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Non-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의 이해
2.1. NSTEMI의 정의
2.2. NSTEMI의 병태생리
2.3. NSTEMI의 증상
2.4. NSTEMI의 진단
3. 사례 연구
3.1. 일반적 사항
3.2. 입원 관련 정보
3.3. 간호력
3.4. 이용 가능한 지지체계
3.5. 문진 결과
3.6. 진단검사 결과
3.7. 치료 및 약물 적용
3.8. 간호과정
4. 결론
4.1. 사례 연구 요약
4.2. NSTEMI 환자 관리의 시사점
4.3. 향후 연구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심장 질환과 뇌졸중이 우리나라에서 암을 제치고 주요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 이 중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막혀 심장 근육에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심근경색증의 초기 사망률이 약 30%에 달하며,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하는 경우도 많아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심근경색증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체계적인 간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NSTEMI(ST분절 미상승 심근경색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 대한 간호목표를 설정하고, 간호과정을 통해 우선순위의 간호진단을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체계적인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및 평가를 적용하여 보다 전략적이고 정확한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실무에서 학생간호사의 전문적 역량을 강화하여 실무적 간호를 배우고 능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심근경색증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혀 심장 조직이 괴사하는 질환이다. 이는 주로 죽상동맥경화증으로 인해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혈전이 형성되어 혈류가 차단되는 것이 원인이다. NSTEMI는 UA와 비슷한 병리적 현상과 임상 증상을 보이며,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 플라그의 파열, 혈전, 혈류폐색으로 발생한다. NSTEMI는 심전도상 전형적인 ST segment elevation 없이, ST segment depression 혹은 T wave inversion을 보이며, 대부분 관상동맥의 부분 폐쇄를 의미한다.
NSTEMI 환자의 간호는 조기 증상 인식, 신속한 치료 제공, 합병증 예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심혈관계 모니터링, 통증 관리, 응급 상황 대비, 약물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신속한 치료 프로토콜 구축, 다학제적 협진 체계 활성화, 의료진 및 환자 교육 강화, 사회적 지원 확대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NSTEMI 환자의 심근 손상을 최소화하고 합병증 예방 및 장기적인 건강 관리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2. Non-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의 이해
2.1. NSTEMI의 정의
NSTEMI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NSTEMI는 심전도상 전형적인 ST segment elevation 없이, ST segment depression 혹은 T wave inversion을 보이는 경우로, 대부분 관상동맥의 부분 폐쇄를 의미하며 보통 약 20분 이내에 충분한 혈류가 재개통되면 조직학적 및 생화학적 심근괴사나 지속적인 허혈성 심전도 변화는 없다. Cardiac serum marker 검사 상 심근괴사의 증거가 없으면 불안정형 협심증(unstable angina), 관상동맥 폐쇄가 좀 더 지속되어 심근괴사의 증거가 있으면 Non-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NSTEMI)으로 진단한다. NSTEMI는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지 않은 심근경색을 의미한다.
2.2. NSTEMI의 병태생리
NSTEMI는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 플라그의 파열, 혈전 형성, 혈류 폐색으로 발생한다.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폐색되어 심근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 지속적인 허혈이 발생하지만, 관상동맥이 완전히 폐색되지 않아 심근괴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NSTEMI 환자의 혈관은 부분적으로 폐색되어 있으므로 혈액공급이 감소하지만, 측부순환이 형성되어 일정 수준의 관류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NSTEMI에서는 ST분절이 상승되지 않고 일시적인 ST분절 저하 또는 T파 역전이 나타난다. 또한 NSTEMI는 서서히 진행되어 관상동맥 폐색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심근괴사의 범위가 제한적이다. 경색 후 생리적 반응으로 경색 부위는 6시간 후 푸르스름해지고 부종이 나타나며, 48시간 후 호중구가 괴사조직을 제거한다. 수 주에 걸쳐 이 부위는 흉터 조직으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로 전체 좌심실 크기와 기능이 영구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2.3. NSTEMI의 증상
대상자는 주로 '가슴을 쥐어짠다', '가슴이 쎄한 느낌이 든다', '무거운 것에 눌린 것 같다'고 호소한다. 이러한 흉통은 주로 가슴의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에서 시작되며, 팔, 목 또는 어깨로 방사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호흡곤란, 오심, 구토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일부 대상자의 경우 흉통 증상 없이 '명치가 아프다' 또는 '턱끝이 아프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현기증, 실신, 전신쇠약, 약한 맥박, 미열, 백혈구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처럼 NSTEMI는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2.4. NSTEMI의 진단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EKG)상 ST분절의 상승 없이, ST분절 하강 또는 T파 역전을 보이는 경우, 대부분 관상동맥의 부분 폐쇄를 의미하며 보통 약 20분 이내에 충분한 혈류가 재개통되면 조직학적 및 생화학적 심근괴사나 지속적인 허혈성 심전도 변화는 없다.
