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사회 간호과정 개념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화된 과정이다. 이는 지역사회 사정, 간호진단, 목표설정, 중재 및 평가 등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지역사회 간호과정의 개념은 지역사회의 건강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간호사가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지역사회 간호과정을 통해 지역사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과 기능을 명확히 하고 간호실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지역사회 건강 증진을 위한 핵심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 간호과정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의 건강 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지역사회의 특성과 주민의 요구에 맞는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과 기능을 명확히 할 수 있다. 넷째, 지역사회 간호실무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섯째,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지역사회 건강 증진을 위해 필수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2. 지역사회 간호과정 필요성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지역사회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지역사회 간호사정을 통해 지역의 특성과 주민의 건강 문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선순위를 정하고 체계적인 간호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 간호계획 수립 시 지역주민의 참여를 독려하여 지역사회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이처럼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지역의 건강 문제를 사정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지역주민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다.
2. 본론
2.1. 지역사회 간호사정
2.1.1. 지역사회 특성
2.1.1.1. 지리적 특성
부천시는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울특별시 양천구, 서울특별시 강서구와 동쪽과 북쪽으로 접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김포시, 인천광역시 부평구, 인천광역시 계양구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광명시와 시흥시와 접하고 있다. 부천시의 지형은 대체로 낮고 완만한 편이며, 넓은 평야와 성주산, 할미산, 원미산이 구릉을 형성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역곡천과 베르네천의 일부 구간이 도심경관 하천으로 정비되었고, 현재 심곡천의 일부 구간이 복원되고 있다. 부천시의 기후는 냉대 동계 소우 기후에 속하며, 평균기온은 12.8℃이고 최한월 12월 평균 기온은 -2.1℃, 최난월 7월 평균 기온은 24.8℃이다. 연간 강수량은 905mm로 3월에 7.5mm로 가장 적고 7월에 213.5mm로 가장 많다. 지역의 대부분이 시가지인 영향으로 열섬현상이 나타나 봄철 벚꽃 개화일이 1~2주 빠른 편이다. 부천시는 36개 행정동 688통의 행정구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철도와 도로망이 발달되어 있으나 경인철도와 경인고속도로로 인해 지역 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2.1.1.2. 지역경제 특성
부천시의 취업자 종사 산업은 제조업이 18.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도매 및 소매업(16.4%), 건설업(8.7%) 순으로 나타난다. 부천시 취업자의 종사 직업은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23.6%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사무 종사자(19.2%), 판매 종사자(14.8%) 순이다. 부천시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55만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월평균 소득이 200~300만원 미만인 가구가 21.9%로 가장 많다. 가구의 주된 소득은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이 68.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배우자 및 기타 가구원의 근로(사업)소득(9.0%), 공적·사적연금 및 퇴직금(5.7%) 순이다.
부천시 경제활동 참가율은 55.4%이며, 남자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여자보다 더 높다. 반면 44.6%의 부천시민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부천시의 지역경제는 제조업과 도소매업, 건설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가구소득은 200~300만원 미만이 가장 많고 가구주의 근로소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