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PT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PTE 및 DVT
1.1. DVT (Deep Vein Thrombosis, 심부정맥혈전증)
1.2. PTE (Pulmonary Thromboembolism, 폐동맥 혈전증)
2. DVT & PTE 병태생리
3. 임상증상
3.1. DVT
3.2. PTE
4. 진단검사
4.1. Lab(D-dimer)
4.2. 심전도
4.3. 영상 검사
5. 치료와 예방
5.1. 치료
5.1.1. 항응고 치료 - 주사제
5.1.2. 항응고 치료 - 비타민 K 길항제
5.1.3. NOAC
5.1.4. 수술
5.2. 예방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PTE 및 DVT
1.1. DVT (Deep Vein Thrombosis, 심부정맥혈전증)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은 사지의 심부정맥에 혈전이 형성되는 질병이다. 주로 하지에 발생하며, 그 원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혈류의 정체, 혈관 벽의 이상, 혈액 응고계 이상의 3가지 요인(Virchow's triard)에 의해 발생한다.
심부정맥혈전증의 주요 발생 위험 요인은 정맥혈의 정체, 정맥 벽의 손상, 그리고 혈액의 과응고력이다. 정맥혈의 정체는 하지정맥판막의 기능부전, 수술, 척수손상으로 인한 마비, 만성 심장기능상실, 정맥류 등에 의해 발생한다. 정맥 벽의 손상은 골절이나 탈구 후의 혈관 손상, 중심정맥관 삽입 등에 의해 발생한다. 혈액의 과응고력은 악성종양, 다혈구혈증, 혈소판증가증, 임신, 산욕기, 피임약 복용, 유전성 및 후천성 응고 장애 등에 의해 발생한다.
심부정맥혈전증은 주로 대퇴동맥, 슬와동맥, 비골동맥, 후경골동맥에서 발생한다. 심부정맥혈전증 환자에서는 부종, 종창, 열감, 통증, 압통, 발적, 표재성 정맥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심부정맥혈전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D-dimer 검사, 초음파 검사, 심장 초음파 검사, 정맥 조영술, CT, MRI 등의 검사가 사용된다. D-dimer 검사는 혈전 용해 시 생성되는 단백질 조각을 측정하여 혈전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초음파 검사는 급성 및 만성 DVT 진단에 일차적인 영상 검사법이다. 심장 초음파 검사는 폐동맥 혈전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심부정맥혈전증의 치료는 항응고 요법이 중요하다. 주사제인 표준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 경구 비타민 K 길항제인 와파린, 경구 직접 경구 항응고제(NOAC) 등이 사용된다. 표준 헤파린과 저분자량 헤파린은 빠른 항응고 효과가 있고, 와파린은 완전한 항응고 효과를 내기 위해 최소 5일이 소요된다. NOAC은 혈액 검사 모니터링과 용량 조절이 필요 없고 약물 상호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항응고 요법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재발하는 경우 경피적 도관 색전 제거술, 풍선 혈관 성형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탄력 스타킹 착용, 간헐적 공기압박법 등을 시행할 수 있다.
1.2. PTE (Pulmonary Thromboembolism, 폐동맥 혈전증)
PTE (Pulmonary Thromboembolism, 폐동맥 혈전증)은 심부정맥혈전증(DVT)의 합병증이다. 심부정맥의 혈전이 떨어져 나와 우심방, 우심실을 거쳐 폐동맥을 막는 상태를 말한다.
폐동맥이 부분 또는 완전히 폐쇄되면 혈류가 감소되거나 정지되어 환기-관류 불균형이 발생한다. 큰 혈관이 폐쇄되면 폐혈관 저항이 증가하고 폐동맥압이 상승하여 우심실 기능부전이 초래된다. 이에 따라 심박출량이 감소되고 저혈압이 발생하여 쇼크 상태에 이를 수 있다.
폐색전증의 대부분은 하지의 심부정맥혈전이 떨어져 나와 발생한다. 주요 위험요인에는 최근 수술, 장기 부동, 악성종양, 임신, 경구피임약 사용 등이 있다.
폐색전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곤란, 흉통, 객혈 등이다. 청색증, 저혈압, 서맥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의 D-dimer, 심전도, 영상검사(CT, 폐관류 스캔, 폐동맥 조영술)를 시행한다. D-dimer는 혈전 용해 시 생성되는 단백질 조각으로, 500ng/mL 이상이면 활성화된 혈전이 있다고 판단한다. 폐색전증이 의심되는 경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치료는 크게 약물 요법과 수술 요법으로 나뉜다. 약물 요법으로는 항응고제(헤파린, 와파린, NOAC)를 사용하며, 중증 환자에서는 혈전용해제를 투여할 수 있다. 수술 요법으로는 색전 제거술, 하대정맥 필터 삽입술 등이 있다. 적절한 치료를 통해 재발과 사망률을 80-90% 줄일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조기 보행, 탄력 스타킹 착용, 간헐적 공기압박 등의 방법이 효과적이다.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 예방적 항응고제 투여를 고려...
참고 자료
황옥남, 「성인간호학-하권」, 현문사, 2019, p43-48
서유정, 「하지심부정맥혈전증의 진단과 치료: 한국형 진료지침 요약본」, 대한혈관외과협회
윤현기, 「정맥 혈전증의 인터벤션 치료」, Korean Med Assoc, 50(7), 2007, 639-644
김양기, 「정맥혈전증의 최신 치료: 항응고치료를 중심으로」, 대한내과학회지, 제 84권 제 5호, 2013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2021, 심부정맥혈전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7329&cid=51004&categoryId=51004#TABLE_OF_CONTENT3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COPD 진료지침 개정위원회
천식 진료지침 개정위원회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SNUH manual of medicine.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성인간호학Ⅰ.수문사.김금순 외
비소세포 폐암에서의 수술 후 보조 항암요법. 대한내과학회지 제61권 부록 2호
지역사회획득 폐렴의 치료지침 권고안. 대한의사협회지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www.amc.seoul.kr
대한영상의학회지. 종양 환자에서 폐색전증의 영상학적 특징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2 : 감염. 2013. 도서출판 정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결핵 및 호흡기질환,vol 48. 장준.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th edition. jameson, fauci, kasper, hauser
해리슨 내과학 19판
폐농양의 임상적 고찰. 연세대학교 의화대학 내과학교실
국내 HIV 감염인의 기회감염증 치료와 예방에 대한 임상진료지침 권고안. 대한에이즈학회
성인간호학 (상) / 조경숙 외 / 현문사
제 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 차영남 외 / 현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 원종순 외 /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폐 색전증 [pulmonary thromboembolism]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폐 색전증 [pulmonary thromboembolism]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비브라운0.9%생리식염주사액500mL [Sodium Chloride Injection 0.9% 500ml Bbrown]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보령세프트리악손주2g [Ceftriaxone Injection 2g Boryung]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헤파린나트륨주사액 http://www.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217842
[네이버 지식백과] 동아가스터주20mg(앰플) [Gaster Injection 20mg Dong-A]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지판주사50mg [Zipan Injection 50mg]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데노간주 [Denogan Injection]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대한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2%주(20mL) [Daihan Lidocaine HCl Hydrate Inj. 2%(20mL)]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트리돌주100mg [Tridol Injection 100mg]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