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술실 전립샘암 로봇 수술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주제 선정
1.2. 해당 질환에 대한 통계자료
2. 본론
2.1. 수술 전 대상자 준비사항
2.2. 사례환자의 수술명
2.3. 수술 중 간호활동
2.4. 회복실 간호기록지
3. 결론
3.1. 과제 수행을 통해 느낀 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주제 선정
수술실(OR) 실습 1주차에는 비뇨기과(UR)방을 배정받아 주로 다빈치라는 로봇을 이용한 수술을 볼 수 있었다. 갑상선암, 유방암, 신장암 등의 다양한 질환에 따른 수술이 진행되는 과정을 볼 수 있었는데 그 중, 매일 1건 이상의 수술이 예정되어있던 수술이 로봇을 이용한 근치적 전립선절제술(Robot Assisted-Radical Prostatectomy)이었다. 5일간 6건의 수술사례가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임을 알게 되었고 환자의 나이대가 모두 70대 이상으로 고령의 남성에게 자주 발생하는 질환임을 확인하게 되어 해당 수술에 관심이 생겨 선정하게 되었다.
1.2. 해당 질환에 대한 통계자료
전립선암은 한국인 남성에서 발생하는 암 중 네 번째로 높은 발병률을 보이며, 전체 남녀 암 발병률에서도 여섯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종이다. 특히 고령 남성에서 많이 발생하여 65세 이상 남성에서 발생하는 암 중 발병률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암센터의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한국 남성 인구 10만 명당 65.6명에서 전립선암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고령 남성에서 호발하는 전립선암의 발병률과 중요성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2. 본론
2.1. 수술 전 대상자 준비사항
성명 이OO은 75세 남성으로, 전립선암 진단을 받아 Robot Assisted-Radical Prostatectomy 수술을 받게 되었다. 수술 전 대상자 준비사항으로 먼저 수술서약서 확인을 거쳤다. ...
참고 자료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권. 제7판. 서울. 현문사. 2019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권. 제7판. 서울. 현문사. 2019
김정애 외.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경기. 수문사. 2018.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main.do
서울대학교병원. 전립선 수술 환자의 퇴원 후 주의사항.
http://www.snuh.org/board/B016/view.do?bbs_no=3597&searchKey=&searchWord=&pageIndex=1
안경진. 남성암 발병 4위 '전립선암'…PSA검사로 조기 발견. 서울경제. 2022.10.13.
https://www.sedaily.com/NewsView/26CC27IS37
서울대학교 암연구소. https://cri.snu.ac.kr/information/overview/info3
KIMS 의약정보센터
성인간호학(상). 2018. 현문사.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하). 2018. 현문사. 황옥남 외.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2015. 수문사. 성미혜 외. 최신 임상 간호 핸드북. 대광의학.
로봇을 이용한 복강경 근치적 전립선 적출술. 2005. 대한비뇨기과학회지. 이용성외 4명.