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청소년지도 원리와 실천방안
1.1. 서론
청소년지도 분야에서 자기주도학습은 중요한 교육 방식이다.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에 책임을 지고 학습과정을 주도해 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1960년대 초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성인들이 수행하기에 적합한 학습방식으로 제안된 개념이다.
이 자기주도학습론의 바탕에는 인간은 자기 자신이 수행하는 모든 활동의 당사자이자 주체로서 해당 활동을 스스로 주도해 나가는 가운데 그로부터 삶의 의미와 보람을 추구하는 존재라는 인간관이 놓여있다. 초기 성인교육 및 평생교육 분야의 학자들이 다양한 방식의 논의와 연구들을 시도하면서 이 분야는 세간의 관심을 집중적으로 받게 되었고, 이후 북미 성인교육학자들과 유럽이나 아시아의 평생교육론자들까지 자기주도학습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1.2. 청소년지도의 여러 원리
1.2.1. 자기주도 원리
자기주도 원리는 청소년지도에 있어서 청소년이 활동의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활동의 목적, 내용, 시기, 속도 등을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청소년은 학습의 능동적인 주체가 되어 자신의 학습욕구와 학습목표를 스스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내용과 방법을 선택하며, 학습과정과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청소년의 자기주도성을 토대로 함으로써 청소년이 보다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여 청소년의 성장과 발전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청소년이 자신의 흥미와 욕구에 따라 주도적으로 학습에 참여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책임감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학습에 대한 만족감과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이 주체가 되어 자신의 관심사와 삶의 방향에 따라 활동을 선택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자발성과 자기결정성을 높이고 내적 동기를 유발하여 보다 효과적인 청소년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1.2.2. 자율참여 원리
청소년들이 이성적 사고에 기초하여 자신이 참여할 청소년활동에 대해 스스로 결정하고 자유의지에 따라 청소년활동에 참가하여 상호작용함으로서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자율참여 원리이다. 청소년들은 청소년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활동의 내용과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상호간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 청소년지도에 있어 자율참여 원리는 청소년들의 자기결정권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것을 의미한다. 청소년활동에 대한 청소년들의 자발적 참여와 결정은 청소년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는 청소년지도의 핵심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들이 자유의지에 따라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촉진해야 한다. 청소년들 개개인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하여 선택권을 보장하고, 이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