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Prpd 수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1. 진단명
1.2. 질병 병태생리
1.3. 수술명
1.4. 수술의 정의
1.5. 수술의 종류 및 방법
1.6. 해당 수술 시 발생하는 합병증
1.7. 마취의 종류
1.8. Time Out 실시하는 방법
2. 간호사정
2.1. 수술실 도착 시간
2.2. 환자준비
2.3. 기계준비
2.4. 수술부위 소독
2.5. 마취
2.6. 피부절개 혹은 수술부위 접근방식
3. 수술과정(Procedure)
3.1. 주로 사용하는 기계
3.2. 주로 사용하는 봉합사 및 바늘의 종류
3.3. 절제 부위
3.4. 출혈을 방지하기 위한 절차
3.5. 피부를 닫기 위한 절차
3.6. 드레싱
3.7. 마취에서의 회복할 때 간호내용
3.8. 회복실로 환자 옮기기
3.9. 수술 전, 중 투약 또는 검사
3.10. 수술환자의 간호과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1. 진단명
Malignant neoplasm involving both intrahepatic and extrahepatic bile ducts 이다. 담도암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흘러 들어가기까지의 경로인 담도에서 악성종양이 생기는 질환이다. 담도는 간 내부의 작은 담관들이 차츰 합쳐져서 간외 담관을 형성하는데, 이 부위에 암이 생길 수 있다. 간내 담도암과 간외 담도암으로 구분되며, 양자 간에 세포 형태는 차이가 없다. 담도암의 대부분은 담관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선암종이다. 나이가 증가할수록 발생 빈도가 높아지며, 남성에서 여성보다 약간 더 높게 발생한다. 주된 위험요인으로는 간내 담석, 원발성경화성담도염, 선천성담도기형, 간흡충 감염 등이 있다. 또한 담도계 발암물질에 노출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의 경우 위험도가 높다. 담도암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황달이며,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렵다. 진단을 위해서는 영상검사와 생검을 통해 확진하며, 근치적 절제가 불가능할 경우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를 시행한다.
1.2. 질병 병태생리
담도는 지방의 소화를 돕는 담즙이 간에서 분비되어 십이지장으로 흘러 들어가기까지의 경로이다. 담도는 간내 담도와 간외 담도로 나뉘며, 담낭은 담즙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창고와 같은 곳이다. 담도암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이 십이지장까지 가는 경로인 담도에서 암세포가 형성하는 종괴이다. 간내 담도암과 간외 담도암으로 나뉘며, 대부분의 담도암은 담관 선암종이다.
담도암의 위험요인으로는 연령 증가, 간 내 담석, 원발성경화성담도염, 선천성담도기형, 간흡충 감염, 이산화토륨 노출 등이 있다. 담도암의 대표적인 증상은 황달이며, 이 외에도 회백색 변, 갈색뇨, 가려움증, 전신 허약감, 식욕 부진, 체중 감소, 우상복부 통증 등이 나타난다. 담도암은 진단이 어려워 조기에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진단을 위해서는 초음파, CT, MRI, ERCP, PTC, EUS, PET 등의 검사가 활용된다.
담도암의 1차 치료 방법은 수술이며, 절제가능한 경우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한다.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을 고려한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문합부 누출, 농양, 출혈, 소화 장애, 당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전후 적절한 간호 중재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3. 수술명
수술명은 유문 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Pylorus preserving pancreaticoduodenectomy, PPPD)이다. 유문 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은 췌장암 병변이 췌장 두부나 구상돌기에 위치하는 경우의 표준 수술 방법이다. 휘플수술의 한 형태이지만 위를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문부는 위의 아래쪽, 십이지장으로 이어지는 부분인데 유문부까지 절제하면 음식이 십이지장으로 바로 넘어가서 덤핑증후군의 위험이 있다. 덤핑증후군이란 음식물이 급격하게 대량으로 소장으로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모든 증상을 말하며, 소화장애, 흡수장애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서 위를 보존할 수 있다면 환자의 삶의 질에 상당히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최근 수술 기법과 마취 기술 및 중환자 치료법이 발전한 덕에 수술 사망률이 감소하였고 5년 생존율은 증가하여서 절제가 가능한 췌장 두부암에 대한 최선의 치료법으로 쓰인다. 전체적인 합병증 발생률은 고전적인 휘플수술과 비슷한 정도이며, 가장 흔한 합병증은 췌장과 주변 장기들을 문합한 부분의 췌액 누출, 위 배출 지연 등이 있다. 최근에는 복강경 로봇수술 등의 최소 침습 수술법이 도입되어 시행 중이며 이를 통해 수술 후 흉터, 출혈, 통증이 줄어들어 환자의 삶의 질에도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고 있다.
