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태권도 체육지도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태권도의 정의와 가치
1.2. 태권도장 경영의 어려움
2. 태권도장 마케팅 전략
2.1. 태권도의 교육적 가치 증대
2.2. 태권도 도장의 효과적인 입지 탐색
2.3. 숏폼 영상을 활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홍보 활성화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태권도의 정의와 가치
태권도는 남·여·노·소 어떤 사람이나 제한 없이 아무런 무기를 지니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손과 발을 사용해 방어와 공격의 기술을 연마하여 심신의 단련을 통해 인간다운 길을 걷도록 하는 무도이자 스포츠이다. 오늘날 태권도는 우리나라 국기로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무도 및 스포츠이며 또한 교육적 입장에서 태권도의 가치를 인정받아 학교 교육의 일부로 자리 잡고 있다. 태권도 교육이란 태권도가 본질에 응하여 전제한 이상적인 인간상을 현실적으로 생산해내기 위하여 태권도를 소재로 하여 인간행동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태권도 수련이란 바로 신체활동과 태권도 정신을 통하여 수련생의 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켜 전인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태권도는 심신의 단련을 통해 체력을 향상하고 인간 내부의 근원적인 파괴 욕구를 순화시키면서 인간다운 길을 걷도록 하는 무도 스포츠로 정의할 수 있다.
1.2. 태권도장 경영의 어려움
태권도장 경영의 어려움은 저출산과 무한경쟁으로 인한 것이다. 저출산으로 인구가 감소하면서 태권도 수련생의 수가 줄어들고 있으며, 과도한 입시경쟁으로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들이 태권도장을 떠나 사교육 학원으로 이탈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선 태권도장에서는 태권도장을 설립한 이후 수련생을 확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태권도장 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지속적인 무한경쟁의 틀 속에 갇혀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장기화되는 경우 자칫 태권도 사범을 포함한 지도자 또는 태권도 전문가들이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어 태권도 분야에서 이탈하거나 수많은 태권도 도장들이 문을 닫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무한경쟁이 요구되는 태권도 시장 환경 속에서 태권도장을 효율적으로 홍보하여 태권도장의 경영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마케팅 방안 마련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 태권도장 마케팅 전략
2.1. 태권도의 교육적 가치 증대
태권도 도장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효율적인 마케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태권도의 교육적 가치를 증대하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이를 홍보하는 것이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 우리 사회는 인간성 상실이라는 화두 속에서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청소년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수많은 학교들은 학생들이 올바른 인성을 쌓아 미래사회에 필요한 인재로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서 인성교육을 초점으로 하는 교육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권도 도장에서 핵심적인 수련 프로그램 중 하나로 실시되고 있는 인성교육은 태권도장이 일종의 '인성교육의 장'이라는 사회적...
참고 자료
국기원(2011). 태권도 교본. 서울: 오성출판사.
정지안(2021). 성인 태권도 수련 지속성 관련 경험 탐색.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병찬, 임용석(2023). 성인 태권도 활성화를 위한 참여제약요인과 극복요인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박광범, 이철원(2021). 성인 태권도 수련생의 여가라이프스타일이 재미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김경식, 진은희, 구경자(2009). 여가동기가 여가제약 극복노력 및 레저스포츠 참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김중헌(2010). 태권도수련생학부모들이 인지하는 프로그램, 지도자, 환경요인에 따른 수련지원의사 분석. 무도연구소지.
배소윤(2009). 평생교육으로서의 태권도 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준석(2014). 태권도장 경영성과에 대한 관계마케팅전략의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임영진, 송은섭(2019). 태권도선수의 참여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이 성취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곽정현, 김하영, 신승균(2009). 성공적인 태권도장 운영을 위한 요인 분석. 한국무예학회.
박인준, 유동현(2018). 태권도 성인품새의 개발, 선택인가 필수불가결인가. 무예연구.
오준석(2014). 태권도장 경영성과에 대한 관계마케팅전략의 영향. 한국사회 체육학회지.
태권도경기의 발전과정 분석을 통한 산타경기 활성화 방안, 용인대학교, 유세의, 2011
성인들의 태권도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프로그램 개발, 강원대학교, 한성진, 2010
성인 태권도 활성화 방안 모색과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송지효, 2008
유튜브로 심폐소생한 씨름…서바이벌 예능 프로까지 나온다, 경향신문, 이유진, 2019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910212144015
중고교 태권도 시범학교 프로그램을 통한 태권도장 활성화 방안, 가천대학교, 변기태, 2020
강경도(2011), 태권도장 마케팅믹스 요인이 만족, 신뢰,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2-13.
박창석(2004), 태권도지도자의 도장 입지선정 성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논문, 4-55.
이광래(2006), 태권도 체육관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마케팅 접근 방안,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논문, 6
이동경(2017), 성인들의 태권도 참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마케팅 전략,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논문, 24.
유호윤(2020),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태권도 경쟁력 강화 전략,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38.
염관우(2006), 태권도 체육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용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36-41.
윤종덕(2005), 태권도 체육관 운영에 관한 마케팅 전략 연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8-12.
최옥진(2010),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마케팅 믹스 6P가 전환장벽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석사논문, 1.
기호일보(2023), [교육의 기본 인성교육] 수원 제일중학교, http://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3441, (최종검색일: 2023.08.02)
연합뉴스(2022), "10대 청소년, 하루 8시간 인터넷 사용"…평균 수면 시간과 비슷, https://www.yna.co.kr/view/AKR20221201085700005, (최종검색일: 2023.08.03)
전자신문(2023), 전 세계 인구 60% 이상이 하는 SNS...하루 평균 2시간 30분 사용, https://www.yna.co.kr/view/AKR20221108040400017, (최종검색일: 2023.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