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골관절염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골관절염의 정의 및 특성
1.2. 골관절염의 유병률과 추세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골관절염의 병태생리
2.2. 골관절염의 원인 및 위험요인
2.3. 골관절염의 임상증상
2.4. 골관절염의 진단
2.5. 골관절염의 치료
3. 간호정보조사
3.1. 일반정보
3.2. 건강력
3.3. 신체검진 소견
3.4. 검사 결과
4. 간호과정
4.1. 수술 후 급성통증 관리
4.2. 수술부위 감염관리
5. 결론
5.1. 간호중재의 효과
5.2. 간호학적 의의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골관절염의 정의 및 특성
골관절염은 뼈의 관절면을 감싸고 있는 관절 연골이 마모되어 연골 밑의 뼈가 노출되고, 관절 주변의 활액막에 염증이 생겨서 통증과 변형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흔히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불리며 관절 질환 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질환은 아니다. 골관절염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비만, 관절의 외상, 염증으로 인한 연골 손상 등이 있다. 어려서부터 오랜 기간 관절에 병을 앓으면 골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비교적 젊은 나이에도 퇴행성 관절염이 발병할 수 있다.
골관절염의 가장 흔한 증상은 무릎의 통증이다. 특히 계단을 오르내릴 때 통증이 더 심하며, 오전보다 오후에 더 심하다. 골관절염이 진행되면 무릎이 붓고 물이 차며 하루 종일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척추에 골관절염이 오는 경우 허리에 통증이 생기며, 심한 경우 저릿저릿한 신경 증상이 발생하여 허리 디스크로 오인하기도 한다. 고관절에 발생한 경우 통증이 생기거나 관절 운동 범위에 제약이 생겨 보행이 어색해진다. 손가락 마디에도 골관절염이 흔하게 발생하며, 특히 중년 여성에게 많이 확인된다. 손가락에 골관절염이 생긴 경우 통증을 느끼면서 손가락 마디가 서서히 굵어진다.
골관절염은 병력과 신체검진 결과를 기초로 X-선 촬영, 골스캔,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등의 방사선 검사가 유용하다. 임상소견은 대부분 정상이나 활액에 다소의 백혈구 증가와 연골 파편이 있다. 방사선상으로는 관절강이 좁아지고 관절면의 불규칙성을 볼 수 있다. 골관절염 치료의 목표는 통증과 염증조절, 장애의 예방, 관절기능의 유지 및 향상에 초점을 둔다. 약물요법과 비약물요법, 보완대체요법이 사용되며, 이러한 보존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경감되지 않거나 관절기능이 상실되고 독립적인 자가간호수행이 어려울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한다.
1.2. 골관절염의 유병률과 추세
성인 골관절염 의사진단경험률은 2015년 9.4%에서 2019년 7.7%로 감소하였다. 또한 65세 이상 인구에서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유병률은 2017년 33.1%에서 2020년 16.5%로 보고되었다. 이처럼 골관절염 진단률과 유병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골관절염을 진단받은 대상자들은 통증과 구조적 변화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고 있으며, 적절한 치료적 중재에도 불구하고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에 골관절염 대상자에 대한 간호 중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골관절염의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나, 여전히 골관절염 환자들은 심각한 통증과 기능장애를 호소하고 있다. 그러므로 골관절염의 특성, 증상, 진단 및 치료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골관절염 환자를 간호하는 데 필요한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골관절염 환자의 증상 관리와 기능 향상을 위한 간호 중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수술 후 급성통증 관리와 수술부위 감염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간호과정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골관절염 환자의 회복을 도모하고 간호학적 의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골관절염의 병태생리
골관절염은 슬관절이나 고관절과 같이 체중부하가 많이 요구되는 관절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한다. 관절면의 뼈가 과밀해지거나 골증식이 됨에 따라 관절 간격이 좁아지면서 구조적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상적인 관절연골은 불투명해지고 노랗게 변화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연골이 침식되고 갈라져 깊은 골이 생기게 된다. 결국 연골이 점차 벗겨지고 연골 밑의 뼈가 노출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생골이 형성되면서 골질의 증식과 비후가 일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골낭종과 속발성 활액막염이 나타나게 되며, 이는 아탈구와 관절기형을 유발하여 ...
참고 자료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2022]
[최명희, 퍼시픽 간호사 국시대비 개념서 2024년 대비 성인간호학 1, 퍼시픽, 2023]
[오주한 외, 대한견주관절학회지, 대한견주관절학회, 2020.]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KIMS (www.kimsonline.co.kr)]
[나나, 일반 혈액검사 임상적의의], [자몽이. LAB 결과 정상수치, 임상적 의의 알아보기]
[최명희, 퍼시픽 간호사 국시대비 개념서 2024년 대비 기본간호학, 퍼시픽, 2023]
한국노인간호학회(2020), 노인간호학 p434~466, 현문사
심호흡이완법
http://cancer.snuh.org/board/B028/view.do?bbs_no=3693&searchKey=all&searchWord=&pageIndex=1
수술부위 및 배액관 관리방법
https://blog.naver.com/gone6738864/221487850654
김금순.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검사/시술/수술정보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