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십진분류법과 한국분류기준의 비교
십진분류법(DDC)과 한국분류기준(KDC)은 각각 국제적 표준 분류법과 한국 독자에 특화된 분류법으로, 분류 체계의 구조와 주제 범주에서 차이를 보인다. DDC는 10개의 주요 분류 범주로 계층적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주제와 문화권을 포괄한다. 반면 KDC는 한국의 언어, 종교,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여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DDC는 십진법을 기반으로 하여 숫자와 구분 기호를 사용하는 반면, KDC는 혼합 기호법을 사용하여 알파벳과 숫자를 혼용한다. DDC는 문학 분야에서 언어, 시대, 형식 등 세부적인 패싯 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KDC는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를 가진다.
반면 KDC는 종교 분야에 특화된 보조표를 제공하여 한국의 다양한 종교 문화를 반영하며, 한국어와 한국 지명을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DDC가 국제적 표준을 지향하는 것과 대비되는 점이다.
종합적으로 DDC는 학문적 체계성과 국제성을 강조하고, KDC는 한국 독자와 정보자원의 현실적 요구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차이점은 각 분류법이 추구하는 목적과 지향점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1.2. 분류 체계 구조의 차이
DDC와 KDC의 분류 체계 구조의 차이이다.
DDC는 십진법 기반으로 10개의 주요 분류 범주로 구성되어 있어 정보 자원을 계층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반면 KDC는 한국 독자와 자료에 특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범주를 포함하고 있어 한국 도서관과 정보 기관에서의 분류에 적합하다.
DDC가 국제적 표준을 반영한 '보편적 지식 분류'를 지향한다면, KDC는 이를 바탕으로 하되 현장 적용성과 지역 특수성을 조화롭게 융합하고자 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DDC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분류법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KDC는 한국 독자와 자료에 특화된 분류 체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3. 주제 범주의 다양성 비교
DDC는 국제적인 표준을 반영하여 다양한 주제 범주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과학 분야에서는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다양한 하위 범주를 가지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인 학문 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KDC는 한국 독자와 자료에 적합한 범주를 고려하여 다양성을 반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문화와 관련된 주제, 한국 역사, 한국 문학 등 한국 독자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언어, 종교, 지리적 현실 등을 반영하고자 하는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DC는 전 세계적인 표준화를 지향하는 반면, KDC는 한국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DDC가 광범위한 국제적 적용을 고려한 '보편적 지식 분류'를 지향한다면, KDC는 이러한 국제 기준을 바탕으로 하되 현장 적용성과 지역 특수성을 조화롭게 융합하고자 하는 것이다.
2. 십진분류법(DDC) 보조표 분석
2.1. T1 표준세구분
DDC의 T1 표준세구분은 정보 자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구분하는 데 활용된다. T1 표준세구분은 문헌의 주제나 내용과는 관계없이 적용되는 보편적인 구분이다.
T1은 철학 및 이론, 잡저, 사전 및 사전류, 특정 주제, 연속간행물, 단체 및 조직, 교육 및 연구, 사람들의 그룹, 역사 및 지리 등 총 9개의 구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표준세구분을 적용하면 문헌의 형식이나 유형에 따라 일관되고 체계적인 분류가 가능하다.
특히 T1의 구분은 문헌의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어 문헌 정보를 효과적으로 조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1 철학 및 이론은 이론서나 개론서에 적용되며, -02 잡저는 산문집이나 수필집에 활용된다. 또한 -03 사전 및 사전류는 사전, 백과사전, 전집 등에 활용되는 등 문헌의 특성을 잘 고려하고 있다. 이처럼 T1 표준세구분은 정보 자원의 효율적인 조직과 탐색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2.2. T2 지역, 시대, 전기 구분
T2(지리, 역사적 시대, 전기)는 단독 사용되거나 주된 번호로 사용될 수 없다. 본표에 부가지시(첨가주)나 전개 근거가 있는 경우에만 지시에 따라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가지시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