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신성 고혈압(PIH)의 이해
1.1. 임신성 고혈압의 정의 및 원인
임신성 고혈압의 정의는 임신 20주 이후에 발생하는 고혈압 상태이다.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면역학적 요인, 심혈관계 변화 등이 있다. 유전적 요인의 경우 가족력에 따라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면역학적 요인은 임신 중 면역 반응이 변화하면서 혈관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심혈관계 변화의 경우 임신 중 혈관이 확장되어 혈압이 낮아지지만, 이러한 조절이 실패할 경우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비만, 당뇨병, 만성 고혈압, 고령 임신, 다태아 임신 등의 요인이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
1.2. 임신성 고혈압의 증상 및 징후
임신성 고혈압의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고혈압은 임신 20주 이후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이다. 부종은 손, 발, 얼굴 등에서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두통은 지속적이고 심한 증상으로 나타나며, 시각 변화도 관찰될 수 있다. 복통, 구토, 메스꺼움 등의 소화기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이러한 임신성 고혈압의 증상 및 징후는 자간전증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높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관리가 필요하다. 임부의 활력징후, 혈압, 부종, 단백뇨 등을 주기적으로 사정하여 증상 악화를 방지해야 한다. 또한 태아의 상태도 함께 모니터링하여 태아 예후를 관찰해야 한다.
1.3. 임신성 고혈압의 분류와 진단기준
임신성 고혈압의 분류와 진단기준이다.
임신성 고혈압(PIH,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은 임신 20주 이후 발생하는 고혈압을 의미한다. PIH는 임신성 고혈압, 전자간증, 간헐적 고혈압으로 분류된다.
임신성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 진단된다. 이때 고혈압이 임신 전에는 없었던 경우에 해당한다.
경한 자간전증은 혈압이 140/90mmHg 이상이거나 평상시 혈압보다 수축기 혈압이 3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15mmHg 이상 상승했을 때 진단된다. 단백뇨는 300mg/L(1+)에서 1g(2+) 사이로 나타난다.
중증 자간전증은 6시간 간격으로 최소한 두 번 이상 측정한 혈압이 160/110mmHg 이상일 때 진단된다. 단백뇨는 5g/L(3+) 이상으로 나타난다.
자간증은 중증 자간전증에 발작과 경련이 동반되는 상태를 말한다. 혈압과 단백뇨 기준은 중증 자간전증과 동일하다.
2. 산전 상황에서의 간호
2.1. 임신성 고혈압 산부의 사정 및 평가
임신성 고혈압 산부의 혈압은 지속적으로 관찰되어야 한다. 혈압은 1~4시간마다 측정하여 그 변화를 확인해야 하며, 고혈압의 증상이 나타나는지 주시해야 한다.
산부의 단백뇨는 매시간 또는 배뇨 시마다 측정하여 그 양상을 확인해야 한다. 단백뇨의 증가는 자간전증으로의 진행을 나타내는 징후이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요비중도 매시간 또는 배뇨 시마다 측정하여 1.040 이상일 경우 핍뇨와 단백뇨를 의심해야 한다.
부종의 유무와 정도를 주기적으로 사정하여 기록해야 한다. 특히 얼굴, 손가락, 손, 팔 등의 부종 발생을 확인한다.
폐부종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청진하고 관찰해야 한다. 호흡음의 변화, 기침 등을 면밀히 관찰한다.
심부건반사를 정기적으로 사정하여 과도한 반사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과도한 심부건반사는 자간증의 전구 증상일 수 있다.
두통의 발생 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두통은 자간전증이 자간증으로 발전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이다.
상복부 통증의 발생 여부도 사정해야 한다. 상복부 통증은 HELLP 증후군의 증상일 수 있다.
혈액검사를 통해 혈액응고 시간, 간기능, 전해질 등을 확인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산모와 태아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산모의 의식 수준, 경련 발생, 혼수 상태 등 신경학적 상태도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산모의 정서적 반응과 이해 수준을 파악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2.2. 자간전증과 자간증의 감별 및 관찰
자간전증과 자간증의 감별 및 관찰이다. 자간전증은 임신 20주 이후에 혈압의 상승, 단백뇨의 발생과 더불어 부종이 나타나는 상태이다. 자간증은 자간전증의 더욱 심각한 형태로, 경련과 혼수 상태까지 나타나는 상태이다.
자간전증과 자간증을 감별하기 위해서는 산모의 혈압, 단백뇨 및 부종 수준을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자간전증 산모의 경우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며, 단백뇨는 300mg/L(1+)에서 1g(2+) 사이로 나타난다. 이에 반해 자간증 산모의 경우 수축기 혈압이 16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110mmHg 이상이며, 단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