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소아 폐렴은 중요한 소아과 질환 중 하나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나타나는 폐렴은 미생물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폐렴은 성인에게도 심각한 질병이지만 소아청소년과 병동에서도 중요한 질병 중 하나이다. 폐렴은 원인 병원체와 환자의 연령, 기저 질환에 따라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소아청소년과 병동에서 나타나는 폐렴에 대해 원인, 진단 등을 알아보고 소아 폐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소아 폐렴의 정의와 원인
2.1. 소아 폐렴의 정의
폐렴은 말단 세기관지 아래 폐 실질 조직의 급성 염증이나 감염으로, 영아와 어린 아동에게 가장 흔히 발생한다. 폐렴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폐렴 이외에 화학물질이나 방사선 치료 등에 의해 비감염성 폐렴이 발생할 수도 있다. 폐렴의 원인은 연령에 따라 분포가 다르며 호흡기 바이러스가 30~67%를 차지하고 특히 어린 영아에게서 흔하게 나타난다. 대부분 집,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서 유행양상으로 발생하게되며 몸 속에 침입을 하더라도 면역 저하 시 폐렴으로 발병된다.
2.2. 소아 폐렴의 원인
2.2.1. 세균성 폐렴
세균성 폐렴은 세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구균이다. 폐렴구균성 폐렴의 경우 고열(38~40.5℃)과 호흡기계 증상, 즉 흉통, 기침, 빠른 호흡(20~45회/분), 빈맥(100~140회/분), 건성 수포음과 미세한 악설음 등이 나타난다. 또한 행동 증상으로 불안 및 불안정함, 기면 등이 나타나며, 위장관계 증상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 복통이 나타날 수 있다. 방사선 검사에서는 기관지 주위로 미만성 또는 반점상 침윤이 관찰된다. 포도상구균성 폐렴은 중증 호흡곤란과 쇼크 상태로 급속히 진행되는 특징을 보인다. 연쇄상구균 폐렴은 서서히 발병하며 기침과 발열이 있고 방사선 검사 소견에서 산재된 기관지폐렴이 관찰된다. 특히 3개월 미만 영아에서는 폐렴구균, A군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등이 주된 원인균이며, 3개월~5세 아동에서는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포도상구균 등이 주된 원인균이다. 5세 이후 아동에서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가장 흔한 원인이 된다.
2.2.2. 바이러스성 폐렴
바이러스성 폐렴은 5세 미만의 아동에게 가장 흔하며 전체 폐렴의 80~85%를 차지한다. 주된 원인 바이러스는 adenovirus(아데노바이러스), infuenza virus(인플루엔자바이러스),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이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직접전파, 비말감염, 공기전파의 방식으로 전파된다. 바이러스가 상기도로 들어가 한쪽 또는 양쪽 폐의 기관지와 가장 가까운 폐포에 침투한다. 바이러스는 세포에 침입한 후 복제되어 강하게 파열하면서 세포를 죽이고 세포 파편을 밖으로 내보내게 되는데, 이 파편들이 고르지 못한 패턴으로 드문드문 분포되어 기관지폐렴이 발생한다. 임상적으로는 감기와 유사한 정도의 경미한 증상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