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서울대 화학실험2"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실험 방법
2.1. 화학 전지 결과 및 데이터 확인
2.2. 금속의 이온화 경향 실험
2.3. 다니엘 전지의 전위 측정
3. 실험 결과 분석
3.1. 전기 전도도 측정 결과 분석
3.2. 금속의 반응성 실험 결과 분석
3.3. 다니엘 전지 실험 결과 분석
4. 토의
4.1. 실험 결과의 오차 원인 분석
4.2. 전지 전위 측정 결과의 오차 보정 방안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주어진 화학실험 실험 보고서는 크게 세 가지 실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전기 전도도 측정에 관한 실험이다. 둘째, 금속의 이온화 경향 실험이다. 셋째, 다니엘 전지의 전위 측정이다. 이 실험들을 통해 전기 전도도와 금속의 반응성, 다니엘 전지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실험에서는 이론적인 예상과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그 차이와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지 전위 측정 결과에서는 발생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화학 전지와 금속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과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2. 실험 방법
2.1. 화학 전지 결과 및 데이터 확인
증류수, 소금, 설탕 등의 물질에 대한 전기 전도도를 관찰하였다. 증류수는 미세하게 전지 전도성을 가지며, 소금과 설탕은 수용액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을 가진다. 소금 수용액이 설탕 수용액보다 LED가 더 밝게 빛나는 것으로 보아, 소금 수용액의 전기 전도도가 더 크다. 이는 소금을 구성하는 염소와 소듐 사이의 전기 음성도 차이가 설탕을 구성하는 원자들 간의 전기 음성도 차이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전기 전도도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분자 내에서 편극 현상이 잘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결합을 구성하는 원자들 간의 전기음성도 차이가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온 결합을 하는 소금이 공유 결합을 하는 설탕보다 전기 전도도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 전도도 측정 결과와 원소의 전기음성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2.2. 금속의 이온화 경향 실험
rmCu(NO _{3} ) _{2}, rmPb(NO _{3} ) _{2}, rmZnSO _{4} 용액과 rm Zn, rmCu, rmPb 금속에 대해 금속의 반응성을 측정하기 위해 용액의 금속 이온 부분과 금속판의 종류가 겹치지 않도록 6가지 조합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Figure. 1]과 같은 반응이 일어났으며, 이 반응을 표로 정리하면 [Table 3]와 같다.
용액을 금속판에 떨어뜨렸을 때, 색이 변했다는 것은 반응이 일어났다는 의미이다. 이때, 용액 속의 금속 이온은 중성의 금속이 되며 환원되고, 금속판은 산화될 것이다. 금속의 경우 산화가 잘 일어날수록 반응성, 혹은 이온화 경향이 크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용액과 금속판의 반응에서 색이 변한다면 금속판을 구성하는 금속이 용액을 구성하는 금속보다 반응성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구리, 아연, 납의 반응성 순서를 나열하면 rmZn`>`Pb`>`Cu 이다.
즉, 아연의 반응성이 가장 크고, 납, 구리의 순서로 반응성이 작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금속 원소들의 이온화 경향에 대한 실험적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2.3. 다니엘 전지의 전위 측정
본 실험에서는 염다리는 사전에 제작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방법에 주어진 조건 대로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여 전위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와, 주어진 조건을 토대로 Nernst 식에 대입한 이론적 값, 그리고 그 오차를 [Table 3]에 기입하였다. 이때,...
참고 자료
David W. Oxtoby,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7th ed, Cengage, 2012
김희준, 일반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2010, 145-154
Jeffery J. Whyte et al. Gene Targeting With Zinc Finger Nucleases to Produce Cloned eGFP Knockout Pigs. Mol. Reprod. Dev. 78(1), 1-3 (2011).
Lubert Stryer, Biochemistry (9th Edition) W.H. Freeman: NY, 332-447 (2019).
Marion M. Bradford.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ytical Biochemistry 72, 248-254 (1976).
Laura Koontz, Methods in Enzymology (Vol 541) Academic Press: 3-10 (2014).
David W. Oxtoby,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7th ed, Cengage, 2012
Donald A. McQuarrie, Quantum Chemistry, 2nd ed, University Science Books, 2007, 612
Donald A. McQuarrie, Quantum Chemistry, 2nd ed, University Science Books, 2007, 617
Donald A. McQuarrie, Quantum Chemistry, 2nd ed, University Science Books, 2007, 647
Donald A. McQuarrie, Quantum Chemistry, 2nd ed, University Science Books, 2007, 648-650
Donald A. McQuarrie, Quantum Chemistry, 2nd ed, University Science Books, 2007, 650-652
Donald A. McQuarrie, Quantum Chemistry, 2nd ed, University Science Books, 2007, 652-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