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담낭의 염증, 담석, 또는 암을 치료하기 위하여 복강경을 통해 담낭을 절제하는 수술이다. 이는 기존의 개복 수술에 비해 상처가 적고 회복 기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이 수술은 의사가 카메라와 수술 도구를 사용하여 작은 절개 부위를 통해 담낭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복강경 수술은 불가역적 진행이 가능한 담낭 질환 치료에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술식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개념과 적응증, 원인 및 병태생리, 증상 및 진단 절차, 그리고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복강경 담낭절제술
2.1. 개념 및 적응증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담낭 내 담석 및 기타 담낭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복강경을 이용하여 담낭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담낭은 소화에 필요한 담즙을 저장하고 분비하는 역할을 하는데, 담낭에 담석이 생기거나 기능이상이 발생하면 급성 혹은 만성 담낭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담낭절제술이 필요하게 된다.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개복 수술에 비해 절개 부위가 작아 통증이 적고, 회복 기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 많은 병원에서 선호되고 있다. 주된 적응증으로는 증상이 있는 담석증, 무증상 담석증(담석 크기 3cm 이상, 담낭벽 석회화, 담낭 용종 동반), 급성 및 만성 담낭염, 담낭 용종, 그리고 담낭암 의심 시 등이 있다.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환자의 병력과 건강 상태, 담낭 질환의 정도에 따라 술식이 다양하게 적용된다.
2.2. 원인 및 병태생리
담낭 내 담석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원인이다. 담석이 없이도 급성 담낭염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는 전체 급성 담낭염의 5-10% 수준에 불과하다. 담석이 담관을 막으면 담낭의 압력이 높아지고 담낭벽이 부어오르며 염증이 발생한다. 염증이 심각해지면 담낭이 터지거나 괴사될 수도 있다.
담석이 없는 경우에는 화상, 외상, 수술, 장기간 경정맥 영양 공급, 혈관염 등의 중증 질환에 동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드물게 장티푸스, 결핵, 기생충 감염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담석이 없는 경우에는 담석이 있는 경우보다 더 급격히 발생하며 괴사 및 천공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
담낭관의 폐쇄로 인해 나타나는 급성 결석성 담낭염은 담낭 팽만을 유발한다. 이로 인해 정맥성 및 림프성 배액 장애, 세균 증식, 국소적인 피부 자극 또는 침윤, 허혈 부위 악화 등의 2차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염증으로 인해 담낭벽이 부종되고 단단해지며, 경우에 따라 괴사까지 일어날 수 있다.
급성 비결석성 담낭염은 담석의 폐쇄 작용과 무관하게 발생하는데, 전체 급성 담낭염의 4-8%를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는 심한 외상, 화상, 수술, 지연된 출산 후 산욕기, 세균성 패혈증, 심혈관 질환, 결핵, 육종증 등과 관련하여 발생한다. 질병의 진행 과정에서 괴사와 천공의 발병률이 결석성 담낭염보다 약간 높은 것이 특징이다.
2.3. 증상 및 진단 절차
급성 담낭염의 초기 증상은 담석에 의한 통증인 담관 산통과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단순한 담관 산통은 통증이 수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통증이 수 시간 이상 지속된다면 급성 담낭염에 준하는 검사와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복통은 종종 과식 후, 늦은 밤, 이른 아침에 우상복부에 둔하게 지속되는 양상으로 발생하며, 간혹 통증이 등이나 우측 견갑골 쪽으로 퍼지기도 한다. 급성 담낭염 환자들의 대부분은 급성 담낭염이 생기기 2년 전에 이와 비슷한 증상을 경험하기도 한다. 급성 담낭염이 생긴 부위에 복막이 자극되어 오른쪽 윗배로 통증이 국한되며, 촉진 시 환자에게 숨을 들이마시게 하면 통증이 갑자기 심해져서 숨을 더 이상 들이마시지 못하는 현상이 생긴다. 또한 급성 담낭염이 발생하면 열이 나고 오심과 구토가 있을 수 있다. 복부에 심한 통증과 압통이 있고 열이 나면서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가 증가하는 환자는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급성 담낭염을 진단한다. 이 경우 담낭 내에 담석이 있고, 담낭벽이 두꺼워져 있으며, 담낭 주변에 체액이 고여 있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 초음파 검사 시 초음파 탐촉자로 담낭 부위를 눌러서 압통을 확인하는 것도 급성 담낭염을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담낭 동위원소 촬영도 급성 담낭염을 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