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기업이 자본 조달과 운용을 위하여 실시하는 정책, 경영활동을 개별자본의 운동으로 본다면 이것은 자본조달, 고용, 구매, 제조, 판매의 반복 순환 활동이 되어 재무활동은 자본조달에 한정된다. 그러나 자본조달은 운용을 전제로 하며, 조달된 자본이 설비, 원재료, 기계, 노동력 등에 가치를 전환하면서 변형되어 생산에 공헌한다고 본다면, 경영활동을 자본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며 그 합리성을 검토하는 일이 필요하다. 경영활동을 자본의 전환과정으로 이해한다면, 재무관리는 자본조달이라는 고유영역뿐 아니라 전체 활동의 눈에 띄지 않는 부분을 자본운용으로서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데까지 이르게 된다. 현대 재무관리의 목표는 기업가치의 극대화이다. 기업 가치는 기업이 창출하는 미래현금흐름을 그 발생시기와 불확실성을 적절히 반영한 자본비용으로 할인한 현재가치의 총합이다. 미래 수익이 클수록 기업의 가치는 커지며 불확실성이 클수록 기업 가치는 작아진다. 기업 가치는 타인자본과 자기자본이 합으로 구성되는데 타인자본의 가치는 대부분 일정하므로 기업가치의 극대화는 자기자본가치의 극대화가 된다. 결국 기업가치의 극대화는 주주가치를 극대화 시키는 것이다. 즉, 재무관리란 기업에게 있어 마케팅, 회계, 인사, 생산과 함께 수평적 관리기능을 구성하는 주요 분야의 하나로, 특정 조직에 있어서 필요한 자금의 조달 및 이의 사용과 관련한 일련의 관리행위를 다루는 학문이다. 자금의 측면에서 재무관리는 기업의 활동을 다루는 것이라고 볼 수 있고, 기업의 목표가 곧 재무관리의 목표가 된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재무 관리의 목표에는 다양한 이론이 존재하는데, 그 중 이익극대화의 의미와 극대화의 한계 그리고 기업가치의 극대화의 개념에 대해 자세히 다루어볼 것이다.
2. 재무제표의 이해
2.1. 재무제표의 정의와 구성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성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보고서이다. 재무제표는 크게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로 구성된다.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의 기업 자산, 부채, 자본을 보여주며, 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 동안의 기업 수익과 비용을 나타낸다. 현금흐름표는 영업, 투자, 재무활동에서 발생한 현금 유입과 유출을 보여준다. 자본변동표는 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등의 변동 내역을 설명한다. 이처럼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 상황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정보원이 된다.
2.2. 자산, 부채, 자본의 개념
자산은 과거의 사건 결과로 기업이 지배하고 있는 자원이다. 자산은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것으로,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채는 과거 사건의 결과로 발생한 기업의 현재 의무이다. 기업이 과거 거래나 사건으로 인해 타인에게 지불해야 할 금전적 의무이며, 미래에 자원이 유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다. 자본은 기업의 소유주들이 투자한 자금으로, 기업 활동에 투입된 소유주의 지분이다. 자본은 기업 내부에서 발생한 자금과 기업 외부에서 조달한 자금으로 구성되며, 기업의 소유권과 관련된 개념이다. 자본은 기업의 재무상태와 자금 조달 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와 같이 자산, 부채, 자본은 기업의 재무상태와 성과를 나타내는 데 핵심적인 요소이며, 이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재무제표 이해에 필수적이다.
2.3.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
기업의 재무제표에는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가 포함된다. 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의 수익과 비용을 기록하여 당기순이익을 산출하는 재무제표이다. 이를 통해 기업의 수익성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현금흐름표는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의 현금 유입과 유출을 기록하여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기업의 유동성과 재무적 건전성을 확인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