1.4. 수술의 정의
수술은 질병 치료나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신체 일부를 절개하고 조작하는 의료행위이다. 휘플 수술은 췌장 두부, 십이지장, 담낭 및 담도, 필요시 위의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유문을 보존하는 유문보존 췌십이지장절제술도 시행되고 있으며, 유문부만 절제하고 원위부 위절제는 하지 않는 유문절제 췌십이지장절제술도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수술은 췌장암, 원위부 담관암, 십이지장암 등에서 주로 시행되며, 완치를 목적으로 하거나 증상 완화를 위해 이루어진다. 수술 방법은 환자의 상태와 병변의 위치 및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술은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1.5. 수술의 종류 및 방법
수술의 종류는 크게 근치적 절제술과 우회술로 나뉜다. 근치적 절제술은 암 조직과 주변 정상 조직을 모두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술식이다. 이에 반해 우회술은 암이 진행되어 근치적 절제가 어려운 경우, 담즙이나 음식물의 흐름을 우회시켜 증상을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시행된다.
근치적 절제술에는 췌십이지장절제술(Whipple's operation), 원위부 췌장절제술, 췌장체부 및 미부 절제술 등이 있다. 췌십이지장절제술은 췌장 두부, 십이지장, 담낭 및 담도, 때로는 위 일부를 포함하여 절제하는 술식이다. 병변이 췌장 두부에 국한된 경우 유문부 보존 췌십이지장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원위부 췌장절제술은 췌장 몸통과 미부를 절제하는 술식이며, 췌장체부 및 미부 절제술은 췌장 몸통과 미부를 절제하는 것이다.
우회술로는 십이지장 우회술(gastrojejunostomy)과 담도 우회술(choledochojejunostomy) 등이 있다. 십이지장 우회술은 위에서 공장으로 우회시켜 음식물의 흐름을 개선하는 술식이며, 담도 우회술은 폐쇄된 담도를 공장에 문합하여 담즙의 배출을 원활히 하는 술식이다.
이처럼 수술의 종류와 방법은 암의 위치, 진행 정도, 환자의 전신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근치적 절제술이나 우회술 모두 전신마취하에 시행되며, 수술 접근 방식은 개복술, 복강경 수술, 로봇 수술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
참고 자료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 차영남,장효순,이정옥 외 11명 / 현문사
성인간호학 상권 /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 7명 / 현문사
세브란스 병원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hepatobiliary_pancreas_surgery/treatment/view.asp?con_no=75526&page=&SearchField=&SearchWord=
국가정보포털 마취
http://health.mw.go.kr/Main.do
국가암정보센터
http://www.cancer.go.kr/mbs/cancer/jsp/cancer/cancer.jsp?cancerSeq=3773&menuSeq=3780&viewType=all&id=cancer_020112000000
KMLE 약품/의약품 정보
http://www.kmle.co.kr/viewDrug.php?inx=47532&c=4eccfe601b208060088bf10860138816
킴스온라인 : http://www.kimsonline.co.kr/
서울아산병원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약학정보원: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total_result.asp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11.10.19.),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0~33p
임경춘, 강경자 외 8 (2021.09.10.),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21.09.10. 664~666p
수술부위 감염 예방을 위한 APSIC 지침 :https://apsic-apac.org/wp-content/uploads/2019/02/APSIC%20SSI%20Prevention%20guideline_Korea_Jan%202019.pdf
장재혁(2021), 췌장암 조기 진단을 위한 선별 검사, 대한내과학회지, 96권 2호, 110~115p
김동욱(2018), 전이성 췌장암의 새로운 항암 화학 요법: PEGPH20, 대한소화기학회지, 71권 4호,244-245p
이윤석(2020), 절제가능 췌장암에서 선행 항암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 대한소화기학회지, 75권 4호, 228-230p
우상명(2017), “췌장암이 걱정돼요” - 진단 및 치료 백서,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7권 2호, 16-22p
김정애(2018년),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 경기도 파주: 수문사, P.91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9판. 경기도 파주: 수문사; 2019. p.484-656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바터팽대부암,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79
서울아산병원, 데노간 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V-DENOG1G
서울아산병원, 뮤코미스트 액,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OA-MUC4ML
서울아산병원, 메로펜 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V-MERO500
서울아산병원, 아미카신 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V-AMIKA500
서울아산병원, 비니카핀 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A-BINI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