 서비스 직종에서의 고용을 확대하는 것이 본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이다.

우리 복지관은 이전 '직종탐색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청소년들의 서비스·세탁 분야 현장훈련 경험이 직업흥미와 고용주의 인식 등에 긍정적 효과를 보였던 경험을 바탕으로 이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또한 관내 서비스업체들과의 협력, 관련 프로그램 실시 경험이 있는 복지관과의 자문 등을 통해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개월 동안 진행되며, 발달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오리엔테이션, 기초소양교육,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모의작업장훈련, 현장훈련 등 다양한 세부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 직종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하고 고용으로 연계하고자 한다. 또한 고용주와의 사전 접촉, 지역사회 자원 연계 등을 통해 서비스 직종으로의 취업기회 확대와 고용인식 개선을 도모한다.

발달장애인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포항시 및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지적장애 또는 자폐성장애인 중 본 프로그램에 관심있는 자를 대상으로 한다. 사전 직업평가를 통해 대상자를 선별하고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참여자를 모집한다.

프로그램의 긍정적 측면은 먼저 총 10개월의 사업기간이 적절하며, 발달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점, 지역사회의 서비스업 증가로 취업기회가 늘어난 점 등이다. 또한 이전 유사 프로그램 운영 경험이 있어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것도 긍정적이다.

그러나 부정적 측면으로는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의 기간이 부족하고, 투입인력이 부족하며, 현장훈련 참여자 비율이 낮고, 취업 후 사후관리와 고용주 및 지역주민의 인식 개선 노력이 부족한 점 등이 지적된다. 또한 대상자들의 직업분야 다양성에 대한 요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도 문제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의 기간을 늘리고, 투입인력을 확대하며, 현장훈련 참여자를 더 확대하고자 한다. 또한 취업 후 사후관리와 고용주 및 지역주민의 인식 개선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추가하고, 대상자들의 다양한 직업분야 요구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고자 한다.


1.1.2. 사업기획 취지

지적장애를 포함한 발달장애인들은 직무기술의 일반화 능력이나 대인관계기술의 부족과 같은 여러 가지 직업적 제한점으로 인하여 취업 기회가 많지 않으며, 취업을 위한 훈련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사업은 발달장애인들의 서비스 직종으로의 고용가능성 확대와 고용인식 전환을 목표로, 실제 지역사회에서 운영 중에 있는 사업장을 중심으로 한 현장훈련과 이를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위와 같은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계획되었다. 또한 이전까지 제조업 분야로 한정되어 있던 취업분야에서 벗어나 점차 증가추세에 있는 서비스업 분야로의 취업기회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사업의 목적이 있다.


1.1.3. 기획안 작성을 위한 준비 과정

기획안 작성을 위한 준비 과정이다. 우리 복지관은 2007년 '직종탐색프로그램' 사업을 실시한 경험이 있다. 이는 장애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세탁 분야 등의 현장훈련 경험을 통해 각자의 특성에 맞는 진로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종결 후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평가 결과 서비스분야의 직업흥미가 평균20%이상 증가하였으며, 참여업체 및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한 자체만족도 결과에서 역시 서비스분야의 장애인 고용에 대한 인식이 모두 긍정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은 이러한 결과에 착안하여 장애인들의 서비스분야의 취업기회를 넓히고자 계획되었으며, 2008년 7월부터 지역 내 패밀리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홍보 및 훈련업체를 선발하였다(5개소). 또한 본 프로그램의 실효성 확인을 위하여 프로그램의 목표 및 진행과 관련한 문제점들에 대한 자문을 성동장애인복지관등 관련 프로그램을 먼저 실시한 기관의 담당자로부터 사업내용 등에 대하여 전반적인 사항에 대하여 협조를 구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처럼 우리 복지관은 기존 경험을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을 기획하고자 하였으며, 관련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사업내용을 보완하여 준비하였다.


