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가족 사정
1.1.1. 가족 구조 및 발달단계
이00씨와 김00는 8년 전 남편과 사별한 후 홀로 외동딸과 함께 생활하는 불완전한 가족 구조이다. 이들은 Duvall의 가족 발달단계에서 진수기 가족에 해당한다.
이00씨는 65세의 여성이며, 38세의 정신지체 2급 장애를 가진 딸과 함께 살고 있다. 남편과 사별한 이후 딸을 혼자서 키워왔으며, 현재 딸과 함께 지내고 있다.
이들 가족은 불완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가족구성원이 이00씨와 그의 딸 김00 두 명뿐이며, 다른 가족 구성원이 없는 핵가족 형태이다. 또한 남편과 사별하여 한부모 가족 형태를 띠고 있다.
이 가족은 Duvall의 가족 발달단계에서 진수기 가족에 해당한다. 이 단계는 은퇴기에 접어든 부모가 성장한 자녀와 함께 살거나 혼자 살게 되는 시기이다. 이00씨와 김00의 경우 이 단계에 해당하며, 고령의 건강문제를 가진 어머니가 지체장애를 가진 성인 딸을 돌보는 상황이다.
1.1.2. 가족 체제 유지
가정을 유지하고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부분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사례의 대상자 이00씨는 남편과 사별한 후 홀로 외동딸과 생활하고 있으며, 가옥의 소유형태가 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볼 때 이00씨 가정의 경제적 형편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 방 수가 부엌 포함 2칸에 불과하여 주거 공간이 협소한 편이다. 이처럼 부족한 경제적 자원과 협소한 주거 공간은 가족 구성원의 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이 가정의 재정 관리 방법을 점검하고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주거 환경의 개선을 위해 보다 넓고 쾌적한 공간으로의 이사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이00씨 가정의 가족 체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1.1.3. 상호작용과 교류
이0씨와 딸은 매우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웃과의 교류가 거의 없으며, 오직 이0씨와 딸만이 서로를 의지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0씨의 여동생은 친구도 이웃도 보지 않고 딸과 텔레비전만 보며 사는 언니의 모습이 답답하기만 하다고 한다. 이들은 집안에만 있어 운동도 하지 않고 이웃들도 만나지 않는다. 부적절한 의사소통으로 인해 이웃과의 교류가 단절되어 있으며, 이0씨와 딸의 역할 또한 편중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0씨는 정신지체 딸을 돌보느라 집안의 모든 일을 도맡고 있지만, 위생 개념이 부족하여 실제로 실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1.4. 지지
가족이 처한 문제와 위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자 이00씨와 딸은 서로만을 의지하고 살고 있어 가족의 지지가 부족한 편이다. 이웃과의 교류도 거의 없어 고립되어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대상자의 여동생이 근처에 살며 가끔씩 대상자 모녀를 돌보고 있어 그나마 가족의 지지로 작용하고 있다. 가족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유대감이 부족하고, 가족 문제에 대해 함께 대처하고 해결해 나가는 모습이 부족하다.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한 가족들의 관심도 부족한 편이며, 가족 간 소통과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향후 대상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가족 구성원 간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지지가 필요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