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시대적 배경과 박종철 고문 사건
1980년대는 한국 현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전두환 정권이 등장하며 민주화 요구가 거세게 일어났고, 박종철 고문 사건을 계기로 6월 민주항쟁이 촉발되었기 때문이다.
1979년 12·12 사태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 대통령은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는 민주화 운동 세력을 강경하게 탄압하였다. 1987년 1월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을 계기로 전국에서 '박종철 군 범국민 추도식'과 시위가 계속되었고, 4·13 호헌 조치 발표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로 '독재 타도'와 '호헌 철폐'를 요구하는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이후 5월 16일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은폐와 조작 사실을 폭로하면서, 이한열 학생의 부상 사건까지 겹치며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가 결성되어 민주화 투쟁이 전국적인 항쟁으로 확산되었다. 이처럼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은 6월 민주항쟁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박종철 고문 사건의 경과를 살펴보면, 1987년 1월 14일 박종철 학생이 치안본부 대공수사단 남영동 분실에서 고문 중 사망한 사건이다. 경찰은 처음 단순 쇼크사라고 발표했지만, 부검의의 증언과 언론 보도 등으로 물고문 사실이 밝혀졌다. 경찰의 은폐 조작이 드러나면서 정부는 내무부장관과 치안본부장을 해임하고 고문 근절 대책을 수립하는 등 사태 수습에 나섰다.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은 전두환 정권의 정당성에 큰 타격을 주었고, 6월 민주항쟁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사건을 통해 경찰의 인권 침해와 권력 남용이 적나라하게 드러났으며, 이는 한국 민주화 운동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이 되었다.
1.2. 박종철 고문 사건의 역사적 의의
박종철 고문 사건은 1987년 1월 14일 발생한 사건으로, 당시 군사독재정권 하에서 경찰의 과도한 고문행위로 인해 한 대학생이 사망한 것이다. 이 사건은 단순한 한 개인의 피해가 아니라 군사정권의 인권유린과 폭력적 통치 행태를 낱낱이 폭로하는 사건이 되었다.
박종철 고문 사건은 당시 전두환 정권에 큰 타격을 주었다. 정부의 은폐·조작 시도에도 불구하고 실상이 밝혀지면서 국민들의 분노가 폭발했기 때문이다. 이는 곧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되었고, 결국 6월 29일 민주화 선언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또한 박종철 고문 사건은 군사정권 하에서 자행된 경찰의 인권침해 사례를 대표하는 사건이 되었다. 이후 경찰의 고문 및 폭력행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고, 관련 법·제도 개선 등 경찰 개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즉, 이 사건을 계기로 경찰의 인권침해 행태에 대한 개선 요구와 함께 경찰권력에 대한 국민적 감시와 통제가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요컨대 박종철 고문 사건은 군사독재정권의 폭압성을 드러내고 민주화 운동의 발단이 된 역사적 사건이었다. 이후 경찰의 인권보호 문화 정착을 위한 노력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2. 본론
2.1. 1980년대 주요 사건
2.1.1. 5·18 민주화 운동
5·18 민주화 운동은 1980년 5월 18일 광주에서 발생한 민주화 운동이다. 신군부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려는 과정에서 일어난 이 사건은 전국적인 민주화 요구로 번졌다. 시위대는 신군부 세력 퇴진, 계엄령 철폐, 민주 정부 수립 등을 요구하며 광주와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대규모 시위를 전개했다. 하지만 정부는 계엄군을 투입하여 무력으로 진압하였고, 그 과정에서 200명 가까이의 민간인과 군인이 사망하는 참혹한 사태가 발생했다. 당시 정보 차단으로 외부로 알려지지 않던 이 사태는 3일째 되어서야 광주에서 탈출한 일부 사람들에 의해 언론에 보도되기 시작했다. 이 사건은 전두환 정권에 큰 타격을 주었고, 이후 민주화 요구 운동으로 이어져 1987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