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급성 담낭염의 개요
급성 담낭염은 담낭벽의 급성 염증을 말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담석에 의한 담관의 폐색이 주요 원인이며, 대상자의 5-10%는 비결석성 담낭염으로 수술 시 담관을 폐쇄시키는 담석이 발견되지 않는다. 콜레스테롤 담석은 유전성, 비만, 고열량식이, 나이 등의 위험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색소성 담석은 유전성, 알코올성 간경화증, 담도감염증 등과 관련이 있다.
담관의 폐쇄로 인해 담낭이 팽만되고, 정맥성·림프성 배액 장애, 세균 증식, 국소적 피부자극 또는 침윤, 허혈 부위 악화 등이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염증이 있는 담낭벽은 부종이 있고 단단하며, 괴사가 발생할 수 있다. 담낭에 농양이 있는 상태를 담낭축농증이라 하며, 심각한 패혈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급성 담낭염의 재발은 담낭벽의 섬유화를 초래한다.
1.2. 담낭염의 원인 및 위험요인
담낭염은 주로 담석에 의해 발생하며, 담석이 원인의 72~93%를 차지한다. 하지만 담석 없이도 5~10% 정도의 경우에서 담낭염이 발생할 수 있다. 담석이 담관을 막게 되면 담낭의 압력이 높아지고 담낭벽이 부어오르며 염증이 생기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담낭이 터지거나 괴사할 수 있다.
콜레스테롤 담석의 경우 유전적 요인, 비만, 고열량식이, 나이 등과 관련이 있으며, 색소성 담석은 알코올성 간경화증, 담도감염증 등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위험요인들이 담석 형성에 기여하며, 결과적으로 담낭염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과체중이거나 앉아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서 담낭염의 발병률이 더 높게 나타난다. 이는 담즙농도와 담낭운동 기능의 저하로 인해 담석 생성이 더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1.3.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은 급성 담낭염 환자의 임상증상과 진단, 병태생리, 치료 방법 및 수술 전후 간호중재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담낭염의 원인과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환자의 증상 및 징후에 대한 이해와 함께 진단을 위한 검사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담낭염의 병태생리, 즉 담석 형성과 담낭염의 진행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에 대해 살펴보고, 수술 전 간호중재로서 수술 위험요인 사정과 수술 전 검사 및 준비 과정을 다룬다. 나아가 수술 후 간호중재에 대해 호흡기능 관리, 순환기능 관리, 수술 부위 관리, 통증 관리 등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 본론
2.1. 임상증상 및 진단
2.1.1. 증상 및 징후
담낭 염증은 급성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만성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가장 흔하고 확실한 증상은 우상복부의 압통이다. 급성 담낭염 환자들은 우상복부에서 통증을 느끼며, 때로는 오른쪽 견갑골로 통증이 퍼지기도 한다. 이러한 통증은 갑자기 시작하여 점차 증가하며, 약 30분 내에 최고조에 달한다. 우측 늑골하를 촉진할 때 심호흡을 하도록 하여, 만일 환자가 극심한 압통을 경험하고 흡기를 멈춘다면 머피 징후(Murphy's sign)가 양성이다. 급성 담낭염 환자의 약 60-70%가 과거에 담즙성 산통을 경험한 적이 있다. 또한 약 60-70%의 환자가 오심과 구토를 경험하고, 약 80%의 환자에서 체온 상승이 관찰되나, 노인, 면역 저하자, 스테로이드 치료 환자에서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환자의 약 10%가 경미한 황달을 경험한다.
2.1.2. 진단적 검사
담낭염 진단을 위해 담관 초음파 촬영술이 첫 번째로 시행된다. 초음파 소견상 담석증, 담낭의 압통, 담낭벽의 비후, 담관의 팽대 등을 나타낸다. 복부 방사선 촬영에서는 때로는 비대된 담낭을 볼 수 있으며, 급성 담낭염의 15%에서는 담석이 X-선상 석회화되어 관찰된다. 방사선 핵종 영상법은 임상적 진단이 어려운 경우 담관 폐색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혈액 검사상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lkaline phosphatase(AL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