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 간호학 (노인 디지털 소외 이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우리 사회 고령화와 관련해 발생하는 노인문제의 현황
2.2. 우리 사회 고령화와 관련해 발생하는 노인문제의 원인
2.3. 우리 사회 고령화와 관련해 발생하는 노인문제의 예방과 해결을 위한 대안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 사회는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 구조의 변화는 단순히 인구학적 현상에 그치지 않고, 경제, 보건, 복지, 가족 구조 등 다양한 영역에서 노인 관련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고령화는 의료, 경제, 사회적 관계 등 다방면에서 노인 문제를 심화시키며, 노인 빈곤, 고독사, 치매 증가, 노인 학대와 같은 심각한 사회적 과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는 고령화 사회에서 가장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단순히 개별 가정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구조와 정책의 미비에서 비롯된 복합적인 원인으로 분석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2. 본론
2.1. 우리 사회 고령화와 관련해 발생하는 노인문제의 현황
우리 사회 고령화와 관련해 발생하는 노인문제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빈곤 문제이다. 2022년 기준 66세 이상 은퇴 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은 39.7%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또한 2023년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의 순자산액은 평균 4억 5,540만 원으로 전년 대비 176만 원 증가했으나, 여전히 불평등이 심각하다. 특히 여성 노인의 빈곤율이 남성 노인보다 높으며, 고령 자영업자 또한 경제적으로 취약한 상황이다.
둘째, 노인 건강 및 의료 문제이다. 2022년 기준 65세의 기대여명은 20.7년이지만 건강 수명은 상대적으로 짧아 만성질환과 장기요양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의 1인당 진료비와 본인부담금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암, 심장질환, 코로나19, 폐렴, 뇌혈관질환 등 주요 질환으로 인한 노인 사망률이 높고, 치매 환자 수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독거노인의 건강 상태가 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고립과 고독사의 문제이다. 2023년 기준 독거노인 가구는 213만 8,000가구로 전체 고령자 가구의 37.8%를 차지하며, 이들 중 18.7%는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없다고 응답했다. 고독사는 명확한 통계는 없으나 연간 약 1,500건으로 추정되며 지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인간관계에 만족한다는 노인의 비율이 44.6%로 감소했고, 현재 삶과 사회·경제적 성취에 만족하는 노인이 각각 31.9%, 26.7%에 불과해 정신적 고립감이 심각한 상황이다.
넷째, 노인 차별과 사회적 역할 상실의 문제이다. 20...
참고 자료
정덕유 외, 노인과 건강 6판, 현문사(2020)
완도군청 통계연보, 통계연보 2020년, https://www.wando.go.kr/www/administration/govment_status/statistical_yearbook, https://www.wando.go.kr/www/administration/news/news_data?idx=141511&mode=view (2021년 4월 28일 방문)
황정환, “부여 노인주간보호시설서 5명 추가 확진…누적 10명(종합)”, 뉴스1, 2021.04.23.
유선희, "차라리 몸이 아픈 게 낫지…" 코로나에 우울한 노인들“, 노컷뉴스, 2020.12.20.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2021년 4월 28일 방문)
경기도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관리 비대면 프로그램 ‘마음건강 로켓처방’, 찾아가는 마음건강상담현장공감, http://www.mentalhealth.or.kr/Community_N/Notice/read.asp?id=24141 (2021년 4월 28일 방문)
경기복지재단, 코로나19 감염병 발생과지역사회복지관의 비대면서비스 운영실태 2020, https://ggwf.gg.go.kr/archives/49854 (2021년 4월 28일 방문)
조지연, 2020.09.18., “시니어 위해 개편되는 앱 시장, ‘글자는 크고, 화면은 단순하게’”, 100NEWS http://www.100news.kr/8066
조맹제 외, 「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8권 1호』, 48-63p
김판수 외, 「고령층의 정보격차 현황 분석 및 정책 방안」,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5-47p, 2014.
신은진, 「정신과까지 비대면 허용 美 보니‥"한국, 비대면진료 법제화 시급"」, 메다파나 뉴스, 2020.07.23. http://m.medipana.com/news_viewer.asp?NewsNum=260356&vCount=12&vKind=1
서부덕 외1,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국내 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감 영향 요인」, 『J Health Info Stat』 2021;46(1):54-63)
class room 4차산업혁명과창업-산업의 경계가 없어지는 4차 산업혁명
김진호, 빅데이터가 만드는 제4차 산업혁명, 북카라반, 2016
노병일 저, 노인복지론, 동문사, 2025
권중돈 저, 노인복지론, 학지사, 2025
나용선 저, 노인복지론, 지식터, 2025
김성철, 김성숙 외 3명 저, 노인복지론, 양성원, 2024
김영미 저, 노인복지론, 양서원, 2024
이원주 저, 노인복지론, 공동체,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