Cardiac serum marker 검사 상 심근괴사의 증거가 없으면 불안정형 협심증(unstable angina)으로, 관상동맥 폐쇄가 좀 더 지속되어 심근괴사의 증거가 있으면 Non-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
참고 자료
고자경 외 (2017). 성인간호1 퍼시픽북스. 제 1판. 서울 : 퍼시픽 북스
차병헌 외 (2017). 알기 쉬운 병리학, 제 1판. 서울 : 고문사
대구경북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장 채성철 (2009). 급성 심근경색 치료. 환자 및 가족을 위한 교육소책자 심혈관 센터편.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2018). 심혈관조영술이란?.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checkupSub01View.do?ds_code=D0004776&main_content_id=957&content_id=957&cPage=1&DP_CODE=BR&MENU_ID=003
Science Central Journals
https://www.e-sciencecentral.org/articles/SC000008274
정남식 외 (2013). 급성 심근경색증. 심장과 혈관 68(15) NO4.
최우순 외 (2003). 급성심근경색증 진단에 대한 심근표지자와 생화학적 검사의 유용성.
임상병리검사학회지, 35(1), 22-28.3
김금순 외(2017)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김금순 외(2017)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강남세브란스병원, 『관상동맥 조영술 및 혈관 확장술』,
http://gs.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cardiology/treatment/view.asp?con_no=82261
Mayo Clinic. "Myocardial Infarction - Symptoms and Causes." Available at: https://www.mayoclinic.org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Heart Attack Overview." Available at: https://www.nih.gov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Heart Attack Symptoms and Treatment." Available at: https://www.heart.org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ardiovascular Diseases Fact Sheet." Available at: https://www.who.int
Ibanez, B., James, S., Agewall, S., et al. (2018). 2017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patients presenting with ST-segment elevation. European Heart Journal, 39(2), 119-177.
O’Gara, P. T., Kushner, F. G., Ascheim, D. D., et al. (2013). 2013 ACCF/AHA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61(4), e78-e140.
Collet, J. P., Thiele, H., Barbato, E., et al. (2021). 2020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coronary syndromes in patients presenting without persistent ST-segment elevation. European Heart Journal, 42(14), 1289-1367.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HLBI). (2023). Myocardial Infarction. Retrieved from https://www.nhlbi.nih.gov.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2023). Heart Attack. Retrieved from https://www.heart.org.
Ibanez, B., James, S., Agewall, S., Antunes, M. J., Bucciarelli-Ducci, C., Bueno, H., ... & Widimsky, P. (2018). "2017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patients presenting with ST-segment elevation." European Heart Journal, 39(2), 119-177.
O’Gara, P. T., Kushner, F. G., Ascheim, D. D., Casey, D. E., Chung, M. K., de Lemos, J. A., ... & Yancy, C. W. (2013). "2013 ACCF/AHA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61(4), e78-e140.
Collet, J. P., Thiele, H., Barbato, E., Barthélémy, O., Bauersachs, J., Bhatt, D. L., ... & Windecker, S. (2021). "2020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coronary syndromes in patients presenting without persistent ST-segment elevation." European Heart Journal, 42(14), 1289-1367.
한국심장학회 (2022). "급성 심근경색의 진단 및 치료 가이드라인."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Heart Attack: Causes, Symptoms, and Treatment." (https://www.cdc.gov)
Mayo Clinic. "Myocardial Infarction – Symptoms & Causes." (https://www.mayoclinic.org)
미국 국립보건원(NIH), 유전질환 정보센터(GARD). "Myocardial Infarction Overview." (https://rarediseases.info.nih.g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