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골절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발목골절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2. 본론
2.1. 자료수집 (간호정보)
2.1.1. 개인력
2.1.2. 건강력
2.1.3. 간호력
2.2. 진단을 위한 검사소견
2.2.1. 임상병리검사
2.2.2. 방사선검사 및 특수검사
2.3. 치료 및 경과
2.3.1. 내과적치료
2.3.2. 외과적 치료 및 특수치료
2.4. 간호문제목록
2.5. 간호과정 적용
2.5.1. 간호과정 1
2.5.2. 간호과정 2
2.5.3. 간호과정 3
3. 결론
3.1. 연구 요약
3.2. 간호실무에의 활용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발목골절 환자의 간호 요구 사정과 중재
발목 관절은 경골, 비골, 거골 3개의 뼈가 만나서 이루는 관절이다. 발목 부위에서 경골과 비골에 발생하는 골절을 주로 발목 골절이라 부른다. 보통 복사뼈 또는 복숭아뼈라 불리는 부분의 골절이다. 발목 내측의 복사뼈는 내과라고 하며, 외측의 복사뼈는 외과라고 한다. 골절된 부위에 따라 내과 골절, 외과 골절이라고 하며, 둘 다 부러지면 양과골절이라고 한다. 양과 골절에 원위 경골의 후방 골절이 동반되면 삼과 골절이라고 한다.
발목 골절 환자는 산업재해, 교통사고, 운동 외상, 안전사고 등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상당한 통증과 출혈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환자의 신체적 고통을 다루는 것은 전문직 간호사에게 중요한 과제이며, 골절 환자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간호문제들을 간호과정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환자의 치료를 돕고 합병증을 예방하여 원활한 회복을 돕고자 한다.
따라서 발목 골절 환자의 간호 요구를 사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간호사는 발목 골절 환자의 간호 요구를 사정하고, 이를 토대로 합병증 예방 및 효과적인 회복을 위한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2. 문헌고찰
골절은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이다. 다양한 손상 원인에 따라 범위도 다양한데, 먼저 상처 상태에 따라서 개방 골절과 폐쇄성 골절이 있다. 개방 골절은 골절 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이 있고, 골절된 뼈가 노출된 상태이다. 골절의 형태에 따라서는 완전 골절, 불완전 골절, 충돌 또는 감압 골절, 분쇄 골절, 전위 골절 등으로 나뉜다.
골절의 증상은 원인, 부위, 정도, 종류, 다른 구조에 손상을 준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변형, 부종, 점상출혈, 근육경련, 압통, 통증, 감각 변화, 정상 기능 상실과 비정상적인 움직임, 염발음, 쇼크 등이 있다.
골절의 진단을 위해서는 방사선 촬영, 컴퓨터 단층 촬영, 자기공명영상 촬영 등의 검사가 이루어지며, 골절의 치료는 응급 처치, 본 치료, 재활 치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복과 고정이 주된 치료 방법이며, 골절의 치유 과정에는 혈종 및 육아조직 형성, 가골 형성, 골화 과정, 골 강화와 재형성 등이 포함된다.
골절 환자의 전반적인 간호에는 신경혈관계 손상 예방, 통증 완화, 감염 예방, 골절 부위 고정과 부동화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골절 환자의 합병증 예방과 기능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2. 본론
2.1. 자료수집 (간호정보)
2.1.1. 개인력
환자는 39세의 기혼 여성으로, 주부 직업을 가지고 있으며 고졸 학력이다. 종교는 없으며 가족력과 과거력상 특별한 기저질환은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입원 계기는 등산 도중 발생한 좌측 발목 골절이며, 이로 인해 본원 내원하여 진단 및 수술 치료를 받고 있다.
2.1.2. 건강력
과거에 앓은 질병이나 입원 경험, 외상 경험, 수술 경험, 복용했던 약물, 수혈 경험이 없다이다. 가족력에서도 특별한 질병이 없다이다. 현재 발목 골절 이외에 다른 건강문제는 없는 상태이다. 평소 건강한 편이었으며 정기적인 건강검진도 받지 않았다이다. 술과 담배도 전혀 하지 않는다이다. 규칙적인 식단 조절이나 운동 등의 건강관리 습관은 없는 편이었다이다. 입원 전까지는 활동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하였다이다.
2.1.3. 간호력
본인은 39세 기혼 여성으로 주부이며 종교는 없다. 평상시 건강 상태는 양호하였으나 현재 좌측 발목 골절로 입원 중이다. 음주와 흡연의 경험은 없으며 평소 커피나 기호식품 섭취도 하지 않는다. 자가 검진이나 예방접종 등 건강관리 활동도 하지 않았다. 식단 조절이나 규칙적인 운동 습관이 없었고 스트레스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지 않았으나 의료기관과의 접근성은 양호한 편이다. 하루 3끼 식사를 하며 음식 알레르기는 없으나 식욕은 보통 수준이다. 평소 배변 습관은 1일 1회이며 특별한 배뇨 문제는 없다. 수면 시간은 하루 8시간 정도이며 숙면을 취하는 편이다. 휴식 시간에는 주로 휴대폰으로 TV 시청을 한다. 일상적인 활동에 큰 제한은 없었으나 현재 발목 골절로 인해 보행이 어려운 상태이다. 전반적으로 건강관리에 소홀하였던 편이며 입원 상황으로 인해 새로운 지식과 대처 방법을 익혀야 하는 상황이다.
2.2. 진단을 위한 검사소견
2.2.1. 임상병리검사
일반혈액검사(CBC, complete blood cell)는 혈액 속에 있는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시행하는 가장 기본적인 혈액검사이...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48
한국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이춘택병원, 정형외과/내과 https://blog.naver.com/lctpw0303/222011039456
유승미 외,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21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8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23
장기인 외, 「학습성과기반 성인간호학실습1 매뉴얼」,현문사, 2023
임경훈, 「대퇴골 골절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 이대부속병원 정형외과, 1986, P.52-54
민혜순, 「척추골절 환자의 간호」, 1965, P.54-60
(이미지 출처) 키네, 2018,https://blog.naver.com/hah1003/221376063245
조정숙 외 9명(2014). 성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 p.334~365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201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p. 267~269
송경애 외(2020), 최신 기본간호학Ⅰ. 파주: 수문사.
송경애 외(2020), 최신 기본간호학Ⅱ. 파주: 수문사.
윤은자 외(2020), 아홉 번째판 성인간호학Ⅰ. 파주: 수문사.
윤은자 외(2020), 아홉 번째판 성인간호학Ⅱ. 파주: 수문사.
MEG GULANICK 외(2019), 수정판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송파: 현문사
이은희 외(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서초구: 고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intro.do
약물정보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보건의료데이터개방시스템 https://opendata.hira.or.kr/home.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