1.1.4. 사업 성과목표 및 필요성

본 프로그램의 사업목표는 첫째, 발달장애인들의 서비스 직무기술 습득 및 직업능력 향상이다. 둘째, 서비스직종 사업체 동료 간의 유대관계를 강화하는 것이다. 셋째, 취업유관기관 및 사업체 간 연계를 통해 서비스직종으로의 고용을 유도하는 것이다.

발달장애인들은 대부분 직업훈련에서 습득한 직무기술을 현장에서 일반화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고용 및 고용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실제 직무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과 직무능력을 향상시키는 취업 전 현장훈련이 이들에게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실제 사업체에서 수행하는 직무활동을 그대로 반복하는 과정이므로 훈련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최근 서비스업 분야에 대한 장애인 고용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지만, 고객응대 및 직무분업화와 같은 특성상 장애인들에게는 취업기회가 여전히 많지 않다. 따라서 실제 현장에서 장애인들이 서비스 직무를 수행하고 적응해 나가는 현장훈련을 통해 고용주들이 직접 확인하고 고용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 자료

우리지역에 맞는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김종진, 여수넷통뉴스, 2020.01.17.
최은진, 2014, 세대통합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p.1~56
김근영(2012),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장벽 및 조력에 대한 질적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동일・정여주・허은・방나미(2010),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공감능력 증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박승곤・김수정(2017),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운영에 관한 종사자의 경험 분석”, 청소년학연구, 24(4), 233-257
교육부・여성가족부(2013),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방안”
노지혜(2018),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관련변인 분석 : 진로장벽, 진로활동, 진로성숙을 중심으로 = An Study on Out-of-school Youth with Career Barriers, Career Activities, Career Maturity,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원도, 학교 밖 청소년들 1300여명…복귀율 전국 '최하위'”, 공감언론 뉴시스, 2017년 10월 30일
김영희・최보영・이인희(2013), "학교밖 청소년의 생활실태 및 욕구분석", 제주대학교 청소년복지연구
배수현(2013), "멘토링 기능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용인송담대학교 비서경영과 관광경영연구
한림대학교부설 한림청소년복지센터, “사업안내”,
http://1318center.hallym.ac.kr/businessinfo/education.php. (2018년 5월 20일)
교육통계서비스, “강원도 학교밖청소년 현황”, https://kess.kedi.re.kr/. (2018년 5월 20일)
춘천시청, “주민등록인구현황”,
http://www.chuncheon.go.kr/board/view.chuncheon?boardId=BBS_0000294&menuCd=DOM_000000505006002000&startPage=1&dataSid=225088. (2018년 5월 20일)
네이버 블로그 - 성남시청소년재단, “[성남시청소년재단 사무국] '2018마을이멘토다' 청소년 지원 공모사업 설명회”, https://blog.naver.com/snyouth_mony/221216613357. (2018년 5월 22일)
강원도청 청소년복지-청소년세상, http://www.provin.gangwon.kr/gw/youth. (2018년 5월 22일)
꿈드림, “꿈드림 프로그램 흐름도”, http://www.kdream.or.kr/user/sub01_2_2.asp. (2018년 5월 22일)
강원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 http://www.cool1388.com. (2018년 5월 22일
통계청-국내통계포털, “인구총조사-2016년 춘천시인구 중 10세~19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018년 5월 22일)
네이버 블로그 - 자기효능감 척도 문항, https://blog.naver.com/jtojong/220257748346 (2018년 5월 29일)
전경화「발달장애인의 직업재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05 pp.19-25
안태희「발달장애 및 정서장애의 직업재활 프로그램 개발연구」 pp.18-21
이수진「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청소년의 인식연구」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 2009
백광호「장애인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방안 목원대학교산업정보대학원 , 2007
황금연「대전지역 성인의 장애인 인식에 관한 연구」대전대학교 경영행정 사회복지대학원 , 2007
조은영「발달장애인의 지원고용을 위한 전환계획과 사정체계 탐색」대구대 교육대학원 , 2008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함께해요 장애인고용」 , 2005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장애인 고용저조기업의 고용촉진방안」, 2009
-사이트 -
공동모금회 http://www.chest.or.kr/
「세상의 문 두드리기」- 프로그램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