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복지국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지만, 시민과 지역사회가 함께 만들어나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복지서비스를 지역 단위로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최근 지역조직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는 지방분권화와 지역의 복지 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지역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사회복지사는 지역조직화를 통해 복지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자원을 개발 및 관리하며, 주민조직화를 지원함으로써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이때 로스만이 제시한 지역사회개발모델, 사회계획모델, 사회행동모델 등의 접근법을 활용할 수 있다. 각 모델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고유의 관점과 방법론을 가지고 있어, 지역의 특성과 복지 수요에 따라 적절한 모델을 선택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로스만의 세 가지 기본 모델과 더불어 새롭게 제안된 모델들을 살펴보고, 실제 사례에 접목하여 각 모델의 특징과 한계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복지 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지역조직화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델
2.1. 지역사회개발모델
지역사회개발모델은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능력과 사회통합이라는 과정목표를 통하여 지역사회를 새롭게 만드는데 초점을 둔다. 지역사회의 문제나 복지클라이언트의 욕구를 다룰 때 주민들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자조정신을 강조한다. 이 모델에서 전문가는 조력자, 조정자, 문제해결기술 훈련자의 역할을 담당한다. 당시에는 빈곤퇴치사업과 같은 사회복지기관이 중심이 되는 지역사회복지사업이 활발했기 때문이다. 이 모델은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위해 지역공동체 내의 유관 집단 간의 협력을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관련 집단들이 인종이나 계급, 성 등과 엮인 경계를 넘는 공통적인 이해관계가 있다는 가정의 문제가 있으며, 실질적으로 정책을 결정하는 사람이 사회 변화를 이끌 수 없는 경우에는 지역사회를 개발하기 위한 협상을 하지 않을 수 있는 권력적인 문제 등이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2.2. 사회계획모델
사회계획모델은 지역사회문제 해결에 있어서 합리적인 면을 강조한다.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