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해부생리학2"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회적 이슈 선정 동기
1.2.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개요
2. 본론
2.1. 호흡의 생리학적 기전
2.2.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원인
2.3. 가습기 살균제와 호흡기능의 상관관계
2.4.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증상 및 치료방안
3. 결론
3.1. 가습기 살균제 사건에 대한 고찰과 개인적 견해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회적 이슈 선정 동기
영화 '공기살인'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깨끗한 공기를 마시고자 했던 소비자들의 목숨을 앗아간 충격적인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수많은 피해자들이 발생했고, 국민들을 공포와 두려움에 떨게 만들었다. 이러한 이유로 가습기 살균제 사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를 주제로 연구하고자 한다.
1.2.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개요
가습기는 병원 등에서 사용을 권할 정도로 일상생활에 도움을 주는 제품이지만,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매일 물을 비우고 기기 내부를 말리는 등 번거로운 관리가 필요하다. 1994년 당시 유공(현 SK케미칼)이 개발 및 상품화한 가습기 살균제는 가습기에 넣는 물에 살균제 일정량을 첨가하기만 하면 가습기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홍보되었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는 위생에 대한 우려와 번거로움을 해소해주는 획기적인 상품으로 받아들여졌다. 이러한 가습기 살균제는 1994년부터 2011년까지 18년간 약 43개의 유사 제품이 출시 및 판매되었으며 전국적으로 약 998만개가 판매되었다. 하지만 가습기의 물에 첨가하는 살균제인 가습기 살균제를 만드는 나라는 세계에서 한국이 유일하다.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 인구의 18% 이상, 즉 약 400만명 이상이 최소 한 번 이상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또한 1994년 이후 가습기 살균제를 누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인구는 800만명이 넘는다고 한다.
2. 본론
2.1. 호흡의 생리학적 기전
호흡의 생리학적 기전이다. 호흡은 크게 외호흡과 내호흡으로 나눌 수 있다. 생리학적 호흡이라고도 하는 외호흡은 일반적으로 '숨을 쉰다'라고 표현하는 것으로 호흡계를 통해 숨을 들이쉴 때 산소를 몸 내부로 운반하고, 내쉴 때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배출하는 물리적 과정이다. 이때 폐포와 모세혈관의 기체교환이 이루어진다. 조직 호흡 또는 내호흡은 외호흡으로 가스교환이 이루어진 후 세포가 산소를 흡수하고 ATP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면 다시 이산화탄소를 체외로 배출하는 호흡이다. 모세혈관에서 조직 세포 간의 가스교환이 이루어진다. 공기는 대기와 폐의 압력 차이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에 '흡기' '호기'라는 가슴과 복부의 근육수축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적혈구에 산소를 실어주는 '기체교환'이 일어나는 폐의 상태도 중요하다. 특히 폐의 섬유화는 건강에 치명적이다. 흡기 운동(inspiration movement)은 '능동적'으로 일어나며 여러 근육의 수축이 관여한다. 공기가 기관지를 통해 폐포까지 이동하려면 가슴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야 한다. 외늑간근(ext...
참고 자료
김영은, 연합뉴스, ‘가습기 살균제’ 피해 사건 개요, 2019년 7월 23일
조영욱 외 39명. 『보건인을 위한 인체생리학』.의학교육, 2020.
박억숭. "폐 딱딱해지는 '폐 섬유화'가 건강에 치명적인 이유". 『헬스조선』, 2020.02.26
김정문. "가습기 살균제 사태". 『에코타임즈』, 2021년 1월 13일
Krishnendu Mukherjee. (2016). 한국 가습기 살균제의 비극 - 법적 분석. 환경법과 정책, 16, pp. 71-82.
변지은, 김희성, 박문영, 이경무, 홍명근, 최예용. (2020). 가습기 살균제 노출 실태와 피해규모 추산. 한국환경보건학회지, 46(4), pp. 457-469.
SBS. 침묵의 살인자 – 죽음의 연기는 누가 피웠나?. 그것이 알고 싶다. 1009회. 2015년 11월 28일
송수연. "가습기 살균제가 '공기 살인'인 이유". 『청년의사』, 2022년 4월 7일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가습기 살균제 연관 폐질환』
신지수, “내가 할 수 없는 것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박준석 군의 고백, 2019년 9월 26일
박영주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태반 유착 (차병원 건강칼럼)
드러그인포
약학정보원
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