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간호중재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노인간호학실습 간호중재프로그램 필요성
1.2. 치매 환자 증가와 문제점
1.3. 프로그램 목적
2. 간호중재프로그램 개요
2.1. 프로그램 구성
2.2. 대상자 선정 기준
2.3.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3. 세부 프로그램 계획
3.1. 회기별 주제 및 목표
3.2. 회기별 진행 내용
3.3. 준비물 및 유의사항
4. 기대효과 및 평가
4.1. 기대효과
4.2. 평가 방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노인간호학실습 간호중재프로그램 필요성
노인간호학실습 간호중재프로그램 필요성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치매 환자는 2015년 64만 8,223명이었으나 2017년에는 72만 명, 2020년에는 84만 명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17년마다 두 배씩 증가하여 2024년에 100만 명, 2041년에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한다고 하였다. 치매는 뇌신경 손상으로 인한 기억력장애를 포함한 인지기능의 저하가 주증상이지만 병세가 악화되면서 신체 및 정신기능의 저하로 일상생활의 동작수행 능력과 자립정도가 약화되기 때문에 가족이나 지역사회 등과 같은 부양체계 또는 지원체계가 매우 높아져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따라서 치매노인의 개별적인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대근육, 소근육을 많이 사용하는 활동을 통해 관절구축을 예방하고 어르신들끼리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협동심을 기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치매의 진행을 예방하고 사후 관리를 통해 보다 활기찬 노후 생활을 영위하며 건강을 유지하도록 돕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1.2. 치매 환자 증가와 문제점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치매 환자는 2015년 64만 8,223명이었으나, 2017년 72만 명, 2020년에는 84만 명으로 늘어나고 17년마다 두 배씩 증가하여 2024년에 100만 명, 2041년에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치매는 뇌신경 손상으로 인한 기억력장애를 포함한 인지기능의 저하가 주증상이지만 병세가 악화되면서 신체 및 정신기능의 저하로 일상생활의 동작수행 능력과 자립정도가 약화되기 때문에 가족이나 지역사회 등과 같은 부양체계 또는 지원체계가 매우 높아져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1.3. 프로그램 목적
치매 환자의 개별적인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대근육, 소근육을 많이 사용하는 활동을 통해 관절구축을 예방하고 어르신들끼리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협동심을 기르고자 한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치매의 진행을 예방하고 사후 관리를 통해 보다 활기찬 노후 생활을 영위하며 건강을 유지하도록 돕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
참고 자료
김용숙 and 전순영. (2019). 종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26(5), 901-923.
건강박수 영상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qojI1v1xoQo
가면 만들기 활동 사진 출처: https://blog.naver.com/otpioneer/221729099499
정덕유 외(2020). 제6판 노인과 건강. 현문사
정순영 외(2020).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다온출판사
Mary Ann Boyd 외(2021). 실무중심의 정신건강간호학 제6판 수정판. 현문사
박주형, 용미현, 조미림, 강신욱, 양영애. (2013). 국내 치매환자 대상으로 한 회상치료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5(2), 1-8.
임소희, 신중일. (2019).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회상치료를 적용한 연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3(2), 77-88
https://www.youtube.com/watch?v=Ar3kJpGn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